제 3장. 구매관리
제1절. 구매관리의 개요
l 구매의 기본요소 : 품질, 수량, 가격, 시기, 구매처, 조건
제2절. 구매관리
l 구매의 기능 : 구매 요구 기능, 구매조사, 구매계획, 구매절충, 계약, 독촉, 수입, 검사, 구매
l 구매의 중요성 : 이익창출의 원천, 경영의 주요기능, 구매 본래의 업무는 고매요구 이전에 시작됨
고도로 숙련된 전문요원에 의해 수행
l 구매 절차 : 필요성의 인지 -> 필요성의 기술 -> 공급원의 선정 -> 가격의 확정 -> 발주 -> 주문독 촉 -> 납품서에 대한 Check -> 기록과 File 보존 -> 공급자와의 관계유지 -> 수송 -> Scrap과 불용품 처분
제3절. 외주관리
l 외주관리의 목적 : 염가의 생산코스트 감소, 경영상의 위험 분산, 공정부하의 증감에 대한 능력의 균형, 특수한 기계설비나 전문기술의 이용
구매와 외주의 차이
구 분 |
구 매 |
외 주 |
1. 대상 2. 시방 3. 가격결정 4. 거래방법 5. 관리대상 6. 지원 |
물품(Goods) 제작자의 설계로 제작한 표준 규격품 시장조사 공개, 경쟁성이 있고 계속적 거래 구매부문/구매요원 결제 제조건상의 한계 |
용역(공수) 또는 부품 특별 주문품 원가계산 지속성 비공개성 외주공장/생산관리 적극적인 물량 지원, 대금의 지원, 기술의 지원 |
l 외주는 발주공장의 설계방법에 따라 제작되나 구매는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l 외주 기능의 영역 : 외주관리에 관한 자료정비, 외주공장 개척과 외주처의 선정, 외주단가 결정과 절감활동, 발주와 수입에 관한 처리, 발주품 납기관리, 외주공장 지도
l 내외작의 결정
- 전부를 내작하는 것(품질, 기술면에서의 제약)
- 전부를 외작하는 것(자사에는 설비도 담당직도 없다)
- 일부를 내작하고 나머지를 외작하는 것(자사에서 가능하지만 능력이 일부 부족하다)
l 발주처 선정 조건
- 기술적 능력(질적, 양적)
- 관리적 능력(원가, 납기에 영향)
- 경영적 능력(경영자 개인의 능력)
- 지리적 능력(운반, 연락편)
- 특수관계(연고 등)
l 발주발식의 총합화 : 인력과 경비의 절약, 일정의 단축, 운전자금, 재고의 감소라는 견지에서 발주내용의 확대화, 총합화라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
l 생산합리화 : 공정관리 개선, 원가관리의 추진, 품질관리의 개선
제4절. 협력회사 관리
l 협력회사 : 기업이 생산활동을 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자재, 또는 설비, 용역을 제공하는 기업
l 협력회사 평가의 목적 : 좋은 거래선 선별, 확보 거래선에 대한 지도 육성의 Point 파악, 거래선으 로 하여금 개선의욕 강화 증진
l 거래선 평가의 상이
- 경영정책에 의한 경우
- Marker에 원가내용의 상이점이 있는 경우
l 거래선의 지도, 개선 대상
- 경영관리의 개선
- 제조상의 개선
l 거래선 지도를 위한 일반적 주의사항
- 지도의 목적을 경영자에게 충분히 전달한다.
- 단절한 조사에 구치지 말고 구체적 개선안을 지시한다.
- 지도는 전문가가 맡는다.
- 개선 여부의 검토 및 지원
- 거래선의 규모
- 지도, 원조의 성과
l 거래선 개선의 방법
- 개별지도 방법
- 집단지도 방법
l 거래선 개선을 위한 절차
- 개선의 의뢰를 받거나 개선이 필요한 거래선의 선정
- 예비조사
- 예비조사 분석
- 거래선의 조사, 분석
- 조사분석에 따른 개선안의 작성
l 개선안 작성의 포인트
-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 거래선 경영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평이하게 설명한다.
- 주요상황, 착수할 절차를 명시한다.
- 거래선의 자주성을 존중하기 위해 개선안을 몇 가지 준비하여 거래선 실정에 밎게 결정토록 준비한다.
- 개선안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보완 자료를 준비한다.
l 불공정 거래행위
- 부당한 거래거절
- 부당 염매 및 부당고가매점
- 부당한 고객의 유인
- 부당표시
- 부당한 거래강제
- 부당 배타조건부 거래
- 부당구속조건부 거래
- 우월적 지위의 남용
- 허위, 과장광고 및 기만행위
- 거래조건 등의 차별적 취급
- 집단배칙 및 집단적 차별취급
- 차별대가
제5절. e-Procurement
l e-Procurement 프로젝트의 기본원칙
- 경영자의 지원과 참여
- e-Procurement와 e-Business의 전략적 통합
- 강력한 변화관리 프로그램
- 비즈니스 프로세서의 재설계
제6절. SCM
l SCM의 특징
- Supply Chain 전체를 하나의 실체로 간주하여 특정업무의 특정기능 부문에 포함시키지 않으며 전 체의 효율증대를 목표로 한다.
- Supply Chain의 전략적 중요성은 전체 원가 및 시장 점유율에 많은 영향을 주며 관리를 위한 전략 적 의사결정에 또한 그 중요성이 있다.
- 단순 연결이 아닌 통합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접근 방법이다.
l SCM 도입의 기대효과 분석
- 비용측면의 기대효과
- 현금흐름 측면의 기대효과
l SCM의 적용 사례
- Dell vs Compaq 컴퓨터
- 3M & P&Q : VMI
- HP : DF SCM-Product Postponement 전략
- Sport Obermyer : Supply & Demand Management(Accurate Response)
- GE사 : 물류 네트워크 재설계 전략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제 4장 절차별 외자구매 실무 (2) (0) | 2021.05.02 |
---|---|
[구매자재관리사] 제 4장 절차별 외자구매 실무 (1) (0) | 2021.05.02 |
[구매자재관리사] 제 2장 재고관리 (2) (0) | 2021.05.02 |
[구매자재관리사] 제 2장 재고관리 (1) (0) | 2020.06.14 |
[구매자재관리사] 제 1장 구매 자재 관리 (2) (0) | 202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