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절. IT 혁명과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의 변천
-. 기업가치의 평가 : 종업원, 고객, 주식가치, 사회공헌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 다이렉트 마케팅, 고객만족, 네트워크 마케팅, 데이터베이스화
-. 기업이 처해있는 비즈니스 환경의 4가지 요인 : 요소조건, 수요조건, 기업전략/경합관계, 관련산업/지원산업
-. Value Chain이란? 비즈니스의 흐름을 구성하는 각 요소와 그 요소들의 상호연결상태를 말한다.
-. 마케팅 전략은 매스 마케팅 전략으로부터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그리고 ERP 시스템의 활용으로 발전하고 있다.
-. ERP 시스템이란? 생산정보, 자재정보, 구매정보, 판매정보, 회계정보, 기술정보 등을 통합관리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제 2절. 구매 자재 관리의 의의
-. 자재의 개념
광의 : 토지, 건물, 기계, 설비, 기타(차량, 운반구, 공기구, 비품)
협의 : 원자재, 부분품(저장품), 재고품, 제품(상품)
-. 구매 자재관리의 체계도
구매관리 : 구매관리(협의), 외주관리, 협력회사관리
자재관리 : 소요관리, 재고관리, 저장관리, 분배관리, 물류관리
-. 구매자재관리의 목표 : 경영에 필요한 자재를 효율적으로 공급관리
-. 효율적 관리는 합리적인 면에서 계속성솨 경제성 두 가지로 고려된다.
-. 구매자재관리 업무의 필요 불가결한 기본업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계획(요구) > 조달(협의) > 보관(저장)
-. 구매자재관리의 기능
기본기능 : 구매관리, 재고관리
부수기능 :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제 3절. 자재의 분류
-. 재질에 의한 분류(종류별 분류)
-.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용도별 분류)
-. 원가계산에 의한 분류(원가 요소별 분류) : 주요자재, 보조자재, 부분품, 소모공구/가구비품
-. 관리로 본 분류(관리 목적별 분류) : 상비자재, 주문자재
-. 가공정도별 분류 : 소재, 부품, 반제품
-. 입수방법별 분류 : 구입품, 사급품, 외주품
제 4절. 구매 자재 관리의 조직
-. 조직의 기본 형태
계획-외주 분산형
계획-창고 분산형
계획-구매-창고 종합형
-. 조직의 합리화
계획-실시-통제의 분리
감사기능의 강화
내부견제 제도의 채용
책임의 명확성
-. 인사배치의 적정화 : 업무내용의 명확화, 인재의 적재적소 배치, 교육훈련을 통한 지식, 기능을 고도화
제 5절. 구매자재관리의 새로운 발전과 기대
-. 구매자재관리의 중요성
원가절감의 가장 중요한 요소
영업행위
현장업무에 대한 보완적인 기능보유
최종제품의 품질, 원가, 납기에 직접적인 영향
-. Value Leveling(VL)의 4가지 방법
1) VL TAG에 의한 방법
2) OA, 퍼스콤에 의한 VL법
3) 분료회 조직에 따른 방법
4) 타사제품군별 COST 비교법
-. 구매선과의 공동CD분석
1) CLSAA 1의 변경 : 가공단가
2) CLSAA 2의 변경 : 손과 몸의 동장
3) CLSAA 3의 변경 : 작업장
4) CLSAA 4의 변경 : 공정, 작업순서
5) CLSAA 5의 변경 : 납품방법
6) CLSAA 6의 변경 : 내외작업 혹은 작업장
7) CLSAA 7의 변경 : 제품설계
8) CLSAA 8의 변경 : 원재료
-. 기술 구매의 Approach
1) Technology Transfer에 따른 개발
(1) 기존기술을 조합시킨 복합 집합화
(2) 기전-체화 > Mechatronics
(3) 타분야에의 기술이행 (a. 저분야에의 이행, b. 타시장의 이행)
2) 창조적 자주기술의 개발
(1) 첨단기술의 개발
(2) 기초재료연구와 개발
(3) 고기능소재
-. 연구개발과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이 대응하는 데 필요한 3가지 접근법
1) 신제품이나 개발품으로부터의 접근
2) Needs로부터의 접근
3) 제조품생산화 프로세스로부터의 접근
-. 연구개바로가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 3가지 접근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
1) 전문업무의 조직화
2) 체계적인 구매조사기능의 확립
3) 구매기술자의 양성, Level-Up
-. 체계적인 구매조사의 범위
1) 구매업무의 계확과 구매방시그이 개발, 개선
2) 기술연락
3) 신제품 생산관리 혹은 관련업무
4) 가치분석
5) 구매시장 조사
-. 품질 UP. Cost Down 동시 실현책 : 작업공정, 작업방법의 개선, 제경비의 절약, NC공작기계
-. 자재관리의 개념과 현대화
1) Profit Center화
(1) Cost Down
(2) 구매력 증대
(3) 재고관리 강화
(4) 저장 유지비 감소
(5) 각 기능간 업무 소통의 개선
2) 기업 이익의 원천
3) 현금 개념화
4) 기업경영 주기능의 하나
-. 구매자재관리의 합리화
1) 업무효율에 대한 관리
(1) 원재료 회전률 - 출고량 / 평균재고량
(2) 원재료 재고기간
(3) 재고자산의 조성비율
(4) 재고자산의 재고비율
-. 생산에 의한 관리
1) 구매 부문
(1) 1인당 발주건수
(2) 1인당 발주금액
(3) 건당 발주금액
(4) 불량통계(총 건수, 불량률, 내용별)
2) 창고부문
(1) 1인당 입고건수
(2) 1인당 출고건수
(3) 1인당 재고품목수
(4) 재고감손률
-. 원가에 의한 관리
1) 구입비 : 자재의 조달에서 발생하는 비용
2) 재고관리비 : 창고관리비, 금리
3) 원가절감비율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제 4장 절차별 외자구매 실무 (1) (0) | 2021.05.02 |
---|---|
[구매자재관리사] 제 3장 구매관리 (0) | 2021.05.02 |
[구매자재관리사] 제 2장 재고관리 (2) (0) | 2021.05.02 |
[구매자재관리사] 제 2장 재고관리 (1) (0) | 2020.06.14 |
[구매자재관리사] 제 1장 구매 자재 관리 (2) (0) | 202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