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 구매관리의 동향과 전망

1. 구매관리의 문제점

1. 구매를 생산의 종속 기능으로 인식

- 구매 본래의 기능인 원가절감활동 미흡

2. 구매 인력 구조의 취약

3. 개발단계에서의 문제점

- 개발용 자재에 대한 거래선 선정, 가격결정 등 사전구매행위가 연구소/설계부서에서 주 도적으로 이루어짐 연개 개발업무의 30~40%를 개발용 자재구매에 할애 개발효율 , 개발 지연, 경쟁력 약화

∴ 구매전담부서가 개발용 자재에 대한 구매(사전 구매)를 담당해야 한다

4. 원가절감활동의 비효율성

- 과학적/합리적 접근의 불충분

 

2. 구매 원류관리의 추진

1. 구매/ 조달의 분리

2. 개발구매의 실천

1) 개발구매를 위한 업무의 규정화

- 상품기획부터 참여, 부품시장정보 제공

- 상대 업체와의 창구를 구매부서로 일원화

- 평가회/심사회 시 구매부문 평가항목 설정

2) 개발구매자의 역할

- 개발보서에 대한 정보제공 의무

- 설계 시 원가절감 공동 노력

- 부품개발 추진

3) 개발구매의 관리 항목

- 부품개발일정관리/ 개발재료비 관리

4) 기타

- GVE(Group Value Engineering): 유사모델 비교평가 성능개선, 원가절감방안 연구

3. 구매정보 전산 시스템 구축

1) 거래선 정보시스템(사내)

- 거래선의 현황/거래실적

2) 시장정보시스템(사외)

- 신기술, 신소재, 신규업체, 원재료가격 추이 등 수집된 정보 활용

3) 개발관리 정보(사내)

4. 전문 구매자 육성

5. 기술구매 및 정보구매 체제로의 전환

1) 첨단 기술 부품전

2) 기술세미나 개최

3) 구매정보 자료실 운영

 

 

3. 효율적인 위주관리

1. 외주기업의 계열화

1) 생산/기술적 계열화

- 발주기업 측 생산기술능력의 연장, 각 외주기업의 생산기술능력을 계열적으로 결합

- 1차 외주에서 2, 3차로 재료 부품별/ 가공 공정별 계열화 포함

→ 외주 창구의 일원화, 피스톤 외주 해소, 납기 단축, 외주관리 업무 단순화

2) 자본적 계열화

- 외주기업의 자본을 발주계열 하에 두는 것, 경영의 연결

- 일반 자회사: 전액/대부분 출자

- 출자 후 협력체제 확립: 20~30%출자

2. 외주공장의 분류와 재편성

1) 외주공장의 분류(5가지)

(1) 완성품 전문 제조업체: 발주기업 수준에 가까운 완전 공동운명체적 위치

(2) 부품가공 제조업체: 중소기업

(3) 전문부품 제조업체: 자체 설계사양에 의한 부품가공, 조립

(4) 특수기술 전문제조업체: (3)과 함께, 발주기업 능력 넘어선 부품 생산, 발주기업에 독립적, 대등한 입장

(5) 범용품 제조업체: 규격품(KS시판품) 공급

2) 외주공장 재편성과 집약화

- 외주공장들의 효율적 생산 분담을 위해, 그들을 제1단계, 2단계로 분류해, 1단계에 양산화/관리수준 향상을 꾀하여 전문화/자립화 시키는 노력을 하고, 2단계는 1단계의 제품 분담에 맞추어 재집약

 

4. 조달의 국제화

1-1) 기업 국제화의 의미

- 유형적 경영자원인 자금, 인력, 공장입지, 원료, 기술 등에서 세계를 대상으로 최상의 선택을 추구하는 활동

2) 조달 구조와 전략

- 국제로지스틱스: 지역 간 부품조달과 공급구조. 수송비 절감, 최적 생산수송비체계를 구성해 경쟁력 높이는 것

- 해외사업 단위의 부품조달: 현지 조달비율이 높아지다가 국제 생산기지로 정착

2. IPO(International Procurement Office) 설치

2) 설치 유형

- 현지법인: - 직접 영업행위 가능(P/O발행, L/C접수)

- 비용(법인 소득세 등), 의무적 제출서류

- 대표사무소: - 개인소득세 외 납세의무X

- 직접 영업행위 불가

- 지점: - 영업행위 현지회사와 동일

- 영업결과가 본사에 영향

 

5. 환경규제에 대응한 녹색구매

1. 무역과 환경에 관한 최근 동향

1) 다자간 환경협상 확산

2) WTO/DDA 환경협상 진행

3) 개별입법에 의한 환경보호 목적의 무역규제조치 확산

2. 선진국의 환경규제 현황

3) EU의 주요 규제 내용

(1)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

- 전기전자 기기에 특정 유해성 화합물의 사용제한에 대한 지침

(2) EuP(Energy using Products)

- 에너지 사용제품에 대한 에코디자인 요건

(3)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quipment)

- 전기전자 제품 설계에 대한 요구사항. 분리수거, 수거, 회수, 처리와 관련 모든 비용 에 대한 제조자의 책임사항 명시

(4)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of Chemical)

- 등록되지 않은 화학물질은 시장에서 판매 못하게 하는 법규 중 가장 강력

(5) IPP(Integrated Product Policy)

- 제품의 수명기간 동안 환경을 고려한 제품을 유도하기 위한 지침

- 녹색제품의 생산강화 목표

3. 선진국 환경 정책에 대한 대응방안

2) 녹색 구매의 실천

- 자재, 부품의 녹색구매

※ 제품개발기획 녹색구매 제조 판매 회수/재활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