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절. 제품의 식별 및 추적
- 제품식별: 한 제품이 다른 제품과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 제품추적: 제품단위의 제작이력의 증거를 제공하며 문제 발생 시 원인 분석을 용이하게 하여 과정에 대한 이해와 시정/ 개선이 쉽도록 하는 것
1. 개요
2. 식별
1) 식별 시스템
- 다른 제품과 구별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양서, 도면, 기술자료서 등에 식 별되어야 함
2) 식별방법
- 제품/ 제품포장에 Mark 및 Tag을 하여 제품 식별
3. 추적
1) 추적시스템
- 배치단위(Batch)나 로트제품은 유일한 식별번호가 있어야 한다
- 원자재와 최종제품 및 최종제품과 원자재 사이에 추적이 가능하여야 함
2) 추적 방법
- 제품의 추적은 그 제품 이력의 추적 또는 품목의 위치를 기록함으로서 가능
4. 서비스 확인 및 추적
5. 적용
- ISO 9001의 4,8항, 9002의 4,7항, 9003의 4,4항은 제품 식별만 (추적성 명시X)
제5절. 검사와 시험
- 규정된 요건과 시험/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요건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활동은 하청계 약자로부터의 제품 인수 시부터 최종제품의 인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실시
- 검사와 시험: 구매 제품의 인수검사, 제작과정의 중간검사, 최종제품의 검사는 물론 구매 자 제공제품에 대한 인수검사도 포함
1. 인수검사 및 시험
1) 인수검사 및 시험
- 인수검사: 공급자가 하도급자의 품질에 대한 계약의무 이행 및 품질요건을 만족시킴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 ISO 9001과 9002 해당절의 의미: 만일 제품에 대한 확신을 다른 절차에 의해 얻을 수 있다면 인수품목 모두를 시험 및 검사할 필요는 없다
2) 인수제품의 사용 후 관리
3) 적용
- ISO 9001 4,10,1항, 9002의 4,9,1항, 9003 X
제6절. 품질경영시스템 규격 ISO 9000:2000 모델
1. 새로 제정된 ISO 9000:2000 모델의 핵심 규격
1)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2) ISO 9004(품질경영시스템- 성과개선지침)
3) ISO 9000(기본사항 및 용어)
4) ISO 19001(품질 및 환경감사)
2. 규격의 구조
- ISO 9002와 9003을 폐지해서 9001로 규격통일, 적용에 융통성을 부여해 보다 광범위 한 조직에서의 활용 도모, 9001과 9004를 한쌍의 규격으로 하여 발전적 규격활용 촉진
- 주요 개정사항: PDCA사이클로 정합된 규격 구성의 변경
3. 규격의 내용
1) 최고경영자 역할의 중요성
2) 교육훈련의 유효성 평가 등 경영자원관리
3) 고객 만족도
4) 프로세스 어프로치
5) 지속적 개선
6) 지속적 개선에 필요한 부속서A(자기평가지침)과 부속서B(지속적 개선의 프로세스)의 제 안이 특징적 개정사항
4.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 품질경영시스템에서 강조되는 ‘고객만족’, ‘고객관계’, ‘인적자원’, ‘개선’등이 내용적으로 강화
- 프로세스어프로치와 프로세스모델 도입: 제반업무를 명확히 하고 관리하도록 업종, 규모 를 막론한 모든 조직에 적용이 가능한 일반화한 단위프로세스에 관한 요구사항이나 지침을 기술
제7절. 취급, 저장, 포장 및 인도
1. 일반사항
- 대상: 인수재료, 공정 중 재료 및 최종제품
2. 취급
3. 저장
4. 포장
5. 인도
6. 적용
- ISO 9001의 4,15(취급방법과 수단), 9002의 4,4 (취급방법)
제8절. 품질기록
- 품질기록: 품질 시스템과 관련해 수행된 활동 또는 달성된 결과의 객관적 증거를 제공하 는 서류
- 주요기능 두 가지
① 활동이 적절히 수행되고 제품이 적절하다는 증거로서의 기능
② 품질 문제 발생 시 과거기록을 토대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는 기능
※ 제품인도 후 발생하는 제품책임 등에 대비하는 가치가 있다
1. 품질기록
- 공급자의 품질기록은 ISO 9001~3 요건 내의 품질 시스템 요소를 이행하고, 결과는 만 족스럽다는 것을 입증하는 자료로서 제시
- 품질 기록의 예
①검사보고서 ②시험자료 ③인정기록서 ④검증/감사보고서 ⑤제품검토보고서 ⑥교정자료
※ 하청계약자의 품질기록도 공급자 품질기록의 한 요소로 관리
2. 기록관리 절차
3. 품질 기록의 보관
- 서류 또는 전자매개체 등으로 저장 가능하며 쉽게 접근 가능한 곳에 보관
- 사본은 원본의 모든 관련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4. 품질기록의 보관 및 검색
- ISO 9000에는 최소보유기간 명시X, 계약서에 따로 규정, 공급자는 최소보유기간을 서류 화 해야 한다
- 검색방법: 표준화된 문서번호 부여, 체계, 색인, 편철방법, 검색 전산프로그램에 의한 검 색방법 등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5단원. 발주 및 납기관리 (2)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5단원. 발주 및 납기관리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9)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8)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7)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