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발주 전략 및 전술
제1절. 발주제약과 발주방법
1. 발주의 정의
- 발주대상품, 발주선, 발주방식, 발주시점, 발주량 결정 등 발주 전 준비단계 업무에서 주문서의 작성, 송달, 수주의지의 확인 까지를 포함한 일련의 업무
2. 자유선택과 제약선택
- 자유선택: 요구기능을 만족하고, 적정한 품질, 납기에 수량을 타당한 가격으로 구입하는 것을 전제로 자유롭게 구입선을 선정
- 제약선택: 구입품의 성격, 구입선의 제약, 발주 측 방침, 정책 등에서 제약되어 특정범위 내에서 선택 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특허) 등의 요인에 의한 제약적 선택
3. 발주제약
1) 발주측의 방침, 정책에 의한 제약
(1) 구입선의 제약
① 출자 자회사, 자본계열 그룹기업에 대한 우선 발주
② 자사 특허․기술 등 기타에 누설되면 안되는 발주
③ 구입품의 품질, 코스트, 납기 등이 그 제품, 나아가 회사의 운명을 좌우하는 것
④ 발주금액이 큰 것
⑤ 공동개발품, 기술제휴품
(2) 발주 조건의 제약
① 구입품의 성격에 의한 제약
② 구입선의 상태, 성격에 따른 제약
a. 이용목적: 인력의존, 기술의존, 위험분산, 생산조정
b. 이용목적에 의한 정책적 제약
- 발주품목, 금액제한, 의존도 제한
c. 구입선의 상태, 성격의 내용
③ 발주측에서 본 구입품의 관리 비중면
a. 품질기준이 까다로운 경우
b. 납기/ 양적 공급능력이 특별한 경우
c. 대폭적인 코스트 절감을 꾀할 필요가 있는 경우
d. 설계변경이 예상되는 경우
2) 마켓 자체의 제약
(1) 상대의 노하우를 사는 것
- 독점품, 특허품, 실용신안품
(2) 제조능력 상의 제약
(3) 기술상의 제약
3) 제3자 요구에 의한 제약
(1) 상위 발주자의 방침, 정책에 의한 구입선 지정
(2) KS 규격 등에 의한 구입선 제약
(3) 법률에 의한 제한
(4) 유통기구, 수비자 요구에 의한 구입선 지정/ 제한
4. 발주 방식과 그 특징(161p) ★
- 일사발주: 동일구매품은 한 회사에 한정해 발주
- 병행발주: 동일품을 여러회사로 나누어 발주
- 집중발주: 발주 측이 산하 공장을 포괄하고 정리해서 발주
- 분산발주: 각 사업소, 공장 등이 개별적으로 발주
- 일괄발주: 구입품 일련의 공정을 모아 발주, 전 공정을 한 기업에 발주
- 분할발주: 공정마다 분할해 전문기업에 발주
- 계획발주: 계획적으로 발주(정시발주)
- 임기응변식 발주: 필요 때마다 발주
- 장기발주: 발주량을 장기적으로 표시해 발주(분할 납입)
- 단발발주: 1회에 한해서 발주(두번 다시 발주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님)
5. 발주 제약과 대응책
- 163p
제2절. 발주 시 구입선의 선택
- 필요한 모든 기능과 조건을 갖춘 구입선 선택
- 최적 구입선: 납기, 품질, 가격 등에서 만족할 만한 구입선
- 현 시점에 있어 구입선 실태를 평가해 최적 구입선 선택(개척단계에서는 최적이었어도 실 태는 변하니까)
- 최적 구입선 선택 수순
① 발주측이 요구하는 기능, 조건의 변화 파악
② 구입선의 변화 파악
③ 현 시점에서 발주측 요구와 구입선 실태 비교
④ 부족기능 부가, 잉여기능 제거에 합의
⑤ 최적 구입선 결정
⑥ 표준자료 수정, 개폐
1. 발주측이 요구하는 기능, 조건 파악
- 발주측에 전 발주에서 금 발주 사이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파악
→ 종래 무엇이 어떻게 변하고, 그 크기가 어느 정도인가 정량적으로 파악
2. 거래선의 능력 파악
- 거래선의 실태가 어떻게 변했는가 파악
3. 발주측의 요구와 구입선의 실태 비교, 검토
- 발주측 요구변화 내용과 구입선의 현 실태를 비교해서 발주의 가부 검토
4. 차이에 대한 상호 협의
- 부족기능 부가, 잉여기능 제거에 대한 구입선과의 회합
5. 구입선의 결정
제3절. 효과적 발주 전략
- 상대의 요구에 응해 자사에게 유리하게 끌어가는 것이 포인트
1. 구입선의 실태 파악
- 구입선의 이면을 알아 그에 맞는 발주전략을 세우는 것
2. 등급제도에 의한 발주
- 등급기준을 설정하여 구입선을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
- 등급제도: 등급에 의해 지불조건, 기타에 차이를 두는 제도
→ 수개월 별로 등급의 변화를 알려 구입선의 자각 촉구
3. 발주 오류의 종류와 원인
- 종류: 발주 누락, 발주 지연, 발주선 선택 착오, 발주조건 설정 착오, 납입진도 착오
수입․검수․청구․수리․지불 착오, 수주내용 착오
- 원인: 책 168p
4. 발주 오류 방지기술★
- 책 169p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5단원. 발주 및 납기관리 (3)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5단원. 발주 및 납기관리 (2)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10)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9)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8)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