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구매 납기관리의 의의

1. 납기관리의 의의와 목적

1. 납기관리의 의의와 중요성

- 권위 있는 납기 설정이 중요

- 조기납기를 인정하는 것은 한편으로 지연품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됨

2. 납기관리의 목적

- 생산관리에 필요한 물품을 필요할 때 입수해 최저원가로 생산을 달성하는 것

→ 납기지연, 조기납품

- 재고량을 적게 해 자산의 효율화 도모

1) 납기 지연으로 인한 손실 방지

- 손실항목

① 여러 계획 변경에 따른 로스

② 대기시간, 불요불급 작업시간의 증가로 인한 능률 저하

③ 독촉, 대책 마련에 따른 관리요원/ 관리비 증대

④ 타 공정 사용자재 정체에 따른 보관비, 운반비, 감모비, 금리 증대

⑤ 고객 신용하락, 지연 클레임

2) 시기적절한 납기확보에 의한 자산 효율의 향상

3. 납기관리에 대한 구매 부문의 역할

 

2. 적정납기의 설정

1. 적정납기 설정의 의의

- 적정납기: 재료조달기간, 생산능력, 품질확보, 유지가 현실 가능하고 생산원가가 최소가 되길 기대할 수 있으며, 구입선의 제조, 납입관리가 원활하게 되는 것을 전제 로 한 납기

- 납기 지연 해결책

① 적정납기의 설정

② 납기 사전관리체제 확립

③ 납기관리 철저

④ 납기 트러블 처리체제 확립

<납기확보기술의 포인트> 177p

2. 표준 리드타임(기준일정/ 조달기간)의 설정

- 기준일정으로 표준화해 두어야 할 것

① 발주 전 기준일정

② 재료입수 기준일정

③ 업종, 공정별 생산기준 일정

2, 3차 외주 등 특수가공이 있는 경우 생산기준 일정

⑤ 유통기준일정

※ 특별주문으로 신제품인 경우: 상기 이외에 설계 개발기간, 시작기간 추가

1) 원재료

- 표준 규격품: 유통기준일정+검사기준일정

- 주문품: 생산기준일정+유통기준일정+검사기준일정

2) 시장 규격품

- 유통기준일정+검사기준일정 또는 생산기준일정도 추가되는 2가지 경우

3) 메이커품

- 표준품: 유통기준일정+검사기준일정

4) 외주가공품

(1) 단품의 경우

- 재료 입수 기준일정+생산기준일정+유통기준일정+검사기준일정

(2) 유니트 제품

- ‘재료입수기준일정+생산기준일정+유통기준일정+검사기준일정을 네트웍으로 나타내 그 중 최대기간

(3) 2차 가공품을 포함한 경우

- 재료입수기준일정+1차 가공생산 기준일정+2차 가공생산기준일정+유통기준일정+검사 기준일정

5) 외자구매품

- 지역별, 운송수단별 소요일수를 계산하여 표준화

3. 납기 설정의 순서

Step1. 요구 내용을 안다

- 품명, 수량, 시기, 품질기준, 검사내용, 도면 등

Step2. 기준일정과의 조합

- 기준일정이 있으면 Step3으로 진행, 기준일정 부족의 경우 이하

Step2-1. 기준일정 부족 부품의 리스트 업

Step2-2. 구입선에 기준일정 단축의 타진

- 2-2에서 해결이 안될 경우-

Step2-3. 기준일정 단축 불가요인 파악 및 원인 조사

- 단축불가요인 ① 재료조달 곤란 시장조사, 대체재 검토

② 생산능력 없다

③ 기술력 없다 발주 측 기술원에 의해 응원지도

④ 정책면 상담영역에서 해결

타진X 대체품 검토, 타 메이커 확보

※ 대책이 없으면 발주 측 생산계획 수정

Step3. 구입선에의 확인

- 기준일정이 가능한지 여부 확인

Step4. 납기의 설정

<납기설정의 플로우 차트> 182p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