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활동성 분석
1) 자본회전율의 의의
(1) 기업에 투자도니 자본이 1년 간 매출액에 의해 몇 번 회수되는가를 규명하는 것
(2) 자본회전율=매출액/자본(기초+기말)/2
2) 자본회전 기간
(1) 자본이 1회전하는데 요하는 기간
(2) 자본회전기간=자본(기초+기말)/2/매출액⨯365=1/자본회전율⨯365
3) 자본회전율의 종류
- 총자본회전율=매출액/총자본(기초+기말)/2 ⇨ 총자본의 이용정도 판단
- 매출채권회전율=매출액/매출채권(기초+기말)/2 ⇨ 매출채권의 회수정도 판단
- 재고자산회전율=매출액/재고자산(기초+기말)/2 ⇨ 재고자산의 효율적 관리정도 판단
- 유형자산회전율=매출액/유형자산(기초+기말)/2 ⇨ 유형자산의 이용정도 판단
- 매입채무회전율=매출액/매입채구(기초+기말)/2 ⇨ 매입채무의 결제 기간 판단
※ 매출채권=받을어음+외상매출금+부도어음
매입채무=지금어음+외상매출금
※ 재고자산 과다보유 시 문제점
- 보관비, 관리비, 기회비용의 증대, 불량품/ 사장품 발생 우려 증대
※ 재고자산 과소보유 시 문제점
- 상품/ 제품 매진에 의한 불매
- 원재료 부족에 의한 생산라인 중단
- 거래처에 대한 서비스 저하
4. 건전성 분석
1) 건전성 분석의 의의
- 건전성: 장단기 지급능력, 장기적 지급능력-안전성, 단기적 지급능력-유동성
- 건전성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수지타산은 맞는데 현금이 모자라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
2) 실수 분석★
- 459p
3) 비율분석
- 재무지렛대효과: 호황기에 법인세 절감 효과가 있는 타인자본에 의존함으로서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 하는 것
5. 성장성 분석
1) 기간 비교의 중요성
- 경영분석은 최소 3~5년의 추세를 분석해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
→ 성장성 분석은 추세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비율
2) 추세 분석 방법
(1) 고정기준법
- 기준연도를 정하고 기준년 대비 비교년의 비율을 분석
→ (비교년의 금액/기준년금액-1)⨯100%
(2) 이동기준법
- 직전년도 비교법, 비교년도 대비 직전년도의 비율 분석
- 물가 상승에 의한 비율의 왜곡 완화
→ (비교년 금액/직전년금액-1)⨯100%
3) 비율분석
4) 성장성 분석의 판단 포인트
(1) 매출액 증가율 ≧ 총자산증가율
(2) 매출액 증가율 ≦ 경상이익 증가율
(3) 유형자산 증가율의 증가가 없는 유형자산 회전율의 증가는 사양산업여부에 판단이 필요
6. 생산성 분석
1) 생산성과 생산성분석의 중요성
- 기업활동의 성과/ 효율을 측정하고 개별생산요소의 기여도 및 성과배분의 합리성 여부 를 구명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영합리화의 척도이며 성과에 대한 배부기준
- 생산성: 투입요소에 대한 산출물의 효율성판단지표로서 수익성 향상과 생산성과의 적정 분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 생산제요소(K.L.T)의 유효이용도로서 자본, 노동, 기술생산성으로 대별
2) 노동생산성
(1) 1인당 부가가치가 중심적 표준
(2)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부가가치/종업원수=매출액/종업원수⨯부가가치/매출액
(3) 부가가치율=부가가치/매출액
※ 부가가치율 향상 대책
① 원재료비/ 상품매입비 절감
② 제품구성 개선
③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④ 판매가격 인상
- 종업원 1인당 매출액=매출액/종업원수
3) 자본 생산성
(1) 투하자본 1원에 대한 부가가치가 중심적 표준
(2) 총자본투자효율=부가가치/총자본
= 부가가치/매출액⨯매출액/총자본
= 부가가치율⨯총자본 회전율
4) 부가가치의 개념
- 기업이 생산/ 판매를 통해 새롭게 창출한 가치
- 매출액=부가가치+외부구입가치
5) 부가가치의 계산방법
(1) 공제법
- 부가가치=매출액-외부구입가치
(2) 가산법
- 부가가치=경상이익+인건비+순금융비용+임차료+세금과 공과+감가상각비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1장 구매 자재 관리 (0) | 2021.05.04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8)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6)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5)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4)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