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 손익분기점 분석

1) 손익분기점의 개념

- 감량경영: 소수정예화에 의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제고

- 손인분기점: 매출과 비용이 같아지는 점, 손익이 제로가 되는 점

광의-원가, 조업도, 이익간의 상호관계 분석

- B.E.P: R-C=0, R=C, Income=0에서 기업 존립요건 R>C, R-C>0, Income>0

∴ 손익분기점 분석의 의의 기업존립의 최저점 도출

2) 고정비와 변동비

(1) 고정비: 조업도 관련범위 내에서 일정한 비용. TFC: 일정, UFC: 조업도에 반비례

(2) 변동비: 조업도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에 비례하는 비용.

TVC: 조업도에 비례, UVC: 일정

4) 손익분기점의 산출 방법

(1) R=C, PQ=VQ+FC

(2) 손익분기점의 매출 수량

- Q(P-C)=FC, Q=FC/(P-V)

(3) 손익분기점 매출액

- PQ=VQ+FC 양변을 PQ로 나누면 1=(VQ+FC)/PQ, 1-V/P=FC/PQ

PQ=FC/(1-V/P)

- 예제 ★★ 465p

5) 공헌이익, 변동비율, 공헌이익률의 관계

(1) 공헌이익=매출액-변동비=고정비+이익

(2) 공헌이익, 고정비, 이익의 상호관계

- 공헌이익>고정비 흑자

- 공헌이익=고정비 손익분기점

- 공헌이익<고정비 적자

(3) 공헌이익률, 변동비율의 관계

- ‘매출액-변동비=공헌이익에서 양변을 매출액으로 나누면

1-변동비율=공헌이익율

6) 손익분기점의 감도분석

(1) 판매가격, 변동비율, 고정비가 일정한 경우

① 일정한 매출액에서 손익을 산출하는 공식

- 손익=매출액(1-변동비율)-고정비

② 일정한 이익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매출액을 산출하는 공식

- 필요매출액=(고정비+목표이익)/(1-변동비율)

③ 일정한 매출액에서 발생하는 적자보전에 필요한 고정비 절감액

- 고정비 절감액=고정비-매출액(1-변동비율)

(2) 판매가격, 변동비율, 고정비가 변동하는 경우

① 판매가격이 변동하는 경우 손익분기점 산출 공식

- 손익분기점=고정비/{1-변동비/매출액(1±변화율)}

② 고정비가 변동할 경우 손익분기점 산출공식

- 손익분기점=(고정비±증감고정비)/(1-변동비/매출액)

=(고정비±증감고정비)/공헌이익율

③ 여러 항목이 변동하는 경우 필요매출액 산출공식

- 필요매출액=(현재고정비±증감고정비+목표이익)/{1-변동비/매출액(1±변화율)}

7) 도표에 의한 손기점 산출

- 이익도표, 손익분기 도표

8) 손익분기점 비율과 안전 한계율

(1) 손익분기점비율=손익분기점 매출액/매출액100%

(2) 판단기준: 손기점 비율<75% 불황저항력 높음

손기점 비율>85% 불황저항력 낮음

75%손기점비율85% 보통

(3) 안전 한계율=1-손기점 비율

(4) 판단기준: 안전한계율>25% 불황저항력 높음

안전한계율<15% 불황저항력 낮음

15%~25% 불황저항력 보통

9) 손익분기점 비율의 개선책

(1) 원재료비 절감

(2) 공헌이익률이 높은 제품에 중점을 둔 제품 구성의 개선

(3) 공헌이익률이 높은 신제품 개발

(4) 판매가격 인상

(5) 고정비 억제/ 매출액 증대

10) 바람직한 기업체질

(1) 고정비형: 고정비 많다 위험도 대, 공헌이익률 높다 수익력 대

(2) 변동비형: 고정비 적다 위험도 소, 변동비율 높다 수익력 소

(3) 바람직한 체질: 공헌이익률 높다 수익력 대, 고정비 적다 위험도 소

 

3. 기업 부실 유형 및 예방 전략

1. 비 재무 부실화 징후

2. 부실기업의 재무제표 상 특성

3. 부실기업의 유형별 특성

1) 자본 부족형 부실기업

(1) 절대적 자기자본 부족과 만성적 지금난 상태

(2) 회사 설립 시부터 자기자본이 부족하여 과도하게 타인자본에 의존함으로서 사소한 경 영환경 변화에도 적응하지 못하고 부실화되는 유형

2) 확장 파멸형 부실기업

(1) 무리한 기업확장과 제품개발에 실패

(2) 무리한 시설투자와 인수, 합병을 통한 기업 확장으로 경영에 무리를 가져와 부실화

3) 방만경영형 부실기업

(1) 경기불황 및 경쟁여건 악화로 부실화

(2) 경영자의 무능/ 경험부족으로 인한 무사안일 경영으로 부실화

4) 연쇄도산형 부실기업

(1) 자기능력을 초과해 부실기업을 인수, 관련기업 도산에 따른 채무보증 이행 및 관련기 업 채권의 회수불능으로 인한 자금압박으로 도산

(2) 관련기업 도산으로 부실채권/ 채무가 발생해 부실화

→ 한국적인 재벌 및 계열기업이 많은 나라에서 빈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