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하역 형태의 종류와 분류
시설(장소)에 따른 분류 |
자가용시설 하역 |
공장, 자가용창고, 배송센트 등 화물의 출하, 하수시설, 장소의 하역 |
사업용물류시설 하역 |
트럭 터미널, 항만, 공항, 창고의 하역, 터미널하역, 역하역, 항만하역 |
|
수송수단에서의 분류 |
트럭하역, 화차하역, 선박하역 |
|
화물 형태에 따른 분류 |
개발하역 |
상자, 대 등 포장형태별 명칭의 하역 또는 역 화물 귀중품 등 대형화물의 명칭을 사용하는 하역 |
유닛로드하역 |
펠릿, 컨테이너 등 유닛 로드화하기 위해 사용된 기계의 명칭, 또는 집합포장 등의 상태를 가리키는 하역 |
|
비포장화물하역 |
분립체, 액체 등 물품을 수송수단, 화물탑 재설비 또는 저장설비에 직접 적재, 입출고하는 하역 |
|
하역기계에 따른 분류 |
운반기 하역, 기중기 하역. 호크립트 하역, 기타 |
l 하역 운반기가 절실히 필요한 경우
- 화물이 중량으로 인력작업이 곤란한 경우
- 대량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경우
- 액체 및 분립체로 인해 인력으로 취급하기 곤란한 경우
- 인력으로는 시간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
- 운반거리가 너무 길어 인력으로는 피로가 많아 무리한 경우
- 작업장의 위치가 높고 낮음으로 해서 상-하차 작업이 곤란한 경우
- 사람이 접근하기가 곤란하거나 손으로 작업하기가 어려운 경우
- 인체에 해롭거나 위험물을 다루는 경우
l 하역 기계화 촉진 방안
- 화물유통의 계속성과 안정성 확립
- 인력하역에서 기계하역으로 전환
- 팔레트화와 컨테이너화를 전국적으로 확대실시
- 화물의 운반거리 단축, 하역작업 신속화
- 수송 포장, 보관 등의 재물적 활동과의 연관성 검토
l 수송수단과 하역기기
철 도 |
자 동 차 |
선 박 |
항 공 기 |
크레인 컨베이어 팔레트 컨테이너 호크립트 |
수하역 컨베이어 수차 대차 호크립트 트레일러 원치차 |
컨베이어 본선 데릭 암벽 크레인 컨테이너 라쉬 |
팔레트 이글루 컨베이어 베리 컨테이너 협동일관수송용 컨테이너 |
l 하역기기를 선정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요인
- 화물의 특성 고려
- 하역작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선택
- 작업환경의 특성 참작
- 하역기기의 특성 고려
l 포장의 분류 : 단위포정, 내부포장, 외부포장
l 포장의 종류 : 상업포장, 공업포장
l 상업포장의 기능 : 품질보호, 계량화, 시간적 장애의 극복, 공간적 거리의 극복, 상품가치의 제고에 의한 판매촉진, 정가판매제의 확립
l 적정공업포장을 실현하기 위해 포장의 보호성, 하역성, 작업성, 기능성, 표시성, 수송성, 경제성에 관해 재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
l 포장 치수의 표준화 효과
- 하역의 능률 향상
- 유통 코스트 절감
- 발주 및 가공의 신속화
- 일정한 로트(Lot)에서 더 많은 생산비 절감
- 품위의 향상
- 종합유통원가 절감
l 포장모듈화의 이점
- 공급업체 : 인건비 절감, 제조공정의 표준화, 단순화, 제조원가 절감, 포장재의 소모 감소, 포장 재의 재고 및 보관장소의 면적 감소
- 수요업체 : 인건비 절감, 포장설계 용이, 포장비 절감, 수송비 절감, 보관비 절감, 하역비 절감, 운송보관료 절감
- 국가적인 면 : 단순화로거래의 공정화, 유통경비 절감, 제조업자와 수요자를 동시에 보호
l 유닛로드 시스템 : 화물을 일정한 로드단위화하여 취급을 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역기계나 기구 를 사용해서 한꺼번에 화물을 이동하는 것
- 중량, 포장, 용량형태를 통일
- 하역의 기계화
- 수송의 효율화
- 포장의 간편화
- 비용절감에 직접 공헌
l 유닛로드를 취급하는 기계 : 지게차, 크레인, 전동 또는 수동의 팔레트 트럭
l 로드 단위화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기계 : 팔레트 및 컨테이너
l 유닛로드의 형태별(포장단위별) 분류 : 집합포장화물, 팔레트화물, 컨테이너화물
l 팔레트화 : 하역 운반기기를 사용하여 물품 EH는 포장화물의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적재면 을 갖고있는 하역기재.
l 유통가공 : 상품가격 표시, 상품 정리, 세트 포장
l 재고 통제-조정 분야와 창고 저장분야의 조직운영은 서로 견제되도록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 물류 거점의 구분 : 생산-외주 지역, 중앙 유통 지역, 구역 유팅 지역, 소비-사용 지역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절차별 외자구매 실무 (0) | 2021.05.04 |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3장 구매관리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2장 재고관리 (2)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2장 재고관리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1장 구매 자재 관리 (2)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