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재고관리의 개념

 

l 재고자재 : 저장품, 부품, 조립품, 구성품, 완제품

 

l 소요관리 계획 : 소요계획 -> 공급계획 -> 구매계획

 

l 정량발주법 : (평균소비량 X 조달기간) + 안전재고

 

l 평균재고량 : (발주량/2) + 안전재고

l EOQ(경제적 발주량) = (루트 2X 연간소비예측량X 1회발주비용)/단가X비율

 

l 발주량 결정시

- 최소한도는 발주량≥재고기간

- 공급업체의 경영상태

- 생산조건

- 수송 및 시황

- 발주 LOT에 따른 가격

 

l 정기발주법 : 예측기간 중 최대 수요량 + 예측기간 말의 필요재고 - 현재고 - 미착품

 

l 기대수요량 예측 : 시계열분석에 유리

 

l 안전재고의 결정

- 비통계적 방법

- 예측오차에 의한 방법

- 월간수요량에 의한 방법 => 예측지가 없을 경우

2. 소요관리

 

l 지재관리 - 자재관리 방침, 부문별자재계획

 

l 자재관리 방침

- 자재재고에 관한 방침

- 구매에 관한 기본방침

 

l 자재계획

- 자재의 사용목적

- 품목 및 품질

- 수량

- 시간을 예측

l 자재계획의 구분 : 물동계획, 공급계획, 구매계획

 

l 사용계획의 산출기준자재

(1) 설비, 시설 유지용 내구성 자재

- 각 부문별 기능 및 규격에 따른 장비 및 공기구 비품류의 기준표(정수표)

- 장비 및 공기구, 비품류에 대한 보충률(내용년수표)

- 처리실적 및 추세분석 자료

- 보유자산 및 재고현황

(2) 설비, 시설 유지용 소모성 자재

- 저장재

) 적정재고수준 EH는 부문별 상비정수

) 수요실적 및 추세분석자료

) 재고현황

- 상용재

) 보유자산 현황

) 소모율

) 수요실적 및 추세분석표

 

(3) 생산용 자재

- 제품별 자재기준표

- 자재별 기준 소요량표

- 사용일정

- 재고현황

 

l 공급계획의 1차적 목표 : 기업 내 각 부문에서 필요로하는 자재를 적기에 공급하여 경영의 원활한                                               운용에 기여하는 , 어떤 방법으로 얼마만큼 조달하는 것이 효율적인가                                         판단하는 .

l 공급계획의 기본요소

- 1차적 요소 : 구매, 자체생산여부 결정

- 2차적 요소 : 1차적 요소를 원가의 비교분석, 경영방침, 생산능력, 경제적 수리한계 등을 감안하                                     결정하는 .

 

l 공급계획의 기본요소

- 조달소요량의 결정

- 구매와 자체생산여부의 구분

- 구매와 정비

- 재고수준의 안정

- 유지방법의 선택

 

l 구매계획 : 구매조사계획, 구매방침, 구매기술개발계획, 구매요소에 관한 계획

 

l 구매계획의 기본요소 : 품목, 수량, 가격, 시기, 구매처, 조건

 

3. 저장관리

 

l 저장관리의 개념 : 자재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존하는 것.

 

l 저장관리의 원칙 : 저장위치표시의 원칙, 분류저장의 원칙, 품질보존의 원칙, 선입선출의 원칙,                         공간활용의 원칙

 

l 건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가능한 한 옥외에 야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 하역기계의 종류 : 엘리베이터, 호스트, 클레인, 포오크 리프트, 스태커

l 저장 시설

- 옥내 저장 : 일반창고, 냉동창고, 냉장창고, 지붕창고, 인화물질 저장창고

- 옥외 저장 : 두개의 횡단로, 밖을 향하게 적재

 

l 저장 계획

- 자재의 분류저장

- 자재의 순환빈도에 EK른 저장

- 자재의 크기

- 자재의 성질

- 시설의 저장능력

 

l 공간 소요 산정

- 소요넓이 산정

- 소요부피 산정 : 소요넓이 + 적재높이

- 재고액

- 통로

 

l 전표는 1 1가 원칙이다.

 

l 사외 수입품에 대해서는 납품서의 복사1를 입고전표로서 이용.

 

l 장부의 기입항목 : 수량, 금액을 기입하는 방식

 

l 장부의 형식 : 노트식, 인출형의 일람식카드(구좌수 많은 경우 유리)

 

l 창고의 현품보관장소에는 1품목 1매식 표찰이 이용

l 입고

- 사외 입고 : 보통매입에 의해 입고

- 사내 입고 : 상비품 또는 저장품 입고

 

l 출고금액의 계산법 :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편균법, 표준원가법

 

l 불용품의 처분 대상 : 잉여품, 불용품

 

l 처분의 종류 : 매각, 증여, 해체, 폐기

 

l 처분의 절차 : 검토 -> 선정 -> 상신 -> 회람 -> 관리전환 -> 승인 -> 처분

 

l 재고조사의 필요성 : 금액의 대조, 수량의 대조, 현품소모상황의 조사, 보관상황의 조사, 상비량의                                타당성 조사

 

l 재고조사의 목적 : 금액적 조사, 양적 조사, 시간적 조사의 종합석

l 재고조사의 방법 : 폐창식 조사, 개창식 조사, 특별재고조사

 

l 재고조사의 계획 : 품목수 및 양, 위치수, 소요시간, 소요인원 및 장비, 조사요원의 작업능력

 

l 재고조사의 교육 사항

- 재고조사의 목적

- 정확성

- 식별 및 상태분류법

- 재고조사 세부절차

- 측정기구의 사용법

- 실사실습

 

l 재고조사의 사전준비

- 물품을 최대한으로 식별한다.

- 식별이 되지 않는 품목은 “세지 말 것”이라고 표시한다.

- 창고내부에 비치되고 있는 비품 등에는 “세지 말 것” 이라고 표시한다.

- 낱개의 품목은 표시단위로 묶어서 세기 쉽도록 한다.

- 여러 위치에 분산된 품목은 가능한 한 이적 통합한다.

- 저울, 게이지, , 가위 등 필요한 비품을 준비한다.

 

l 재고기록 조정사항 및 절차

기록착오 -> 발견 못한 기록착오와 기술 운용상 착오 -> 주요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 재고품의 상태 변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