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절. 분배관리
l 청구 : 필요한 양을 필요한 시기에 요구하는 것
l 불출 : 수요자의 청구에 필요한 양을 필요한 시기에 사용 또는 수령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행위
l 물류의 구성요소 : 포장, 하역, 보관, 수송, 유통가공
l 자재물류 SYSTEM
- 원재료 재고 SYSTEM
- 반제품 재고 SYSTEM
- 제품상품 재고 SYSTEM
l 운반합리화의 원칙
- 물품 활성화의 원칙
(가) 활성하물
(나) 단위하물
(다) 팔레트방식
(라) 재취급방지
(마) 트레일러 열차방식
- 자동화관계의 원칙
(가) 동력화
(나) 기계화
(다) 오토메이션
(라) 중단
- 대기관계의 원칙
(가) 팀웍
(나) 진자
(다) 정부운반
(라) 기동률 향상
- 이동경로관계의 원칙
(가) 배치의 원칙
(나) 흐름의 원칙
① 스피이드화의 원칙
② 면적활용의 원칙
③ 하물보호의 원칙
제5절. 물류관리
l 기업에 있어 왜 물류가 중요한가?
- 제 3의 이익원을 찾아라
- 눈에 보이는 물류비는 빙산의 일각이다
- 기업발전에 발목을 잡고 있는 물류
l 물류의 흐름 : 원재료 -(조달)-> 공장 -(수송)-> 물류 Center -(배송)-> 고객
l 물류관리의 영역 : 조달물류관리, 사내물류관리, 판매물류관리, 반품물류관리, 폐기물류관리
수송의 경제적 기능 : 경제권 확대, 경제권 내의 물가의 균등화
수송의 분류(형태별)
- 거래 : 입고수송, 조정수송, 출고수송
- 물자 : 자재-반재품 수송, 제품-상품 수송, 물품-물자 수송
- 유통 : 생산수송, 유통서비스수송, 소비수송
l 수송수단 결정시 참고하여야 할 구체적 세부사항
- 단일 수송수단 또는 2개 이상 수송수단을 해도 무방하다.
- 수송의 종류 파악
- 수송량, 거리, 기후, 안전, 일괄수송체계, 중량제한, 화물의 수취, 신속성, 하역비와 포장비의 연 결비, 배차 및 배선
l 수송 수단 :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 등이 있다.
- 자동차 : 구역사업트럭, 노선트럭, 자기트럭
- 철도
- 화차 : 유개화차, 무개화차, 탱크화차, 호퍼차
- 컨테이너 : 보통 컨테이너, 사유 컨테이너
- 선박
- 일반 잡화 : 펠릿선, 컨테이너선, 라쉬선, 자동차 전용선
- 산화물 : 벌크 건화물 전용선, 액체화물 전용선
- 항공 : 화물전용기, 여객 및 화물 혼합기
l 수송수단의 평가 : 편리성, 확실성, 신속성, 신뢰성, 안전성, 경제성
l 수송조건
- 거리 : 장거리 수송, 중거리 수송, 단거리 수송
- 물량 : 대량정기 수송, 대량비정기 수송, 소량 수송
- 지역 : 지역간 수송, 지역외 수송, 지역내 수송
- 발착 : One To One, One To Many, Many To Many, Many To One
- 도로선 : 간선 수송, 준간선 수송, 단말 수송
- 적재 : 혼재, 전속, 왕복
l 수송수단의 비교
육 상 수 송 |
해 상 수 송 |
||
자 동 차 |
철 도 |
선 박 |
항 공 기 |
소-중량 상품의 중-근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
대량상품을 일시에 능률적으로 원거리수송에 적합하다. |
대량상품 및 중량상품의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
소량상품 및 경량상품의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
원거리 수송일 때 운임비가 비싸다. |
중거리 수송일 때 운임이 가장 싸다. |
원거리 수송일 때 운임이 가장 싸다. |
운임이 비싸다. |
기후에 영향을 받는다. |
비교적 전천후적 수송이다. |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기후의 영향을 대단히 받는다. |
비교적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
사고에 대한 안전도가 높다. |
사고의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
사고의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
중량 제한이 있다. |
중량 제한이 없다. |
중량 제한이 없다. |
중량 제한이 있다. |
문전수송체제가 용이하다. |
문전에서 문전 수송이 부적당하다. |
문전수송이 안되고 있다. |
문전수송이 안되고 있다. |
어느 곳에서나 화물의 수취가 가능하다 |
착지가 철도역으로 화물의 수취가 불리하다. |
항구에서 수취하기 때문에 더욱 불리하다. |
공항에서 수취하기 때문에 대단히 불편하다. |
수송시간이 보통이다. |
수송시간이 길다. |
수송시간이 매우 길다. |
수송시간이 대단히 짧다. |
하역비와 포장비가 싸다. |
하역비와 포장비가 싸다. |
하역비와 포장비가 비교적 비싸다. |
포장비가 비싸다. |
배차는 수시 가능하다. |
시기에 맞는 배차가 적절하지 않다. |
배선이 그다지 용이하지 않다. |
적절한 항공편이 없을 때가 많다. |
l 수송비의 원가 : 운행비, 노무비, 감가상각비, 세금 및 보험, 관리비
l 트럭운영의 원가구성 : 원료비, 유지비, 수선비, 타이어비
l 사내하역의 4가지 기능 : 수화, 이동, 분류, 적화
l 일본의 하역 물류과정 : 적화, 운반, 적부, 반출, 분류, 정돈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3장 구매관리 (0) | 2021.05.04 |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2장 재고관리 (3)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2장 재고관리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1장 구매 자재 관리 (2)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1장 구매 자재 관리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