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 분배관리

 

l 청구 : 필요한 양을 필요한 시기에 요구하는 것

 

l 불출 : 수요자의 청구에 필요한 양을 필요한 시기에 사용 또는 수령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행위

 

l 물류의 구성요소 : 포장, 하역, 보관, 수송, 유통가공

 

l 자재물류 SYSTEM

- 원재료 재고 SYSTEM

- 반제품 재고 SYSTEM

- 제품상품 재고 SYSTEM

 

l 운반합리화의 원칙

- 물품 활성화의 원칙

() 활성하물

() 단위하물

() 팔레트방식

() 재취급방지

() 트레일러 열차방식

- 자동화관계의 원칙

() 동력화

() 기계화

() 오토메이션

() 중단

- 대기관계의 원칙

() 팀웍

() 진자

() 정부운반

() 기동률 향상

- 이동경로관계의 원칙

() 배치의 원칙

() 흐름의 원칙

① 스피이드화의 원칙

              ② 면적활용의 원칙

              ③ 하물보호의 원칙

 

5. 물류관리

 

l 기업에 있어 왜 물류가 중요한가?

- 3의 이익원을 찾아라

- 눈에 보이는 물류비는 빙산의 일각이다

- 기업발전에 발목을 잡고 있는 물류

 

l 물류의 흐름 : 원재료 -(조달)-> 공장 -(수송)-> 물류 Center -(배송)-> 고객

 

l 물류관리의 영역 : 조달물류관리, 사내물류관리, 판매물류관리, 반품물류관리, 폐기물류관리

 

수송의 경제적 기능 : 경제권 확대, 경제권 내의 물가의 균등화

 

수송의 분류(형태별)

- 거래 : 입고수송, 조정수송, 출고수송

- 물자 : 자재-반재품 수송, 제품-상품 수송, 물품-물자 수송

- 유통 : 생산수송, 유통서비스수송, 소비수송

 

l 수송수단 결정시 참고하여야 할 구체적 세부사항

- 단일 수송수단 또는 2개 이상 수송수단을 해도 무방하다.

- 수송의 종류 파악

- 수송량, 거리, 기후, 안전, 일괄수송체계, 중량제한, 화물의 수취, 신속성, 하역비와 포장비의 연 결비, 배차 및 배선

 

l 수송 수단 :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 등이 있다.

- 자동차 : 구역사업트럭, 노선트럭, 자기트럭

- 철도

- 화차 : 유개화차, 무개화차, 탱크화차, 호퍼차

- 컨테이너 : 보통 컨테이너, 사유 컨테이너

 

- 선박

- 일반 잡화 : 펠릿선, 컨테이너선, 라쉬선, 자동차 전용선

- 산화물 : 벌크 건화물 전용선, 액체화물 전용선

 

- 항공 : 화물전용기, 여객 및 화물 혼합기

l 수송수단의 평가 : 편리성, 확실성, 신속성, 신뢰성, 안전성, 경제성

 

l 수송조건

- 거리 : 장거리 수송, 중거리 수송, 단거리 수송

- 물량 : 대량정기 수송, 대량비정기 수송, 소량 수송

- 지역 : 지역간 수송, 지역외 수송, 지역내 수송

- 발착 : One To One, One To Many, Many To Many, Many To One

- 도로선 : 간선 수송, 준간선 수송, 단말 수송

- 적재 : 혼재, 전속, 왕복

 

l 수송수단의 비교

육 상 수 송

해 상 수 송

자 동 차

철 도

선 박

항 공 기

-중량 상품의 중-근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대량상품을 일시에

능률적으로 원거리수송에 적합하다.

대량상품 및 중량상품의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소량상품 및 경량상품의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원거리 수송일 때 운임비가 비싸다.

중거리 수송일 때 운임이 가장 싸다.

원거리 수송일 때 운임이 가장 싸다.

운임이 비싸다.

기후에 영향을 받는다.

비교적 전천후적 수송이다.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기후의 영향을 대단히 받는다.

비교적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사고에 대한 안전도가 높다.

사고의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사고의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중량 제한이 있다.

중량 제한이 없다.

중량 제한이 없다.

중량 제한이 있다.

문전수송체제가 용이하다.

문전에서 문전 수송이 부적당하다.

문전수송이 안되고 있다.

문전수송이 안되고 있다.

어느 곳에서나 화물의 수취가 가능하다

착지가 철도역으로 화물의 수취가 불리하다.

항구에서 수취하기 때문에 더욱 불리하다.

공항에서 수취하기 때문에 대단히 불편하다.

수송시간이 보통이다.

수송시간이 길다.

수송시간이 매우 길다.

수송시간이 대단히 짧다.

하역비와 포장비가 싸다.

하역비와 포장비가 싸다.

하역비와 포장비가 비교적 비싸다.

포장비가 비싸다.

배차는 수시 가능하다.

시기에 맞는 배차가 적절하지 않다.

배선이 그다지 용이하지 않다.

적절한 항공편이 없을 때가 많다.

 

l 수송비의 원가 : 운행비, 노무비, 감가상각비, 세금 및 보험, 관리비

 

l 트럭운영의 원가구성 : 원료비, 유지비, 수선비, 타이어비

 

l 사내하역의 4가지 기능 : 수화, 이동, 분류, 적화

 

l 일본의 하역 물류과정 : 적화, 운반, 적부, 반출, 분류, 정돈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