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류]

B-1.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운영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물류 설비와 장비를 설계/수정한다.

물류란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시작부터 소비까지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 관련 정보의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흐름과 보관을 계획, 이행, 통제하는 프로세스이다.

1) 지리적 위치에 대한 고려사항

A) 노동력 : 직원의 기술과 능력, 급여 규모, 교육 프로그램, 선택과 유지 절차, 기타 직원관련 사항

B) 운송 가능성 : 운송업체의 가용성, 적합성, 비용은 공장, 창고, 최종 소비자에 대한 소매점 위치의 근접성

C) 정부 문제

  1.0 정치 : 세제 혜택과 기타 금융 혜택

  2.0 세금 고려사항 : 공공창고에 있는 재고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음으로써 조세 감면 제공

D) 환경 고려사항 : 교통부(DOT), 환경 보호국(EPA), 직업안전보건관리국(OSHA)

E) 유통경로 근접성/형태 : 투입 비용당 더 높은 수익과 소비자 만족을 창출하는 다른 경쟁 상대가 없으면, 최상의 유통경로가 형성 되었다고 말한다.

F) 평균 배송시간: 물류 성과에 관한 지표 중 하나.

 

2) 설비 배치에 대한 요건

A) 수평 VS 수직 확장 : 설비를 수직으로 확장할 것인지 수평으로 확장할 것인지 결정. 건물의 높이와 면적 피트.

B) 복수 VS 단수 선적장 : JIT재고와 같은 관행으로 선적장 설계가 보다 정교해짐. 다양한 크기의 트럭에서 보다 자주 인도 물품을 받아들여야 하여 과거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이어야 함.

C) 안전 : 고객과 타협할 수 없는 부분.

D) 보안 : 테러에 대한 통제

E) 위생 : 폐기물 처리에 관한 고려사항.

F) 창고 자재취급 시스템 : 지게차, 팔레트, 창고 입고(하역 횟수에 대한 입고일정 예약)

  -. 사전 선적통지서(Advance shipping notices, ASNs)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입고 프로세스가 효율적이고 정확해짐.

G) 노동 집약 vs 기계화

  -. 자동화  자동화 창고란 자동 저장/인출시스템(AS/RS), 자동 유도차량 시스템(AGVS), 전자태그 시스템(RFID)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자동화 기술을 사용하는 저장시설.

  -. 부품 수동 운동장비 VS 부품 자동 운송장비 : 수동 (팔레트, 카트, 롤러, 탑승 저장/인출), 자동 (수화물 컨베이어, 보관용 컨베이어 및 AS/RS)

3) 주문 인출 VS 재고 보충 기능 : 주문 인출은 조직의 창고에서 고객으로의 자재 유출 흐름을 의미하는 반면, 재고 보충은 공급업체에서 창고로 자재 유입 흐름을 의미한다.

  보충을 위한 방법으로는 독립 수요와 임의 수요, 종속 수요, 예상 수요가 있다. 종속 수요는 자재 소요 계획(MRP) 또는 생산자원 계획(MRP2)를 사용한다.

4) 가상 창고 VS 실제 창고 : 과거 조직은 벽돌로 쌓아 올린 창고를 운영했지만, 요즘은 조직간 정보 시스템이 통합되면서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여 공급업체가 고객에게 직접 선적하도록 할 수 있다.

5) 물류 성과 측정, 전략, 원가 절감 노력

A) 판매 대비 원가 비율 : 조직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

B) 예산 VS 단위당 물류 비용

  : 사전 결정된 기준과 변동 예산을 통해 원가를 관리하는 것은 가장 포괄적인 형태의 관리 시스템.

  -. 고정예산(Fixed dollar(static) : 기능의 비용을 추정한 것

  -. 변동예산(Flexible budget) : 예산을 넘어서고 활동원가를 주도하는 계절적 요소와 내부 요소를 설명

  -. 제로 수준 예산(Zero level budget) : 기능 단위와 자금 제공을 위해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수행하며 제로부터 시작하여 필요한 비용을 배정

  -. 자본예산(Capital budget) : 물류 자원에 대한 상당한 재정적 투자의 금액과 시기를 구체화

C) 매출 대비 기능 비용의 비율

D) 재고 회전율 : 재고 회전율 개선의 필요성 강조.

E) 적시 인도(On time delivery)

F) 성과 기록표

6) 3자 및 제 4자 물류 고려사항

 : 제조업체, 판매자, 구매나 입고를 담당하는 곳 이외 다른 자가 제3자 물류 서비스를 제공. 거래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제3자는 창고보관이나 거래 등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 창고 보관의 경우 제3자 물류와 창고 보관업체의 활용을 늘리는 추세.

  4자 물류는 다른 조직을 위해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자재, 부품, 공급물품, 완성품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 고객사의 공급망 전반을 제4자 물류가 관리.

7) 프로세스 개선 활동 계획 (5S 활동)

  -. 정리(Sort) :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필수 물품만 보관

  -. 정돈(Set in order or arrange) : 정돈된 작업장. 물품을 사용할 곳에 둠.

  -. 청소(Shine) : 깨끗

  -. 청결/표준(Standardize) : 표준화하여 각자 책임

  -. 지속/습관(Sustain) : 끊임없이 개선, 교육

 

B-2. 최적의 자재 흐름과 화물의 통합을 위해 수송량/분배 정책과 절차를 관리한다.

1) 운송 형태 : 수상, 차량, 철도, 항공, 파이프라인

  -. 크기, 중량, 밀도, 포장, 구체적인 물리적 특징 등 운송할 제품의 형태

  -. 조직의 니즈를 충족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운송 형태 또는 복합 운송 형태

  -. 필요 시간 등 배송 요구사항

  -. 조직의 요구 사항

2) 운송제한 : 위험 물질은 취급 제한, 검사와 보안 조치 정책 존재

3) 운송업체 비용감사 : 운송비 관리를 위한 운임 청구서 검토

4) 운송업체 성과감사 : 의지, 자세, 시간 절약에 대한 초점, 물류 시스템 설계의 유연성 등

5) 운임분류/요율 : 현지 수집과 배송 지역이 동일하지 않은 두 지점간 제품의 이동에 대해 지점간 운임 요율을 청구.

6) 사용 가능한 기술 : 운송분석, 수송 경로와 일정관리, 운임 요율 관리와 감사, 차량 유지보수

7) 재배치 또는 이동 프로세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