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협력회사 공정품질 지도
제1절. 품질관리 진단 및 지도
1. 품질관리 진단
- 책 86p
2. 공정 중간검사 실시 강화
- 공정 간 검사: 앞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기에 앞서 실시
앞공정에서의 불량을 다음에 흐르지 않도록 하며, 공정의 이상을 가능한 한 빨리 발견 후 조치
1) 자주검사
- 작업자 스스로 행하는 검사, 공정지도표에 의거
2) 공정검사
- 검사원이 고정배치되어 행함, 중간검사 Check Sheet를 작성, 결재 후 보관
3) 순회검사
- 검사부문의 검사원이 순회하며 검사, Patrol Check Sheet 작성, 결재 후 보관
3. 작업 표준서에 의한 품질개선 활동
1) 목적
- 작업자가 표준대로 작업하여 품질산포를 줄이고 작업 불량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근절, 100% 양품을 확보하기 위함
2) 작업 표준의 개념
(1) 양품의 100% 확보
- 작업표준: 지킬 수 있고 지켜지는 표준을 만들기 위해 현장탐험 실시 후 그 내용을 표준화 한 것
(2) 작업표준의 요점
① 조건의 확인(원인계)
② 결과의 확인(결과계)
3) 추진요령
① 작업표준 게시 대상공정 선정 후 제조공정도 품질관리공정도를 기준으로 작성
② 현장탐험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 실제 시행 가능 여부를 작업자와 함께 확인
※ 현장탐험 - 책 94p
4. 검사의 JIG화, FOOL PROOF, 자동화 추진
1) 검사의 JIG화 추진
- 전수검사가 불가피하고, 검사 Load의 가중이 협력업체의 인건비 상승, 경쟁력 저하의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협력업체 검사공수를 줄이고, 품질확보를 위해 검사 JIG호 추진
2) FOOL PROOF 추진
(1) FOOL PROOF의 개념
- 전공정 제품의 확인이 자연히 되도록 하고, 불량재발 방지 장치를 공정 내에 투입하 여 즉시 불량을 발견토록 하는 방법
(2) 착안점
- 착오가 있으면 물건이 JIT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 결함이 있으면 기계가 가동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 전공정 결함을 후공정에서 찾아내 불량을 막는 장치
- 작업을 잊었을 때 다음 공정이 시작되지 않는 장치
- 착오가 있으면 기계가 가공 시작을 안하는 장치
(3) 방식
① 표시방식: Lamp 색으로 구별
② JIG 방식: 틀린 물건 부착X, 부착 착오시 가동X
③ 자동화 방식: 가공도중 결함 있으면 기계 Stop
3) 자동화 추진
(1) 추진 시 착안점
- “어떤 이상이 생기면 기계 스스로 판단해 정지하고 사람에 알린다”
→ 구입기계 그대로 쓰지 않고 작업 특성에 맞게 개조
(2) 자동화의 기능
① 기능1: 사람 분리- 사람과 기계의 일 분리
→ 구입기계 그대로 쓰지 않고 작업 특성에 맞게 개조
② 기능2: 불량이 나오지 않는 체제
→ 작업자의 한시작업 없애고, 사람이 없어도 불량이 나오지 않는 ‘일하는 기계’
③ 기능3: 또 하나의 자동화
→ 이상 발생과 동시에 가공이 정지되고 그 자리에서 개선되는 ‘정지되는 라인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8)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7)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5)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4)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3)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