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 품질 문제의 사전 방지기술

1. 발주 측의 자체관리 강화

1. 품질문제의 징조 파악(58p)

- 품질문제의 징조파악을 위한 체계적인 정보관리를 위해 품질 Parameter의 정보관리와 사전 대책양식 활용

2. 품질보증 협정의 체결

1) 품질 보증의 필요성

2) 품질 보증의 사고방식

- 제품 기획, 설계, 구매, 제조 등 각 단계에서 만들어야 하는 품질은 전원협력으로 추진 하는 짜임새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

3) 품질보증 방법

- 품질보증의 책임: 제조 기획부문, 설계부문, 생산부문

→ 검사부문, 품질보증부문에는 원칙적으로 품질보증의 책임X

(1) 신제품 기획

- 제품기획서를 확실히 정해서 그 내용 명시

(2) 품질설계

- 품질 해석을 행하고, 설계품질 결정

(3) 설계 심사

(4) 공정관리

(5) 검사

(6) 서비스

4) 품질 변동 요소

- 고객 언어로 표현된 요구품질을 품질 특성으로 전개하는 것에 의해 구체적으로 제품화

- 품질특성: 품질 평가의 대상이 되는 성질성능의 것, 고객의 요구에 대한 대용특성(계 측 가능한 것의 추출이 어렵다)

- 품질요소: 품질을 평가하는 척도, 측정가능하게 되면 품질특성이 된다

(1) 품질요소의 사고방법

- 시장요구를 추상적으로 표현 품질요소

- 가능한 한 품질특성의 추출이 바람직하나 품질요소의 추출도 필요

- 디자인/ 형상 등은 표현이 어렵기 때문에 품질요소로서의 표현으로 추출

- 설계품질은 그 품질요소를 어떻게 계측하는가를 생각(품질특성)

<품질요소의 추출 포인트>

① 시장요구를 기술의 세계로 변환

② 측정 가능성에 구애되지 않고 품질요소로서 추출

③ 가능한 한 측정 가능한 품질특성을 추출

④ 품질요소 중 계측 가능하게 되었을 때 품질특성으로 부름

⑤ 품질요소는 명사+동사의 표현으로

(2) 품질요소

① 물성적 요소

② 기계적 요소

③ 인간적 요소

④ 시간적 요소

⑤ 경제적 요소

⑥ 생산적 요소

⑦ 시장적 요소

3. 수입검사 실시 강화

- 수입검사: 회사내에 입고되는 시점에서 검사하는 것

수량, 겉모양, 치수, 성능 등이 사양대로 되어있으며, 그대로 받아들여도 좋은 가 판정

※ 외부 구입물품은 수입검사만으로 품질보증이 어렵다 쌍방의사소통 중요

1) 검사절차

① 외주처에서 납품서와 함께 출하검사 성적서를 첨부하여 납품

포장은 로트단위로, 겉포장에 로트번호, 수량, 도면, 제조일자 등을 로트 구별하여 기재

③ 속포장은 납품처 편의대로 포장

④ 장기보관, 품질변화를 고려해 적정한 방법으로 포장

2) 검사방법

① 검사 절차사항 점검

② 부품검사 기준서에 의한 검사 실시 준비

③ 자체검사 성적서의 합당여부 판단

④ 로트 구별

⑤ 계수 조정 형 샘플링 검사방식(KS A 3109)에 준하여, 시료 샘플링

⑥ 검사 수준에 의해 로트 전체의 합부 판정]

⑦ 특수 정밀검사에 해당하는 품목 로트 당 1개씩 샘플링해 QC에서 시험 후 자체검사 성적서와 비교

QC검사, 당사시험이 안되는 경우 외부시험기관에 검사 의뢰

3) 수입검사 시 주의사항

4) 데이터의 처리

① 품질 동향을 정기적으로 납품처에 통보

② 공정능력지수(Cp)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무검사로 완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