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발주 시 품질 보증활동
제1절. 발주단계에서의 구매품질관리
1. 검사 성적서 첨부
- 사후 문제 발생 방지, 기준 내에서의 경향 파악을 우해 납품 시 검사 성적서의 첨부를 의무화 시킬 필요가 있음
2. 도면 사양의 검토
- 발주 전에 실시
3. 사전 품질회의
4. 검사 사양서의 작성
- 도면에 요구할 모든 품질기준을 망아할 수 없을 경우, 검사사양․기술사양서 등에 검사방 법, 요령 등을 명시
5. 한도견본의 설정
- 외관, 흠, 긁힘 등 정량화 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우 현물을 가지고 판단기준을 제시
→ 한도견본
- 발주 측, 구입선 쌍방이 보관하는 것으로 상황판단 기준을 통일
- 주의사항
① 시간 경과에 따른 한도견본 현물의 변화
② 한도견본 기준의 변화
③ 한도견본 교환시기, 보관방법
④ 한도견본 기준변경의 처치에 대해 사전에 규정
6. 계측기 관리
- 계측기의 점검방법, 취급방법, 보관방법을 규정
7. 시작견본의 확인
- 신규품 양산에 들어가기 전, 설계사양 대로 되는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몇 대의 시작 품을 갖고 성능이 테스트되어 제품기능, 제도, 작업, 검사방법, 품질기준의 검토, 확인이 행하여짐
제2절. 도면보는 법
1. 제도의 필요성
- 제도: 선, 문자, 기호 등으로 도면을 구성한 것. 물체의 모양, 다듬질 정도, 구조를 간단 명료하게 나타낸 것. 생산용 도면으로 가장 적합
2. 도면의 종류
1) 도면의 성질에 따른 분류
(1) 원도: 켄트지에 연필로 그린 최초의 도면. 트레이싱의 기본 도면
(2) 트레이스도: 원도를 복사한 것, 연필로 그린 원도 위에 트레이싱 페이퍼를 놓고 연필 또는 먹물로 그리는 것(사도)
(3) 청사진: 트레이스도를 원도로 하여 감광지에 구운 것, 공장관계자에게 배포.
선, 문자를 흰색, 바탕은 청색
2) 용도, 내용에 따른 분류☆
- 책 44p
3. 문자의 해독
- 문자: 고딕체, 수직 또는 75도 경사가 생기게 쓴다
- 한글의 크기: 높이-10, 8, 6.3, 4, 3.2, 2.5의 7종
- 로마자와 아라비아 숫자의 크기: 높이- 10, 8, 6.3, 5, 4, 3.2, 2.5, 2의 8종
1) 문자 쓰는 법
- 간결하게, 가로쓰기
- 같은 도면에서는 높이가 같게, 나비는 적절히 가감
① 높이 안내선 위․아래를 긋는다(나비, 간격, 경사 안내선은 필요에 따라)
② 먹물로 쓸 때는 높이의 1/10 굵기가 표준, 연필은 HB/ H- 원뿔로 갈라 조금 굵게
③ 문자 간, 어구 간 적강간격
④ 표에 문자 기입 시 아래위 선에 닿지 않게
⑤ 동형의 크기와 조화되고, 균형 있는 배열로
<문자의 크기와 사용법>
① 좁은 곳, 한계 치수 문자- 2~2.5mm
② 일반치수문자, 주석, 명세란- 3.2~5
③ 부품번호문자- 5~8
④ 도면번호문자- 8~14
⑤ 도면명칭문자- 10~20
2) 한글 쓰는 법
① 고딕체
② 가로-수평, 세로-수직
③ 선 이음매 붙임
④ 나비는 높이의 100~80%
3) 아라비아 숫자 쓰는 법
① 5mm 이상 숫자는 높이를 2:3 비율로 나누어 상중하 3개의 안내선 그음
→ 중간 안내선은 문자 모양이 변하는 위치
4mm 이하는 상하 2줄 안내선
② 나비는 높이의 1/2
③ 75도로 경사진 안내선
④ 칸에 꽉 채워 가볍게 쓴 다음 굵게 써서 완성
⑤ 분수는 가로선을 수평으로, 분모 분자의 높이는 정수 높이의 2/3
4. 선의 해독
- 실선, 파선, 일점쇄선, 이점쇄선
- 선의 굵기는 도면의 크기, 복잡성에 따라 결정, 한 도면에 같은 용도의 선 굵기는 같아야 함
※ 선의 종류와 용도 및 굵기⇨ 책 47p
5. 투상법
1) 투상도
- 물품제작에 사용되는 도면: 물품 각 부분의 모양, 가로 세로 높이 3방향 치수 명시
- 공업용 투상도: 회화적 투상도, 정투상도
(1) 회화적 투상도
- 하나의 도면으로 물품의 모양, 크기를 나타냄
→ 투시도, 등각투상도, 부동각투상도, 사투상도
※ 투시도: 시점과 물체의 각 점을 있는 투상선에 따라 그림
시점에서 가까울수록 크게, 실제 크기와 치수가 기입X
복잡한 기계제도에 사용X, 토목, 건축제도에 사용
※ 정투상도: 평화면, 입화면, 측화면에 물체를 놓고 평행광선을 투사해 나온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를 전개한 것
물체이 가장 간단, 정확. 도면에 치수기입 완전⇨ 공업제도
2) 투상도의 명칭
- 투상면에 물체를 놓는 방법에 따라 : 제1각법, 제3각법
- 물체를 보는 방향에 따라: 6종- 정면도(앞쪽), 우측면도(오른쪽), 배면도(뒤쪽),
좌측면도(왼쪽), 평면도(위쪽), 저면도(아래쪽)
3) 제3각법과 제1각법
- 투상각: 입화면과 평화면을 연장하여 공간을 4개의 직각으로 구분한 것(제1,2,3,4각)
(1) 제3각법
- 물체를 제3각 안에 놓고 투상, 투상면 뒤쪽에 놓는다, 투상면은 유리와 같은 투명체 라 간주
- 배열: 정면도를 중심으로 위쪽에 평면도, 오른쪽에 우측면도
(2) 제1각법
- 1각에 놓고 투상, 투상면 앞쪽에 놓는다
- 배열: 정면도를 중심으로 아래에 평면도, 왼쪽에 우측면도
6. 제작도
1) 도면의 크기
(1) 도면의 치수
- 제도용지: 폭과 길이의 비가 1:√2. A~A5 사용
→ 긴 물체의 경우 용지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사용
- 길이방향을 좌우로 놓는 것이 원칙(A4 이하는 상관없다)
<제도용지 크기와 테두리 치수> 책51p
(2) 도면 접는 법
- 접은 크기가 A4와 같게, 표제란이 겉으로 드러나게
2) 척도
(1) 실척: 실물과 같은 크기
(2) 축척: 실물보다 축소
(3) 배척: 실물 확대
3) 치수
(1) 치수의 단위
① 길이: mm단위, 기호는 생략(다른 단위 쓸 경우 명시)
mm이하의 경우 소수점은 오른쪽 아래, 3자리 끊는 점은 사용X
② 각도: 도(Degree), 분 및 초 병용
→ 숫자 오른쪽에 ⁰, ‘, “
(2) 치수 기입의 요소
- 치수선: 외형선에 평행하게 그은 선
- 치수 보조선: 치수선을 긋기 위해 외형선에서 연장해 치수선에 수직하게 그은 선
① 치수선: 0.2mm 이하의 가는 실선, 양 끝에 화살표
외형선에서 10~15mm 떨어져 그음, 많은 치수선을 그을 때 같은 간격으로
② 치수보조선: 가는 실선(0.2이하), 치수선을 약간 넘게(2~3) 연장
경우에 따라 적당한 각도(60⁰)로
③ 지시선: 구멍치수, 가공법, 부품번호 기입 시, 수평선에 대해 60⁰
지시되는 쪽에 화살표 달고, 끝을 수평으로 꺾어 그 위에 지시사항/치수 기입
원의 경우 중심을 향하여 60⁰선 긋고 화살은 원 둘레에....
→ 원으로 도시되지 않는 경우 중심에 화살
(3) 치수 표시에 쓰이는 기호
① 지름기호 ∅, 정사각형 기호 ⃞
- 치수 숫자 앞, 도형에서 뚜렷이 나타날 경우 생략 가능
② 반지름 R
- 반지름 치수선이 원호 중심까지 그려져 있을 경우 생략 가능
③ 구면기호 ‘구면’
- ‘구면’+∅ 또는 R+ 치수숫자(ex) 구면∅450)
- 구면이 명백할 경우 생략 가능(모두)
④ 리셋의 피치 기호 P
⑤ 모따기 기호 C
- 물체 모서리를 비스듬히 잘라내는 것
- 모따기의 깊이와 각도 기입, 단 45⁰일 경우 기호(C)와 치수 숫자만 기입
⑥ 판의 두께 기호 t
- 판의 두께를 도시하지 않고 나타내려면, 판의 면 또는 부근에 쓴다(ex) t5)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5)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4)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2)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3단원. 코스트 테이블 작성과 활용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