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거래선의 품질 선행관리

1. 양산품 초물관리

1) 초물의 개념

① 신규 수주 시,

② 설계 변경 시,

③ 공정 변경 시(공장, 설비, 치형구, 수순, 가공법 등),

④ 과거 6개월 이상 제작실적 없을 시,

⑤ 특수공정의 작업자 변경 시,

2Vender, 부품 구입선 변경 시에 제작하는 물건

2) 기술협의

- 보안 부품, 중요기능 부품, 발주측/협력회사가 필요로 하는 물건에 대해 초물협의 실시

(1) 협력회사의 사전 검토

① 설계변경의 필요가 없는가?

② 제조 상 문제가 없는가?

③ 검사방법, 설비에 문제가 없는가?

(2) 협의 내용

- 75p

3) 공정 변경 시의 사전 신청

- 초물의 정의에 있는 공정변경을 실시할 경우: 사전에 신청서에 신청 후 발주회사 승인 받아 실시

4) 공정 보증항목 일람표(QC공정표)

(1) 목적

- 부품 원재료 입고에서 출하까지의 공정에서 제조/품질보증 부문이 실시하는 보증방 법을 순서대로 기재, 각 제조공정의 품질보증 내용과 책임을 명확히 함

(2) 사전 승인

- 초물 제조착수 전에 발주회사 검사부문의 승인 받아야 함(내용 변경도 동일)

(3) 기재요령(77p)

2. 시험, 검사설비 관리

1) 시험 검사설비 확보

- 설비 보유 현황과 미보유 설비에 대한 보완 계획서 작성

(1) 추진요령

(2) 시험검사 설비 보유현황 및 보완 계획서 작성

2) 시험, 검사설비 관리

- 주기적으로 설비의 노후 정도 파악, 유지 관리(설비관리 대장 활용)

(1) 일상점검

- 작업자의 오감에 의하거나 간단한 측정기구를 이용해 점검가능한 항목 설정,

일상점검표를 만들어 활용

(2) 정기점검

- 관리, 감독자/ 설비관리 담당자가 점검

- 고장 예상부위를 발췌해 점검항목으로 선정, 정기점검표 말들어 활용

(3) 정기 검교정의 실시

- 검교정 대상 설비는 계량계측기기 교정검사 주기표에 의거 정기적으로 외부 검교정 을 필해야 함

3. 시험, 검사 인력의 확보

4. 2차 공급자 관리

1) 2차 공급자 품질관리와 납기관리의 조화

<외주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납기관리 상 요인과 그 영향>

① 다품종 생산의 이행 작업준비 번잡, 초기생산의 불량과 작업 오류

② 단납기 주문의 증가 특급작업발생, 작업준비 번잡, 특채와 작업오류 증가

③ 수주 변동의 격화 단납기 주문과 특급작업 증가, 소로트 생산으로 돌아가려는 경향

④ 재고감소의 추진 소로트 생산화, 수주생산화, 엄밀한 납기설정 요구

⑤ 공정 변경의 다발 작업오류, 거래처와의 트러블

⑥ 새로운 생산방식 도입 불량/ 동기생산화 납기 중시

2) 협력업체의 품질관리 실천요령

3) 2차 공급자의 품질관리 실천요령

- 2차 공급자에게 요구되는 것: 협력업체가 요구하는 품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 추고, 자주적으로 품질개선과 관리를 도모하려는 굳은 의지

① 리더쉽 발휘

② 원만한 인간관계

③ 외주품질 대책의 기본은 정리, 정돈

④ 고차원적 기법보다 중소기업에 적합한 기법을 익혀서 일상관리에 활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