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조달물류관리
제1절. 물류의 개요
1. 물류의 정의
- 전통적 개념: 물리적 물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 시 공간 등 형질 변경을 통해 경제적 가치의 효용을 창출하는 경영활동
재화를 수요자에게 이동시키는 과정과 관련된 보관, 하역, 포장 및 이를 지원하는 정보를 포함한 모든 활동
- 새로운 개념: 물류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던 재무, 생산, 마케팅의 통합/ 관리에서 시작
소비자 요구/ 필요에 따라 기업이윤을 최대화 하면서 재화/ 서비스를 요구 되는 장소/ 시간에 완벽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
1) 미국의 정의(314p)
2) 일본의 정의(314p)
2. 물류의 목적과 원칙
1) 물류의 목적
- 물류의 본질: 풍요를 위해 인간을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 인간 본래 활동에 정진하게 함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
→ 기계문명으로부터 소회된 인간성을 회복시키는 많은 요인 중 물류가 중요한 위치
- 물류에서 원가절감과 서비스 간에 문제가 제기된 배경
→ 고객 욕구의 변화에 따른 다품종 소량, 다빈도 소량 배송의 증가
※ 물류를 단순 비용절감 수단이 아닌 경영전략의 하나로 보고, 전체 시스템적 관점에서 관리
2) 물류의 원칙
- 3S 1L의 원칙: 필요한 물품을 필요한 위치와 장소에 필요한 시기에 적정 가격으로 고 객에게 전달
- 7R의 원칙: R⇨ Right(적정한)⇨ 고객이 요구하는 서비스의 수준
Right commodity 적정한 상품, Right Quantity 적량
Right Quality 적정한 품질, Right Time 적시
Right Price 적가, Right Impression 좋은 인상
Right Place 원하는 장소
3. 물류조직의 필요성
1) 효율적 물류조직의 필요성
- 물류조직: 기업 내 물류관리/ 관련업무 수행을 위해 책임과 권한을 체계화 시킨 조직
2) 물류관리 전담부서의 중요성
- 물류 조직과 배열의 중요성은 기업 물류 성격에 의존
4. 물류 조직의 변천
- 분산형⇨ 집중형⇨ 독립부문형⇨ 독립채산형⇨ 자회사형
1) 분산형
- 각 공장/ 영업부서, 운송부서, 총무부서 등에 분산
2) 집중형
3) 독립부문형
4) 독립 채산형
- 물류에 원가 비중이 과도하게 되어 독립채산체 조직으로 발전
5) 자회사 형
- 전문화로 인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발전
5. 산업별 물류 조직
1) 서비스업의 물류조직
- 공급측의 물류활동과 관련
- 수송에 대한 관심은 약하게 취급
- 물리적 분배활동의 승인 없이 자재관리에 중점
2) 유통업의 물류조직
- 재판매를 위해 상품을 구매하는 기업, 주요관심사는 판매와 물류활동
- 물류관리를 위한 조직 중요, 자재관리와 물리적 분배 모두에 해당
- 강력한 물리적 분배조직 필요
3) 제조업의 물류조직
- 품목을 더 높은 가치로 전환시킬 목적으로 많은 공급자로부터 다양한 품목 구매
- 공급, 분배측 모두에 실질적 물류활동
- 조직 설계는 자재관리와 물리적 분배 모두에 해당
6. 물류 부서의 주요 업무
- 318p
7. 물류 조직의 형태
1) 직능형 조직
- 라인/ 스텝 부문이 미분화
- 단점: ① 전사적 물류정책 도모 곤란
② 물류 전문집단 육성 곤란
③ 물류 활동이 부문활동 가운데 매몰
④ 조직 자체가 미숙
2) 라인과 스텝형 조직
(1) 특징
① 유통 전체 시스템 조절 기능
② 기업 전반의 업무 관할
③ 실시 기능과 지원기능 명확
(2) 단점
① 책임관련 권한 없다
② 물류조직 관련 사항이 영업부문에 속해 물류부문 직접관리가 어렵다
③ 현장을 과하게 의식하면 아이디어, 계획입안이 어렵다
3) 사업부형 조직
- 라인/ 스텝형 조직이 확대되어 생긴 조직, 상품별 사업부형, 지역별 사업부형 조직
(1) 특징
① 각 사업부가 독립된 분권조직 형태
② 사업부 산하 일반 스텝과 서비스 스텝 존재
③ 각 사업부가 하나의 회사같이 운영, 영업활동 결과에 책임
④ 하나의 기업같이 활동⇨ 인재육성에 우수
(2) 단점
① 인재교류가 경직화⇨ 적절한 활용 어려움
② 종적인 형태를 취해 사업부간 횡적 교류 어려움⇨ SBU개념 도입
4) 그리드 형 조직
- 다국적기업에서의 형태, 해외사업본부 하에 각국의 자회사를 두고 관리
8. 물류 자회사
- 모회사 물류 전부/ 일부를 대행하기 위한 수단, 모회사 출자/ 인원파견으로 설립됨
1) 물류 자회사의 형태 별 활동 영역
(1) 모회사 전속형
- 모회사의 업무만 수행
(2) 그룹형
- 모회사를 포함하는 그룹과 관련회사의 물류업무 수행
(3) 물류 사업형
- 수익성 사업(판매 등)을 포함한 물류기업, 그룹 비용절감, 수익면에서 그룹 전체에 기여
2) 물류 자회사의 장점과 문제점
(1) 모회사 관점에서의 장점
(2) 자회사 관점에서의 장점
(3) 물류 자회사의 문제점
① 모회사 물류정책이 자회사 말단까지 미치지 않을 가능성
② 모회사 의사소통 저해
③ 자회사가 하청기업 식으로 전락
④ 모회사로부터 낙하산 인사⇨ 사기저하
⑤ 자회사를 관리하는 스텝부문 비대
3) 물류 자회사의 발전 방향
- 본래 의미에서 설립취지 실현 후 다른 영역 전략 전개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8)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7)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5)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4)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3)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