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물류의 현황과 정책

1. 물류 환경의 주요 변화

1) 물류 기반시설 부족

2) 소비 형태의 다양화

- 수요패턴이 다품종 소량화 소량 배송의 신속화, 재고 보관량 증대, 폐기물 증대 물 류비 과다지출

3) 정보기술의 발달

- 인터넷을 이용한 e-Logistics화 추구 물류작업 고속화, 공동이용, 적정재고관리, 통관 절차 간소화 가능

2.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1) 경제 규모 확대에 대한 대응

- 물류 기초 시설인 사회 간접자본 확충과 공동종합운송/ 협동 일관운송 등 3자물류 (TPL)를 통한 물류 공동화의 추진 필요

2) 소비행태의 다양화에 대한 대응

- 수요정보의 신속, 정확성, 정확한 수발주시스템 확립, 배송단위 소량화, 서비스 질 향상 , 재고 보관량 증대, 폐기물 증대에 따른 물류비 상승에 대한 대응

3) 산업의 집중화에 대한 대응

- 교통의 정체 물류거점 공동이용, 협업화에 의한 공동화, 산업 클러스터 전략

4)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대한 대응

- 물류 네트워크 형성과 거점의 합리적 배치

5) 국제화에 대한 대응

- 국제 표준화에 대한 적응, 국가 간 규제에 대한 경쟁력 강화

3. 물류의 분류 체계

1) 영역에 따른 분류

- 로지스틱스가 물류보다 광의의 상위 개념

(1) 조달물류

- 물류의 시발점, 물자가 조달처로부터 운송되어 매입자 창고에 입고, 관리되어 생산공 정에 투입되기 직전까지의 물류활동

① 조달물류의 의의

- 각종 원자재가 도착하기까지 모든 과정 관리

- 협력업체 입장- 판매물류, 구입처입장- 조달물류

② 조달물류의 역할

- 생산부서에 맞추기 위해(대응) 협력회사 조건을 잘 검토하여 결품방지, 적기납품에 대응

③ 조달물류의 주요 업무

- 조달관련의 주요 업무

) 포장, 팔레트, 용기 등 표준화 규격화

) 임시 보관장소 폐지

) 협력업체와의 공동화

) 공차율 감소/ 차량회전률 증대

) 수송루트 적정화를 통한 JIT 납품

(2) 생산 물류와 사내물류

- 물자가 생산공정에 투입 될 때부터 완제품 창고에 이르기까지의 물류활동

① 생산 물류의 의의

- 고객에 대한 판매가 확정되기까지 조달된 원자재의 모든 과정관리

② 생산물류의 역할

- 원자재, 반제품, 재공품, 제품 등 다양한 형태를 관리

③ 생산물류의 주요 업무

- 물자는 정지된 순간부터 손실이 발생하므로 공정을 단축하고 재고를 삭감하도록 노력한다

※ 사내물류: 완제품 출하 시부터 판매 보관창고에 이르기까지의 물류활동

(3) 판매물류

- 완제품 판매로 출고되 고객에게 인도될 때 까지의 물류활동

① 판매물류의 의의

② 판매물류의 역할

- 제품창고에서 출고하는 과정, 배송센터 내에서 유통가공, 분류, 배송 등에서 발생 하는 물류활동 관리

(4) 반품물류

- 상품교환, 반품

① 반품물류의 의의

- 반품의 회수, 운반, 분류, 보관, 처리. 리콜제 확산과 함께 중요문제로 대두

② 반품의 발생원인

- 판매자 실수, 구매자 실수, 팔고 남은 물품의 반환

③ 반품 물류의 중요성

- 반품물류에 큰 비용이 들어감에도 싼 가격으로 반품물건이 판매되어 기업이익을 잠식하기 때문에 중요 땡물건 처리, 가격인하, 폐기 등

④ 반품의 대책 수립

- 제품설계부터 반품의 소지를 없애는 것

(5) 폐기 물류

① 폐기물류의 의의

- 제품 및 포장재, 수송용기류 등 물품에 의해 발생된 폐기물 관리

② 폐기물의 처리

- 일반 폐기물과 특정 폐기물로 구분

- 폐기물 처리 업자가 수집, 운반, 보관, 매립, 소각, 재활용 등 방법으로 처리

③ 폐기물류 대처 방안

- 친환경적 물품생산을 통해 폐기물류 감소 유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