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포장비의 구성비용
(1) 물류비 빙산설의 의미
- 손익계산서 상 독립항목으로 계산된 물류비는 빙산의 일각
→ 압도적으로 많은 부분은 지불 운임이나 지불 보관료 이외의 과목에 혼입됨
→ 포장재료비 이외의 포장노무비․부문비․사무비 등이 타과목에 혼입됨
∴ 물류 원가절감을 위해서 과목별 포장비, 물류비를 노출관리하는 것이 선결과제
(2) 포장비 과목
- 337p
3) 포장비 곡선과 적정포장
(1) 과잉포장비 > 적정범위 포장 > 과소포장비
- 포장비 절감의 목표: 적정 포장비 정점을 얻는 것
→ 정확한 정점을 구해 관리하기는 어려우므로 정점에서 최근 점을 얻음으로써 만족
→ 과잉도, 과소도 아닌 점을 구하는 것
※ 정점을 구하는(적정포장비의 도출) 비교요소: 포장비와 손실비, 포장비와 판매이익
- 포장비와 판매이익과의 관계: 포장비가 정점이하로 감소하면 판매이익 감소폭이 크 고, 정점 이상으로 증가하면 판매이익 증가폭이 완만
- 포장비와 손실비와의 관계: 포장비를 정점 이하로 감소시키면 손실비 증가폭이 크고,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손실비 증가폭이 완만
※ 공업포장비는 저렴할 수록 좋으며, 제품 안전이 보장되는 한 최소포장비가 적정포 장비이다
4) 포장비 절감기법
(1) 가치분석에 의한 포장비 절감
① 포장 재료비의 가치분석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포장재료의 가치와 가격을 분석하여 ‘성능 변화 없이 원가절 감’을 기하는 전략의 개발이 중요
② 총 포장비 분석과 재료비 절감
- 총 포장비의 구성요소를 분석
- 포장비 구성 중 재료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72%)을 알고, 그 분야 원가절감 에 중점
③ 포장 재료비 개선 분석
- 가치분석에 있어 동일한 기능을 하는 재료, 용기를 열거, 싼 용기로 대체할 것을 검토
→ 포장비의 개선 분석
(2) 기계화에 의한 포장비 절감
① 고임금 대응책과 포장작업 자동화
- 포장비 구성 중 노무비가 재료비 다음으로 높은 비중⇨ 성력화, 자동화 추진
→ 공업포장기계(수송포장용 기계)의 기계/ 자동화 Close up 추세
② 기계화에 의한 포장비 절감의 예 ⇨ 342p
(3) 규격화에 의한 포장비 절감
① 전제조건인 포장 규격화
- 각 기업의 포장규격 통일⇨ 산업계 전체 포장 규격화(산업간의 포장 규격화)
- 포장 Module 치수의 활용을 적극화⇨ 포장비 절감의 관건
② 철도/ 자동차 운송업계의 표준하조 포장화물제도의 실시
- 안전운송, 파손 클레임 분쟁 예방, 증적에 의한 체화 감소, 신속화, 합리화
(4) 예산 통제에 의한 포장비의 절감
① 필요성
- 설정한 개선계획을 실시하는 것이 곧 예산통제
→ 먼저 포장비 예산을 편성하고, 예산과 실적의 차이 분석
② 포장비 예산의 편성 방법
가) 직접포장 재료비의 예산 편성
나) 직접 노무비의 예산 편성
다) 간접 포장비의 예산 편성
-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외의 모든 포장비가 간접 포장비
③ 포장비의 예산과 실적의 차이 분석
가) 직접포장 재료비의 차이분석: ⅰ) 가격차이=실제수량⨯(표준가격-실제가격)
ⅱ) 수량차이=표준가격⨯(표준수량-실제수량)
나) 직접포장노무비 차이분석: ⅰ) 임률차이=실제시간⨯(표준임률-실제시간)
ⅱ) 능률차이=표준임률⨯(표준시간-실제시간)
제4절. 수송, 운반, 하영 시스템의 혁신
1. 수송, 운반, 하역기계의 종류와 선택
1) 운반, 하역기계의 종류
① 콘베어류 ② 크레인/ 호이스트류 ③ 트럭/ 지게차류 ④ 보조장비류
2) 운반 하역기계의 선택 기준
- 화물과 그 흐름에 대한 제반조건의 분석 필요
(1) 취급의 형태를 결정하는 6조건(348p)
(2) 운반, 하역 조건에 의한 선택 기준(349p)
2. 수송, 운반, 하역비 절감 기법
1) 수송, 운반, 하역의 성력화 방안
- 운반 하역⇨ 유통의 전 부문에 산재, 유통속도, 화물의 파손/ 열화의 원인인 경우가 많음
(1) 운반, 하역의 합리화를 위한 6원칙
① 운반 활성의 원칙
- 항상 운반하기 쉽고 움직이기 쉬운 상태로 배치
② 중력의 이용
- 화물의 중량은 이동의 방해요인
→ 이동거리 최소화, 취급횟수 감소화, 중력 저항의 최소화, 중력의 이용
③ 하역기계의 활용
- 합리화의 목표⇨ 작업의 신속함, 정확성, 용이성⇨ 이를 위해 기계를 이용
④ 흐름의 검토
- 화물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도록 한다
- 양, 속도의 변화가 없도록 평준화
⑤ 운반의 효율화
- 불필요한 것 운반X
- 과대포장 방지
- 간단한 포장으로 컨테이너에 수용
- 유니트로드화 시켜 일괄취급
⑥ 유니트로드화
- 유닛로드시스템: 화물을 Pallet에 싫어 컨테이너에 수용, 포크리프터 등 하역기계로 서 취급하여 보관, 운반⇨ 인력을 절감시켜 합리화 추구, 물류 합 리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조사] 자산 매각 / 기업 자산 처분 솔루션 / 매각 입찰 (0) | 2021.05.04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0)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8)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7)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6)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