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수송, 운반, 하역 Cost의 산출 및 경제성 계산

- 하역비: 물품을 동일시설 내에서 이동시키는데 쓰인 비용

- 하역비 회계처리법

→ 일괄계상법: 포장하역비수송하역비보관하역비를 일괄하여 포장비수송비보관비의 독립항목으로 계상

분산계상법: 포장하역비는 포장비에, 수송하역비는 수송비에 각각 분산계상하여 독립비용으로 처리

※ 일괄계상법이 합리적

 

<경제성 계산식>

Z= (S+T+U-E)X Y=I(a+b+c+1/h)

a+b+c+1/h V=(S+T+U-E)x-Y

Z=투자한도액, S=직접노무비 절약액, T=간접비 절약액, U=생산증가이익

E=설비가동비, x=설비의 연간 이용율, a=자본이자율, b=보험료, 세금의 비율

c=보전, 수선비의 비율, h=내용년수(1/h=감가상각비율)

Y=연간 설비 유지비, I=설비취급(투자)가액, V=연간 이익

→ 투자한도액(Z): 기계화에 의해 얻어진 여러 이익을 설비유지 비율로 나눈 것

Z=I 투자이익=0, I > Z 투자보류, I Z 투자

3. 오더피킹 시스템의 운영

1) 오더피킹 시스템

(1) Order Picking

- 고객의 주문품을 재고에서 선별해 출고, 수주활동의 일부

(2) Active Storage

- 유통창고의 기능: 입하-저장-Picking-검사-포장-출하

Active Storage

- 시간/ 인력이 많이 드는 Picking에 중점을 두고 자동화 성력화를 추구하는 Picking 창고

Inactive Storage(Reserve Storage)

- Active Storage에 제품 보급/ 예비저장 하는 창고

2) 오더 픽킹 시스템의 방법

(1) 사람이 물건을 취하는 방법

- Picking 시간: ① 물건 보관위치 찾는 시간 ② 물건 찾으러 오가는 시간 ③ 물건 꺼 내는 시간

(2) 물건을 사람있는 곳으로 갖고 오는 방법

- 사람의 걷는 시간 단축

- Picking 시간: ① 사람이 물건을 취하는 시간 ② 물건이 자동으로 사람 앞으로 오는 시간

→ 카루셀

(3) 11건의 방법

- Picker 1인이 하나의 주문전표로 요구되는 물건을 Picking

(4) 릴레이 방법(Zone Picking)

- 여러 명이 자신의 품목 선반 범위를 정해 각자에게 할당된 품목만 Picking

(5) Single Order Picking

- 1건의 주문전표마다 Picking

(6) Batch Order Picking

- 여러 전표를 모아 한번에 Picking

(7) Sorting 방법

- Batch Picking 한 물건을 콘베어를 이용해 고객별로 분류

3) Order Picking SystemPattern

(1) 출고 Pattern

- 저장: Pallet(P) 단위, Case(C) 단위, Picking-Pallet 단위 또는 Case를 열러 속의 단 품(B,C) 단위나 이들의 조합 357p

 

(2) IQ(출고종류 수와 출고수량 비)

- 이 비를 Ⅰ,,,Ⅳ의 4개 그룹으로 패턴화

→ 다품종 소량 출고냐 소품종 대량 출고냐의 패턴 결정

(3) 출고 패턴과 IQ

- 7종류 출고패턴(357p)IQ비를 덧붙여 Picking Pattern 내용을 확실히 결정

4) 자동 픽킹 시스템

- 팔레트 단위의 자동피킹 시스템

- 비 경제적 고투자 설비 때문에 다품종 소량의 자동피킹이 문제

∴ 완전 자동보다 유연한 인간과 기계의 조화에 의한 자동화가 바람직

- 자동픽킹 계획 시 고려사항

① 취급 수량 다()

② 품종 수 다

③ 각 품종의 재고량 다

④ 주문 건수 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