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협력회사 지도, 육성
1. 협력회사 지도 조직
1) 협력회사 형태 별 분류 및 관리 조직
(1) 협력회사 형태 별 분류
가) Ass'y생산업체(임가공업체)
- 성숙기 또는 쇠퇴기의 제품에 대한 완제품(OEM)/ 반제품 외주화
나) 부품생산업체
(2) 외주관리의 조직 형태
- 외주관리조직, 외주지도조직
2) 협력회사 지도부문의 내부조직
(1) 협력회사의 지역별 구분
- 장점: 고정된 지도요원 배치, 외주업체 순회 용이
- 단점: 협력업체 업종 무시, 담당자의 폭넓은 지식 필요, 1차지도(일반적 환경지도) 단 계에서는 좋으나 전문분야별 지도 시 부족
(2) 협력회사의 업종별 구분
- 해당 업종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지도요원으로 구성
- 장점: 지도성과 큼, 지도요원 자질향상 측면에서 효과적
- 단점: 지역이 고려되지 않아 지도요원 출퇴근 문제 대두
(3) 지도요원의 전문기술 형태별 구분
- 협력회사 지도요원의 구성 형태가 가장 중요
- 상주지도 보다 순회지도가 유효
2. 협력회사의 생산형태별 분류 및 지도육성 방향
1) 협력회사의 생산형태별 분류 및 육성방향
(1) 생산 형태별 분류
- 완성품 전문업체: 모기업 설계사양에 근거, 완성된 제품 생산
- 부품가공업체(사양/ 준사양품): 조립, A/S품을 가공 조립하여 공급. 모기업 설계사양 에 바탕
- 전기부품업체(비사양품): 자공장 설계/ 사양에 의해 부품, 가공조립품을 공급
- 특수기술 전문업체
- 범용품 생산업체: 일반용품, 시장상품 생산
(2) 협력회사의 육성방향(재편성과 집약화)
- 협력회사 군을 재검토해 제1단계, 제2단계로 분류
- 제1단계: 양산화와 관리수준 향상을 꾀하여 전문화, 자립화 시키는 노력
- 제2단계: 집약을 꾀하여 기술특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편성
- ASS'Y화 추진: 모기업측면- 품질불량, Loss 발생요인 감소로 원가절감
협력회사- 자립화의 기틀 마련
2) 관리방법 상의 분류 및 지도육성
(1) 관리방법 상의 분류
가) 중점지도 대상업체
- 모기업 수준으로 레벨 업 시킬 업체
나) 일반관리대상업체
- 일반적 관리기법을 통한 지도
→ 사양품/ 준사양품 생산업체 중 중점지도 대상에서 제외된 업체
다) 기타 관리 대상 업체
- 순수 자체 능력으로 개선 추진이 가능한 대기업/ 원자재 업체, 특수전문업체 대상
- 인센티브, 페널티제를 강력 적용해 자체 개선을 추진토록 유도
(2) 지도육성 방향
가) 기본 방향
- 중점지도 대상업체: 현장 중심의 집중지도 육성
- 일반관리 대상업체: 순회/ 간접 지도
- 기타관리 대상업체: 페널티제 적용
3) 협력회사 세부 지도 육성 방법
(1) Worst업체 관리방법
- 중점관리
(2) Worst 업체의 선정
- 공정품질/ 수입검사 품질불량업체 각 10개사 선정⇨ 전사측면에서 취합해 각 5개업 체 선정
(3) Worst업체 관리
- 개선대책 작성, 제출 지시, 대표자가 방문해 재발방지대책 설명토록 지시, 대책에 따 라 개선되었는지 실사를 통해 확인, 지도
(4) QI 목표관리
- QI(Quality Index): 협력회사 납입 부품의 품질 평가치
- QI실적= 납입업체 품질 실적/모기업 제시요구목표
- 추진방법
→ QI목표 설정: 모기업 연간 품질목표 설정⇨ 협력사별 QI목표설정⇨ 협력사 동의 얻어 확정
→ QI목표관리: QI 대비 실적을 월단위로 관리해 협력사에 실적 통보, 미달업체 중점지도
(5) 협력회사 출하검사 성적서 관리
- 매 Lot에 출하검사 성적서 첨부해 출하품질 관리, 협력사 자체 품질보증 체제 구축 유도를 위해 실시
가) 성적서 제출 및 관리
- 발주 시 성적서 첨부의무화 시킴(구매부서)
- 성적서 첨부해 검사 의뢰(자재관리부서)
(6) 현지검사제 및 인정검사제
- 현지검사제: 모기업 검사원이 협력사에 상주하며 검사 실시 후 모기업생산라인에 직 접 투입
- 인정검사제: 현지검사제 실시 후 자주 품질보증체제가 구축되면 현지검사원 역할을 협력사 인정검사원이 수행
- 추진 방향: 수입검사 중심⇨ 현장검사 중심⇨ 인정검사원에 의한 자체 검사
3. 협력회사 지도 방법
1) 협력회사 지도 개요
(1) 협력회사 지도 목적
- 협력사를 업종별 경쟁력 Top-Level 기업으로 육성, 확보
-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 향상
- 체질 강화에 의한 계속적 최적 Cost, 품질, 납기 확보를 유도
(2) 기본전략
- 동기생산체제의 기반 구축
- 생산라인을 동기화시켜 JIT 납입체제를 확립하고 자재 리드타임 최소화
- 1단계: 동기생산체제 기반 구축
2단계: 생산기술능력 고도화
3단계: 동기생산체제 확립
2) 협력회사 지도계획 수립
(1) 장 단기 협력사 지도방침 설정
(2) 연간 협력사 지도계획 수립
- 장․단기 방침에 의거, 당해년에 중점지도 할 대상업체 선정하여 기간 별 지도계획 수립
(3) 업체별 지도방향 설정
- 협력사를 방문해 개략적 현황 파악 후 현 수준을 측정하여 업체별 지도방향 결정
(4) 협력사 지원계획 수립
- 협력사 지도육성 방법
① 지도요원이 협력사에 직접 투입되어 지도
② 일반적 지도육성
3) 협력사 지도 절차
4) 5S활동 추진 방법 및 사례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5) (0) | 2021.05.04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4)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2)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1) (0) | 2021.05.04 |
[시장조사] 자산 매각 / 기업 자산 처분 솔루션 / 매각 입찰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