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3. 예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 및 공급 전략을 계획하고, 전달한다.

  1) 구매 전략

    A) 소량 구매

    B) 소요량 구매

    C) 선도 구매

    D) 투기성 구매

    E) 물량기준 구매 계약

    F) 제품 수명 공급

    G) 적기 생산방식 (JIT)

    H) 위탁 판매

    I) 상품

      1.0 시장의 역동성

      2.0 거래소

      3.0 용어 : 현금상품 또는 현물상품

    J) 공급사 후 보충 시스템

    K) 외주

  2) 재정적 도구

    A) 헷징(Hedging) : 현물(물리적) 상품의 구매 또는 보유로 인한 가격위험을 상쇄하기 위한 설물계약의 매도를 수반한다.

      -. 롱 헷징(선물계약의 매입)은 원자내 인도일은 미래지만 구매일이 지연되는 고정된 가격의 판매계약을 협상할 때, 이윤 보장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 쇼트 헷징(선물계약의 매도)은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는 시장에서 재고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B) 달러 평균법 : 상품이나 부품이 오랜 기간에 걸쳐 구매될 때, 해당 품목의 재고가치는 서로 다른 시점에 구매한 품목 수량 및 가격에 기초하여 평균으로 구한다.

    C) 계약 : 대부분의 조직은 수요가 발생할 때마다 공급업체를 선정하여 발주하기 보다는 정기 계약을 체결할 공급업체를 선정한다.

      -. 장기 계약

      -. 가격 변동 조항(인상/인하 조항)

      -. 제품수명 계약

      -. 다년간 공급계약

      -. 미래 인도 계약

      -. 옵션의 사용

      -. 구매량 계약

  3) 물량의 예측

    A) 연강 소요량

    B) 부품(또는 제품)의 수명주기

    C) ,단기 구매 수요와 관려된 공급시장

    -. 현재와 미래의 기술적 영향 평가

    -. 대체 자재의 가능성과 가용성

    -. 전 세계적 공급과 수요

    -. 가격 분석

    -. 기타 추적 기법과 정보 시스템의 개발 및 사용

 

  4)  조달 방법의 선정 요소

    -. 협상

    -. 경쟁 입찰

      A) 경쟁 수준/시장 상황

      B) 산업 기준과 표준

      C) 긴급성

      D) 달러의 가치

      E) 제품/서비스 사양의 성격

      F) 희망 계약의 유형

      G) 구매 빈도

      H) 위험

        -. 소량/저위험

        -. 소량/고위험

          1) 주문 물량을 늘리고 경쟁입찰을 이용한다.

          2) 위험을 단수화하거나 낮추고 협상을 이용한다.

        -. 대량/저위험

        -. 대량/고위험

      I) 고객 요구사항

      J) 소요시간

      K) 희망 유연성 수준

      L) 구매자/판매자 불확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