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구매시장 조사
제1절. 목적과 의의
- 구매시장조사: 구매시장의 실태를 조사
- 기능 ① 필요한 자재 수집, 분석․검토
② 보다 좋은 구배방법 검색
③ 그 결과를 구매방침에 적용, 원가절감/이윤증대에 기여
※시장: 가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인
- 목적 ① 구매 예정가격 결정
② 합리적 구매계획 수립으로 구매 업무 목표/기업이익의 목표 달성
1) 구매 예정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
- 구매예정가격: 원가계산가격과 시장가격의 두 가지를 기초로 결정
→ 시장조사의 역할 ① 시장가격 파악
② 예정가격을 원가계산에 의해 결정할 때도 필요
※ 시장조사가 ②의 역할을 하는 이유
- 원가계산을 위해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등의 계산 필요, 재료비의 계산을 위해서 는 시장조사를 통해 재료의 소요량과 단가를 파악해야 한다
2) 합리적인 구매계획을 수립하는 목적
- 구매계획: 품질/대상처/시기/수량에 대한 계획
→ 구매 시기에 대한 계획: 시장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즉시 필요한 수량만 구매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면 장래의 소요수량도 구매
∴ 구매계획을 세우기 위해서 사전에 시장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제2절. 시장 조사의 원칙
1. 비용경제성의 원칙: 제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노력
2. 조사 적시성의 원칙: 소정시기 내에 시장조사 완료
3. 조사 탄력성의 원칙: 시장 상황변동의 탄력성에 따라 적절히 조사
4. 조사 정확성의 원칙
5. 조사 계획성의 원칙
제3절. 구매시장조사의 계획
- 5항목
1. 일반 기본조사
- 일반 경제동향 예측, 항상 실시되는 것, 기초자재의 시가/수급병동 상황, 경기임금의 동향 조사
2. 품목별 시장조사
- 현재 수급하고 있는 자재의 수급동향, 가격동향 조사
- 직접 구매가격 산정의 자료, 구매 시기/수량 결정을 위한 자료
3. 거래선 실태 조사
- 현재 거래하고 있는 상사 및 메이커에 대한 경영상황
- 계속거래가 가능한지 여부 조사
4. 유통경로
- 구매가격에 직접 영향
5. 자재의 신재품 개발
1) 상표, 모양
2) 품질, 규격
3) 구입수량
4) 발주시기
- 가격은 발주시기 즉, 경제정세에 따라 달라진다
5) 구매선
6) 납기
7) 계열구매
8) 상호구매
9) 구매계약 방식
① 스포트 구입의 경우
② 협정가격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③ 장기 구매의 경우
10) 지불조건
제4절. 구매 시장조사의 순서
1. 시장조사의 담당부문
- 전문 부문에 집중하여 계속적으로 실시
2. 정보수집
1) 무엇을 알려고 하는가
2) 어느 정도의 정보를 수집할 것인다
3) 어떤 방법으로 수집할 것인가
3. 정보의 정리
1) 수집 2) 평가 3) 분류, 정리 4) 분석 5) 전달 6) 이용 7) 처분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2단원. 구매계획 및 관련업무 (5) (0) | 2021.05.02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2단원. 구매계획 및 관련업무 (4) (0) | 2021.05.02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2단원. 구매계획 및 관련업무 (2) (0) | 2021.05.02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2단원. 구매계획 및 관련업무 (0) | 2021.05.02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1단원. 구매관리의 개요 (4) (0)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