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절. 검사관리
1. 구매요구 및 계약 통보 절차
2. 검사 관리 개요
1) 검사의 의의
- 품질보증을 설정하고, 그 표준과 물품 측정 결과를 비교해 개개의 양․불량/ 로트의 합 격․불합격 판정을 내리고 판정된 제품을 처리하며 품질정보를 제공하는 것
2) 검사의 목적과 중요성
- 목적: 부적합 물품 유통을 방지하고 품질을 보증하고, 품질 정보를 제공하며 공급자의 품질향상에 대한 의용 자극⇨ 물품거래-구입검사, 제조공정-중간검사 및 출하검사
- 중요성: 공급자의 입장에서 자기 제품의 신용을 보증하는 수단
소비자의 입장에서 지불대가를 보상받기 위한 보증행위
3) 검사의 종류
(1) 공정에 의한 분류
- 수입(구입)검사, 공정(중간)검사, 제품(최종)검사
(2) 장소에 의한 분류
- 정위치․순회․출장 검사
(3) 성질에 의한 분류
- 파괴․비파괴․관능 검사
(4) 검사 대상에 의한 분류
- 전수, 샘플링 검사
(5) 검사 항목에 의한 분류
- 수량, 외관, 치수, 중량, 성능 검사
4) 검사 방법의 결정
(1) 전수검사가 필요할 때
- 불량품의 혼입이 허용 안될 경우
- 로트 크기가 작을 경우
- 쉽게 검사할 수 있는 경우
- 고가품인 경우
(2) 샘플링 검사가 필요할 때
- 파괴검사의 경우, 항목이 많을 때
- 연속체나 대량물 검사
- 다수, 다량의 것으로 어느 정도 불량품의 혼입이 허용될 때
- 생산자에게 품질향상의 자극을 주고 싶을 때
5) 계수조정 Sampling 검사 방법
- Lot가 연속하여 제출되는 구입검사에 적용, 시료의 불량개수 또는 100단위 당 Lot의 합․불합격을 판정
(1) Sampling 검사의 요건과 준비
- 요건: 물품이 Lot로 처리가능
합격 Lot 중 불량 혼입이 허용
품질기준 명확
시료의 Sampling이 Random하게 이루어 질 것
Lot의 구성조건을 충족
- 준비: Lot의 크기가 미치는 영향 고려, 검사 단위의 배치
(2) Sampling 검사실시 순서
- 품질기준 설정: 불량품 계급별 구분, AQL의 설정
- 검사 수준의 지정
- Sampling형식의 선택
- 검사 엄격도의 지정
- Lot의 구성
- Sampling 방법의 설정: 검사수준, 엄격도, Lot의 크기, AQL, 시료수의 결정
- 시료의 채취
- 시료의 시험
- Lot의 판정
- Lot의 처리
(3) 검사의 엄격도 조정
① 보통검사⇨ 엄격한 검사
- 불합격 Lot을 포함하는 연속 5개 Lot의 불량개수의 한계
② 엄격한 검사⇨ 보통검사
- 연속 5회 Lot 합격
③ 보통검사⇨ 수월한 검사
- 연속 10개 Lot 합격하고 수월한 검사 한계 수 이하
④ 수월한 검사⇨ 보통검사
- 1개 Lot이라도 불합격, 1개 Lot이라도 조건부 합격
⑤ 재 제출된 Lot의 까다로운 검사
6) Random Sampling 방법
- 뽑혀짐이 쉽고, 어렵고의 치우침이 없는 시료채취 방법(확률 유출법)
(1) Random Sampling의 수단
- 골패칩, 주사위, Roulette, 난수표(Horton Smith법)
(2) 난수표의 사용방법
- 책 33p
(3) Sampling의 적용
- 단순 Sampling
→ Lot 크기에 번호부여, Random 수열 만들고, Random 수 번호의 해당물품 뽑기
- 2단계 Sampling
→ 1차 포장 단위의 단순 Sampling, 2차 낱개의 단순/ 계통 Sampling
- 다단계 Sampling
→ 3단계 이상의 Sampling
- 층별 Sampling
- 계층 Sampling
→ N/n= 간격 수
3. 검수관리 실무
1) 검수 담당 부서
(1) 외관 및 수량 검사
- 자재부서 담당이 원칙, 시험검사를 상대 공장에서 할 경우 시험검사 담당부서에서 일 괄 처리
(2) 시험검사
- 시험검사 담당 부서
2) 검수의 방법
(1) 외관-수량-시험 검사를 거쳐 종합 판정
(2) 시험검사는 외관, 수량검사에 합격된 물자에 한함
3) 검수 장소
- 계약서에 명시된 납품장소
※ 검수장소 변경이 가능한 경우
- 검수장소 협소, 공장도 물자의 경우, 설비미비, 운반검수가 용이하지 않을 때
4) 검수 요청 및 소요일수
(1) 납품 물건을 지정된 장소에 운반, 정리 후 납품서를 검수담당 부서에 제출하고 검수 요청 ⇨ 검수요청일
(2) 외관 및 수량검사- 2일, 시험검사- 6일
(3) 합격물자의 납품에 따른 수송기간은 검수 완료 후 3일 이내
5) 발췌 방법 및 담당부서
① 피시험품 발췌방법: KSA-3115(랜덤 샘플링방법)
② 발췌담당부서: 시험검사 의뢰 부서, 전량검사 시 시험검사 담당부서
6) 검사절차
7) 검사 결과의 판정
- 검사 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나, 수요가 긴급하고 대체 구입이 곤란하거나, 사용 상 지장 이 없다고 판단될 때 - 준합격 ⇨ 계약금액 감액 조치
- 양호, 시험 준합격, 무판정 시: 물자 사용부서의 의견을 들어 합격, 불합격, 준합격 판 정을 하고 수령여부 결정
- 일부 시험내용이 미비 되었거나 시험 설비 미비로 일부 항목을 실시 못하였을 경우, 시 험 가능 항목에 대한 결과에 따라 판정
- 무판정: 시험실시를 못한 부분이 중요 항목이라 판단될 경우
8) 지체상금 적용 기준일: 계약서 상의 검수 요청일
(1) 계약서 상 검수 요청일 이전에 검수 요청 시
- 납기 내 납품 완료 시: 수송기간이 경과 되었어도 납품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부과X
- 납기 후 납품 시: 납기지연에 따른 지체상금만 부과
(2) 계약서 상 검수요청일 후에 검수 요청
- 납기 내 납품 완료 시: 검수요청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만 부과
- 남기 후 납품 시: 검수요청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및 납품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부과
9) 지체상금 계산
- 계약금⨯지체일수⨯지체상금률
- 계약금액: 공급가액+VAT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4)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3)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3단원. 코스트 테이블 작성과 활용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3단원. 구매원가 분석과 가격결정 (9)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