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1장. 구매원가 절감 추진의 의의
제1절. 구매원가 절감의 필요성
- 구매부문이 기회 이익의 창출을 위해 제조, 기술, 판매 부문 등 전사적 시야와 조직적 연 계활동 하에 체계적, 종합적 원가절감 활동을 해야함
제2절. 효과적 가격인하 기법
1. 구매 가격의 인하
- 되도록 신규의 거래처를 개척, 도입하여 경쟁 상태에 두는 것이 가격 인하에 효과
- 사양을 재검토하는 일이 가격인하에 효과적
∴ 거래처와 사양을 변경하는 것이 가격인하에 효과적
→ 아무 제약 없이 기능을 만족하는 요소를 어디서나 조달할 수 있다면 큰 폭의 가격인하 가능
- 원가절감 방법
① 제품 설계의 검토: VA, VE
② 거래처 타당성 검토, 지도, 육성
→ 신규 거래처, 지도․육성을 통한 가격 인하
③ 올바른 원가 파악
④ 가격인하 절충
⑤ ABC분석 활용
2. 원가 절감 요인의 발견
- PCS에서의 현상코스트를 파악해 차이를 비교하고, PCS에서 기회손실을 찾아내어 원가 절감을 도모하면 큰 성과 기대 가능
1) 구매관리 분야에서의 원가절감 요인(244~245p)
2) 생산, 설계 분야의 원가절감 요인(거래처 혹은 모기업)
3) 제품설계 분야에서의 원가절감 요인
4) 다양한 시장 조사의 실시
3. 원가절감 성공사례
- 245p
반응형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3)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2)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5단원. 발주 및 납기관리 (5)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5단원. 발주 및 납기관리 (4)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5단원. 발주 및 납기관리 (3)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