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 수립]
E-1. 공급관리와 운영 활동이 조직의 전략과 일치하도록 소요계획(XRP)을 구현하거나, 사용한다.
1) xRP의 주요 원칙
A) 전사적 통합
-. 자재 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MRP) : 생산활동에서 사용하는 종속 수요(Dependent damand) 자재의 수량과 시기 요건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시스템. 기본 생산일정 계획(MPS), 자재 명세서(BOM), 현재 재고 데이터를 활용한다.
(재고 기록, 고객 주문과 구매 줌누 모두를 포함하여 기존 주문, 자재 명세서, 소요시간)
-. 생산자원 계획(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2, MRP2) : 생산조직에서 사용하는 모든 자원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기 위한 방법. 사업 계획, 판매와 운영 계획, 생산계획, 기본 생산 일정계획 MRP, 생산능력 소요계획, 생산능력과 자재를 위한 실행 지원계획 등 다양한 기능으로 구성.
-. 유통 소요계획(Distribution Requirements Planning, DRP) : 유통 센터로부터의 시간대별 수요를 의미하는 공급망 관리 용어. 위성 창고나 유통센터의 정미(순) 소요량을 합쳐서 중앙 유통 지점이나 생산 시설에서 정미(순) 소요량을 계획한다. DRP를 활용해 구매 소요량과 공급업체 최적화를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 유통자원 계획(Distribution resource planning, DRP2) : 다중 체계 창고관리 시스템에서 재고를 보충하기 위해 시간대 별로 나눈 전산 재고 시스템.
-.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 조직 내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특정 형태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패키지.
B) 데이터 출처 통합
C) 정보 공유
D) 데이터 무결성
2) 시스템 개별 수명주기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
-. 분석 > 설계 > 개발 > 시험 > 실행 > 유지관리
E-2. 생산 능력과 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예측, 운영계획, 일정 관리, 재고관리기능을 개발, 시행, 유지, 감시한다.
1) 보충/우선순위 도구 : 재고관리의 자동화, 단순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활용한다.
A) 공급업체 재고관리/판매자 재고관리 (SMI, VMI) :구매자 시설에서 재고를 적정 수주능로 유지.
B) ABC 분석 : 파레토의 법칙을 적용하여 A,B,C 카테고리로 정의. 10~20%(A물품)이 투자의 70~80%를 차지.
C) 재발주점 시스템 (Reorder point systems)
D) 고정 주문기간(Fixed order period) : 예정된 주기로 물품의 재고 상태를 살펴 보는 시스템. 갑자기 증가하면 재고 소진될 위험이 있어, 단일 공급업체에 여러 물품을 주문할 때 사용.
E) 고정 주문수량(Fixed order quantity) : 주문의 시간은 바뀌지만 크기는 고정. 경제적 주문량을 기반(Economic order quantity)
F) 칸반(Kanban) : '신호'. 부품 명칭, 설명서, 수량등 구체적인 정보를 통해 생산과 자재의 보충 주기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 수량기반 개발주점 시스템이 변형된 것. 주문 비용을 낮추려는 적극적 노력의 일환으로, EOQ를 작게 만들어 린(Lean) 생산과 연관.
G) 완충/안전 재고 : 안전재고는 소요시간 동안 수요의 표준 편차에 표준편차의 횟수를 곱하여 계산. 표준 편차는 해당 물품에 대해 조직이 원하는 고객 서비스 백분율 의미.
H) 불용/손상/낮은 회전 : 불용재고와 회전이 느린 재고는 사용할 수 있지만, 손상재고는 안됨.
2) 일정관리 프로세스
A) 흐름 생산 : 흐름 샌상이 반복 생산처럼 거의 연속적인 제품 생산을 의미
B) 평준화 일정관리 : 조직의 역량 활용 단계
C) 포장 최적화 : 포장비 낭비를 최소화
D) 재고에 대한 가시성 공유
E) 채찍 효과(Bullwhip effect) : 작은 수요의 대체 제품의 요구에 대해 생산과 운송의 로트 사이즈 요건, 생산과 운동 중 생산과 선적에 대한 요건이 몇 배로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공급망 하류의 작은 요구가 상류로 갈수록 큰 파동을 만드는 효과를 말한다.
3) 생산능력 활용 기법
A) 판매 예측
B) 실행 일정 계획
C) 공급업체 생산용량 분석
'이론 이야기 > 국제공인 구매공급전문가 (CP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공인 구매공급전문가] [CPSM Module2] [프로젝트 관리] (0) | 2021.05.04 |
---|---|
[국제공인 구매공급전문가] [CPSM Module2] [제품과 서비스 개발] (0) | 2021.05.04 |
[국제공인 구매공급전문가] [CPSM Module2] [조직/부서 평가] (2) (0) | 2021.05.04 |
[국제공인 구매공급전문가] [CPSM Module2] [조직/부서 평가] (0) | 2021.05.04 |
[국제공인 구매공급전문가] [CPSM Module2] [자재와 재고관리] (2) (1)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