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질]

H-1. 공급업체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리한다.

  공급업체 인증이란 향후 조사가 필요하지 않도록 주요 공급업체의 품질 시스템을 평가하는 프로세스

1) 공급업체 품질 관행(습관)

  -. 승인 공급업체(Approved) : 조직의 선택 기준을 충족시키고, 승인 명단에 추가된 공급업체

  -. 선호 공급업체(Prefered) : 품질, 운송, 가격에 대해 조직의 기대에 충족시키며 예상 못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급업체. 기본 가격 계약 체결.

  -. 협력 공급업체(Partnered) : 서로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긴밀한 관계. 사무용품와 같이 장기, 단일 공급원 관계나 전략적 중요성이 있는 상품의 장기, 단일 공급원 관계와 같이 운영상의 중요성이 이유가 되는 관계

 -. 인증 공급업체(Certified) : 품질관리 시스템을 증명 받은 공급업체.

  -. 사전 심사 통과 공급업체(Prequalified) : 조직의 선정기준을 맞추고 승인 목록에 추가된 공급업체

  -. 인증가능 공급업체 (Certifiable) : 인증 받는 과정에 있으며, 다른 조직으로부터 이미 인증을 받았을 수도 있다.

  -. 부적격 공급업체 (Disqualified) : 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 수용 검사 (Acceptance testing) : 신규 또는 변경된 제품, 프로세스,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수용하기 전에 실시하는 검사 절차

  -. 인증 요건(Certification requirements)

2) 공급업체 인증/등록 (ISO)

  -. ISO 9000:2005 : 기본사항 및 용어

  -. ISO 9001:2008 : 요건, 품질 경엉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

    (1) 4항 : 품질 경영시스템 요건

    (2) 5항 : 경영 책임

    (3) 6항 : 자원관리

    (4) 7항 : 제품실현

    (5) 8항 : 측정, 감시분석 및 개선

  -. ISO 9004:2009 : 성과 개선을 위함 지침

  -. ISO 19011:2012 : 내외부 품질 감사 및 환경관리 시스템에 대한 지침 제공

3) 구매 조직과 판매 조직의 실험 방법론 및 결과의 조율

  -. 수용/거부 이력

  -. 시험 능력 : 직원의 능력, 장비의 감시

  -. 프로세스 관리 : SPC와 SQC, 6시그마/CPK 프로세스(프로세스 능력에 대한 품질 측정 지수-사용 충족 여부), 품질시스템 관리와 조직, 시스템/절차 문서화, 시스템 인증/확인

4) 공급업체 인증을 위한 조직 요건 (SPC 증거)

  -. 관리 책임, 품질시스템, 계약 검토, 설계관리, 문서와 자료 관리, 구매(조달), 고객 공급 제품의 관리, 제품 확인과 추적성, 프로세스 관리, 검사와 시험, 검사 측정 시험장비에 대한 관리, 검사와 시험 현황, 불일치 제품에 대한 관리, 시정 조치와 예방 조치, 취급 보관 포장 저장 운송, 품질 기록 관리, 내부 품질 감사, 교육, 서비스, 통계적 기법

 

H-2.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목표 설정을 위해 측정 방법을 개발한다.

1) 품질 관리 : 품질 성과를 측정한 후 산출물의 품질수준을 관리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사양 요건과 측정한 성과를 비교하는 것

2) 품질 보증 : 공급업체가 준수할 수 있는 사양을 만들고 사양에 따라 적절한 품질을 제공하도록 공급업체를 활용하고, 고품질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 프로세스를 적용하며, 비용성과를 측정하고, 성과와 요건을 비교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관리 기능

  -. 수용 검사 : 신규, 제품, 프로세스, 시스템이나 변경사항을 공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검사 절차

  -. 생산자 위험 :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는 생산자에게 제품의 질이 낮다며 반품하는 고객 발생.

  -. 소비자 위험 : 양질의 제품인줄 알고 받았으나, 실제론 그렇지 않은 경우.

  -. 합격 품질수준(Acceptable quality level, AQL) : 일련의 만족스러운 로트를 이용해 측정한 평균에 대한 프로세스 한계

  -. 로트 허용 오차 불량률(Lot tolerance percent defective, LTPD) : LOT의 불량률 수준

  -. 표본의 유형

  -. 인증 요건

  -. 품질 문서 작성

  -. '부문별 최고' 벤치마크 : 프로세스 벤치마킹(비즈니스 프로세스 성과), 재무적 벤치마킹, 성과 벤치마킹, 제품 벤치마킹(신제품 설계, 기존제품 갱신), 전략적 벤치마킹(다른 조직이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하는지), 기능적 벤치마킹

3) 품질경영 : 제품과 프로세스의 품질을 계획, 구성, 괸리, 개선하는 기능

  -. 고객 니즈 충족 : 내부고객, 외부고객, 최종 사용자

    : 고객 만족도 조사, 포코스 그룹 활용하여 측정

  -. 품질 도구

    (1) 히스토그램 : 각 발생 빈도에 대해 측정한 값을 표현한 다이어 그램

    (2) 파레토 도표 : 발생 빈도를 내림차순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3) 특성 요인도(Cause and effet diagrams) : 어골도(Fish bone) 문제와 서로 간의 상호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고안된 양식으로 인과 다이어그램. 생선 모양의 이 다이어그램에 문제를 상단에 표시하고, 주요 원인을 굵은 가시, 이보다 작은 원인을 굵은 가시에 붙은 작은 가시로 표현. 5 whys.

    (4) 산점도(Scatter diagrmas) : 두 변수 사이에 관계를 분석하는데 사용. 회귀 분석을 통해 수량화 가능

  -. 관리도구 : 친화도(Affinity), 상관도표(interrelationship), 트리 도표(tree), 매트릭스 도표(matrix), 우선순위 매트릭스(Prioritiztion), 프로세스 결정 프로그램 도표, 활동망 도표(Activity network)

 

H-3. 공급업체 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품질 요건을 개발

1) 고객/사용자 요건 : 생산조직은 서비스 부품, 순수 서비스를 논할 때, 고객 요구사항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서비스 수준 계약(Service level agreements, SLA) : 공동 약관인 서비스 수준 계약은 업무 범위를 정의하고, 기대 수준을 정하며 구매자와 서비스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정의

  -. 서비스 : 운송, 서비스 설계, 소요시간, 고객 만족에 대한 예상 수준, 실행 등

  -. 비용 성과 : 가격, 서비스 비용, 부대비용을 명시. 가격과 총 소유비용

  -. 품질 : SQC, 서비스와 제품 설계, 서비스 묶음ㄷ ㅡㅇ에 관해 수용할 수 있는 품질 수준, 사양, 통계적 품질관리와 강튼 요건.

    1.0 주기적 검사 : 주기적이거나 순차적 표준 추출 계획을 포함. 수행한 검사의 유형, 표본 절차, 불량품 취급 등 명시

    2.0 고객 요건 :잘 만들어진 SLA는 현재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향후 프로세스 모두를 정의.

    3.0 통계적 방법/기법 : 표본 추출 절차, 합격 표본 추출, 측정 공학, 캘리퍼나 적외선과 같은 측정 기술, 계수형 관리도, 계량형 관리도, 프로세스 신뢰도, 기타 기술적 측정방법 등 포함

    4.0 검사 방법 : 고객이 파괴적 검사, 특정 화학물질이나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검사, 정부가 요구하는 특정 검사, 생산에서 사용하는 기타 절차 등의 명시를 요구

    5.0 검사 수준 :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정 부분에 필요한 검사의 강도를 의미

3) 측정 방법

A) 고객 설문 :고객 요건 파악 > 도구 개발 검증 > 도구 실행 > 결과 분석

B) 포커스 그룹

C) 성과 기록표

D) 잠재적 왜곡 : 데이터 취합 방법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

E) 벤치마킹

F) 가중치 부여

G) 간단 분류

H) 실적 반영율

4) 법적 요건 : 특정 제품과 서비스와 관련하여 규제 혹은 법적인 요구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협상 또는 계약이나 구매 주문에 명시.

5) 공급업체 생산 능력과 역량 :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산능력이 얼마나 필요한지 명시

6) 다양한 품질 프로세스

A) 6시그마

B) 린 6시그마

C) 국제 표준화 기구

D) 통계 공정관리(Statistical process control, SPC)

E) 프로세스 능력 : 프로세스가 일관성 있게 사양을 만족하는 제품을 만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족 프로세스, 이러한 프로세스의 제약 사항과 경쟁 기술을 상한, 및 하한 사양 제한에 비교하여 공급업체 품질을 측정하는 것.

  : 프로세스 능력 연구를 통해 프로세스 관리자는 공통적인 원인으로 인해 프로세스에 자연스러운 차이가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스 능력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5가지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중요 작업 공정을 선택한다. 명목지점(Bottlenecks), 프로세스에서 고비용 단계, 과거에 문제가 발생했던 구간이 해당될 수 있다.

  2) 개별 측정 값 x를 갖는 크기 n의 표본 k를 가져온다.

  3) 프로세스 자연 허용오차한계를 사양한계와 비교한다.

  4) 프로세스 능력지수를 계산하려면 상한지수, 하안지수, 프로세스 능력/위치 지수를 계산한다.

  5) 프로세스간 으력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조직마다 다양한 벤치마크를 사용하지만, 프로세스 능력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벤치마크는 1.25, 1.33, 2.0이다.. 능력 지수 Cpk가 1.25면 능력있고, 1.33이면 매우 능력이 있으며, 2.0은 세계ㅉ거인 수준의 능력이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