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감가상각비

① 감가상각비의 의의

- 대상물의 사용가능 기간동안 상각, 제품원가에 가산

- 고정자산의 내용년수 경과시의 처분가액을 취득가액에서 뺀 후 상각

- 법인세법에 규정된 잔존가액: 정율법에서만 취득가액의 5%또는 10%를 인정

② 감가상각 방법

) 정액법

- 감가상각 기간 중 상각액이 균일하게 되도록 상각

- 감가상각비()=취득가액/내용년수

) 정률법

- 상각률을 일정하게

- 상각률= 1-n√잔존가액/취득가액 , n=내용년수

- 사용 초기의 상각액이 제일 크고 점점 체감해 나가는 형식

- 감가상각액()=년초상각잔액상각률1/12

= 4100만원0.2541/12=867,833

) 생산량 비례법

- 광업에서 주로 사용, 고정자산 감가상각을 채굴예정량으로 나누어 생산단위당 상 가액 결정

- 금형, 지그와 같이 수명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생산단위당 할당

- 감가상각액=생산단위당 상가액실제생산량

=(구입가격-잔유가치)/채굴예정량해당사업년도 채굴량

예제] 500만원짜리 프레스금형, 수명 100만회

→ 제품 개당 금형비? 감가상각액=500만원/100만개= 5/

③ 감가상각법의 선택

- 대부분 정률법 선택: 이유- 초기에 상각액을 크게 잡아 투자회수율 높이고, 안전

빠른 기술혁신 속도에 대처용이

※ 원가계산에서는 정률법보다 정액법이 간편하고 합리적이다

(정률법은)변화가 없어도 원가가 절감

개선이 없어도 감소하는 상각액 만큼 원가가 감소하므로 비교분석을 위해서 재 계산/조정이 필요

→ 견적의 비교

구입년도에 따라 상각비, 견적가가 달라지면 혼란이 초래되므로 비교분석을 위 해서는 정액법이 편리

(2) 감가상각비의 계산방법

- 감가상각비의 내용: 기계, 설비/ 건물 및 부대설비/ 차량/ 비품

① 기계, 설비의 감가상각비

- 시간당 감가상각비 구한 후 작업시간에 곱하여 제품별로 배부

- 리스설비인 경우 월 리스료를 상각액으로 간주

- 감가상각비(시간)=년 감가상각비1/년 가동가능시간

=(취득가액-잔존가액)/내용년수1/년가동가능시간

가동시간과 비 가동시간으로 나누어 비 가동시간에 발생한 비용을 가동시간에 할증

∴ 감가상각비=작업시간시간당 감가상각액÷가동률

※설비별 감가상각비의 기준 설정: 미리 산출하여 테이블로 작성

② 건물의 상각비

- 각 공정 또는 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에 따라 배부

) 면적의 분류

- 작업면적=기계설비면적+공통할증면적

=기계설비면적÷(1-공통면적 비율)

) 면적 비율의 산출

- 각 기계설비별로 면적을 산출 후 전체 기계설비면적의 백분비로 환산

) 공통면적의 할증률(공통면적비율) 계산

- 공통면적비율=공통면적/(기계설비면적+공통면적)

) 기계설비별 건물 감가상각비의 계산

- ㎡당 건물감가상각비/시간=㎡당건축비/내용년수1/년가동시간

) 코스트 테이블의 작성 및 활용

) 사상공정의 건물 감가상각비 계산

- 기계설비별이 아닌 공수에 따른 기준 설정

) 기타 설비의 설비 감가상각비 계산

- 성격별로 비례시켜 할증(사무실일반관리, 식당복리후생비)

③ 차량감가상각비(정액법)

- 제품운반 차량 감가상각비: 운반비와 같은 성격으로 분류(수량비례비)

- 출퇴근 차량 감가상각비: 복리후생측면에서 계산(인원비례비)

④ 비품 및 기타 고정상각비

(3) 외주가공비의 계산

- 부품별, 공정별로 기록, 집계

(4) 인원비례비의 계산

① 연간 비용의 집계

② 직접인원에 배부

- 직접인원 60, 작업시간 11시간/, 총금액(연간) 44260

→ 시간당 비용= 44260/(60122011시간) = 279/시간

③ 제품별 비용계산

- 인원비례비=279/시간작업공수÷직접시간율

(5) 면적비례비의 계산(356p)

① 연간 비용의 집계

② 공정별 배분

③ 시간당 비용 환산

- 선반 4, 배부비용 1276

→ 시간당 비용=1276/(4122011시간)= 121/시간

④ 제품별 비용계산(선반공정에서 20공수 소요)

- 면적비례비=시간당비용작업공수÷직접시간율

=121/시간20÷직접시간율

(6) 매출액비례비

① 연간 비용의 집계

② 매출액 비례율 계산

- 년간 비용 총계 45750, 년 매출액 1250000

→ 매출액 비례율=년비용계/년매출액=45750/1250000= 0.0366

③ 제품별 비용 계산

- 매출액 비례비=제품가격매출액 비례율

=제품가격0.0366

(7) 수량비례비

① 연간비용의 집계(ex)27133)

- 수주건수에 따라 발생한다고 보는 비용

② 연간 수주건수의 집계

- 전년도 총 수주건수 집계(ex)200)

③ 제품별 비용계산

- 수량비례비=년간비용/년간수주건수=27133000/200=136000/

(8) 전력비

① 연간 전력비 집계(ex)800000)

② 공정별 전력 용량 계산

③ 설비별 시간당 전력비 환산(선반 2, 전력비율 0.276)

- 시간당 전력=(년간비용전력비율)/(설비대수년보유공수)

=(8000000.276)/(2122011시간)=42/시간

④ 제품별 비용계산(ex)25시간)

- 전력비=시간당전력비작업시간직접시간율

=4225직접시간율

(9) 설비가격비례비

① 연간비용집계(ex)2926)

② 공정별 설비 비율 산출

- 공정별 설비 가격이 전체 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율(밀링 5, 0.446)

③ 시간당 비용의 계산

- 공정별 비용(전체비용점유비율)을 보유공수로 나눔

- 시간당 비용=(년비용점유비율)/(설비대수보유공수)

=(29260.276)/(5122011시간)=61/MH

5) 일반관리비, 판매비이익률

(1) 일반관리: 판매비율의 대상범위

(2) 일반관리 비율과 제조원가와의 관계

① 종래의 방법

- 재료비+가공비 일반관리비, 판매비율

제조원가

② 구입원가기준 분석방법

- 재료비

가공비 일반관리비, 판매비율

※ 가공비라는 부가가치에 대해서만 인정

(3) 적정 일반관리 비율

- 종래와 달리 가공비에 대해서만 곱하는 것이므로 공지된 자료보다 높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