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코스트 테이블 작성과 활용
제1절. 코스트 테이블의 개요
- 목적: 합리적 원가 분석을 통한 자재비 절감과 최적 구매단가 결정 방법을 신속히 제공함 으로서 구배담당자에게는 원가절감의 목표가 되고, 협력회사는 현 상태를 향상시킬 척도로 활용하게 하는 것
- 유의사항: 1. 적용에 앞서 원가구매요소에 대해 분석하여 무조건적 적용 삼가
2. 모든 특수상황을 총 망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가 변화요일을 항상 검토 하는 선행관리 필요
※ 코스트 테이블은 부문 간의 공통언어이다
제2절. 코스트테이블 작성의 진행 방법
1. 원가 변동 요인의 발견
1) 제품분석과 원가 구성요소에서의 발견
2) 원가 변동요인을 체계화(변동요인 체계표)
- Cost Table의 체계
: 부품가격 제조원가 재료단가표
공법별 가공비 Table
공법별 금형비 Table
이익, 일반관리비 Table
부품별 Cost Table(Price Table)
2. 변동요인의 개별분석
1) 요인별로 요소치, 내용을 정량화(변동요인별 요소구성표)
- Cost는 ‘고유기술’과 ‘관리기술’의 결과이다!
2) 변동요인별로 원가와의 상관성 분석
3) 변동요인 간 상관성 및 변동요인과 원가와의 상관성 해석
4) 코스트 테이블 작성
(1) 원가 변동요인의 보완 수정(매년)
(2) 코스트 테이블의 작성
- 작성팀 구성
- 기초조사
- 표준작성
- 사내 표준 득결
※ 코스트 테이블의 모사의 기준(최소 원가 지향)⇨ 업체와 공유할 필요X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작성⇨ 업체의 개선유도, 기준에 맞는 업체선정을 위해
모사의 코스트 테이블 보다 업체의 것이 유리하다면 모사의 것은 보완되어야 함
이는 모사의 체질 강화에도 효과가 있음
업체와 협의 하에 코스트 테이블을 작성한다면 최소원가 지향이 어려울 것
여러 업체 조사 후 각 업체에서 가장 유리한 부분들만 추려 구축
(3) 코스트 테이블의 작성 프로세스
㉠ 계획의 입안
- Process별 업무내용을 명확히 하여 작성계획 입안
㉡ 기초지식의 습득
- 공법의 종류, 원리, 제조 공정을 명확히 함
㉢ 정보의 수집과 정리
- 조사항목표에 의거 정보를 수집/정리
㉣ 기술과 원가의 기준화
- 수집한 정보에 의한 기술과 원가의 관계 명확히 하여 기준화
㉤ 기준서의 정리와 PC화
- 기준화한 내용 정리, 사용 용이를 위해 PC화
5) 코스트 테이블 작성 절차
- p. 379
제3절. 코스트 테이블의 활용
-부품 원가 견적에 있어 누가해도 합리적일 수 있는 전사적인 기준
1. Press 부품
- 표준구매원가=재료비+가공비+표면처리비+일반관리비+허용이익+금형상각비+(포장비)
2. 사출성형부품
1) 원재료 포함 발주 시 원가계산
- 표준구매원가= 재료비+가공비+일반관리비+허용이익+(포장비)
2) 원재료 사급발주 시 원가계산
- 납품업체에서 착색 및 구입품을 사용할 경우
→ 재료비=착색비+구입부품비
∴ 표준구매원가=(재료비)+가공비+일반관리비+허용이익+포장비-(회수재료비)
3. 포장물(공판지 상자 및 내상 Box)
- 표준구매원가=표준단가(원/㎡)⨯소요면적(㎡)
4. Ass'y물
- 표준구매원가=기준부품단가+매입부품비⨯(1+일반관리비율+허용이익)+(S/T⨯임률)+포장비
1) 기준부품단가
- 당사거래가격, 1차 공급자로부터 구입하는 부품비
2) 매입부품비
- 1차 공급자가 2차로부터 구입하는 부품비
3) 일반관리비 및 허용이익
- 일반관리율: 10%, 허용이익: 5%
4) 표준작업시간
- Ass'y 조립작업 시 소요되는 표준작업시간
5) 임률
- ₩40/분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2)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3단원. 구매원가 분석과 가격결정 (9)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3단원. 구매원가 분석과 가격결정 (8)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3단원. 구매원가 분석과 가격결정 (7)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