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 수입화물의 운송

l 선적서류의 종류 : 선하증권, 보험증권, 상업송장 등의 주요서류, 원산지 증명서, 영사송장, 포장명세서, 품질증명서

 

l 선하증권

- 선적 여부에 따라

             선적 선하증권 : 선적완료후 발행

             수취 선하증권 : 선박회사의 부두창고에 입고되는 시점에서 발행

- 화물상태에 따라

             무사고 선하증권 : 화물양호, 수량정확

             사고 부선하증권 : 선박회사 인수시 B/L 내용의 상이에 따라 그 내용을 B/L에 표시한다.

- 수입자명의 기재여부에 따라

             기명식 선하증권 : 수입자명이 기재됨

             지시식 선하증권 : 수입자명대신 “ORDER OF~"로 수입자가 B/L 이면에 백지배서만 하면 소유 인정

- 전항선하증권 : 화물의 운송이 “통용운송계약”에 의거 발행

- 선하증권의 대용서류 : 철도화물의 상환증, 항공화물 수취증, 우편소포 수취증

 

l 선하증권의 필수 기재사항

- 운송품명

- 중량, 용적, 개수

- 화물의 기호

- 선적항, 양륙항

- 선장명

- 하송인, 수하인, 운송비

- 선하증권의 작성 통수

- 작성년월일

 

l 외국 무역에 사용되는 송장은 국내성업에 사용되는 물품에 대한 단순한 안내서와는 달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같는다.

- 거래상품에 관한 중요사항은 상기한 바와 같은 화물의 명세서로서의 역할

- 그 상품의 대금 및 제비용 등 주요 가격구성 요소를 기술한 계산서 겸 대금청구서

- 화수인으로부터 보면 수입화물에 대한 매입서이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역계약이행의 사실 입증자료로도 유력한 자료가 되며 세관신고의 증명자료도 되는 것이다.

 

상업송장의 주요기재사항

- 상품명, 수량, 단가

- 인도조건(FOB 혹은 CIF )

- 지불조건

- 총 금액

- 매수인, 매도인

- 포장 및 화인

- 기타(선박명, 선적 및 목적항, 출항일자, 신용장번호 등

 

l 상업송장의 검토사항

- 송장금액이 수입 L/C 개설금액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계약된 선적조건에 인정하지 않는 비용은 산입하지 말아야 한다.

- 해상운임을 표시할 때는 B/L상의 전항로를 포함해야 한다.

- 상품내용에 대한 표현은 신용장상의 표현과 완전 일치되어야 하며, 기타 송장 상에 요구되는 문구 도 동일해야 한다.

- 선전상품 표시는 B/L상의 것과 일치되어야 하며 CASE, BOX, BAG 등의 포장단위도 같아야 한다.

 

l 선적 서류의 부속서류

- 증명서류 : 품질증명서, 분석증명서, 수량증명서

- 명세서류 : 내용명세서, 포장명세서

- 계산서류 : 거래상의 소액채무를 표시한 대변표와 소액채권을 표시한 차변표 및 이 내용을 송장금 액에 가감하여 표시한 계산서 등이 있다.

 

l 해상운송의 종류 : 정기선 운송, 부정기선 운송, 전용선 운송

 

l 해운동맹의 운임료 = (기준운임 + 적용할증료) - 적용 할인액

 

l 화물선의 종류

- 재래형 화물선

- 다목적 화물선

- Full Container Vessel

- Ro/Ro(Roll On/Roll Off Vessel)

- LASH

- 기타 선박

             Bulk Carrier : 광석, 곡물, 목재 등을 운송함

             Heary Liffer : 중량물 운반을 위한 장비를 부착

             목재선

             자동차 전용선

             Tranker

 

l  

Container

용 도

Dry Container

Reefer Container

Bulk Container

Open Top Container

Flat Rack Container

Tank Container

Platform Container

Pen Container

Hanger Container

일반 잡화용(온도조절 불필요)

냉동화물용으로 과실, 아채, 육류 등 운반

소맥분, 가출사료, 분말류 등 운반

Dry Cont에서 천장제거, 기계류, 철강제품

Dry Cont에서 천정, 벽을 제거한 것.

유류, 화학품 등의 액체화물 운반용

중량물이나 부피가 큰 화물수송용

Live Stock Container로서 동물 운반

양복, 피복류 등 옷걸이가 걸린 상태로 운반

l 컨테이너의 용도별 분류

 

 

l 컨테이너 관련용어

- FCL : 1명의 화주가 1컨테이너를 전부 채워 운송. 화물분리신송 운임은 다소 높음

- LCL : 소량의 화물을 소지한 다수의 화주가 1개의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

- CFS : 화물을 컨테이너에서 통관을 하기 위해 인수하는 장소인데 일반적으로 CY

- TEU : 20Ft 컨테이너

- FEU : 40Ft 컨테이너

 

l 해상운임의 조건 : -양지의 선내 하역비를 화주 또는 운송인 중 누가 부담하느냐에 따라 Berth Term, FI, FIO, FO 4종류로 구분된다.

 

l 해상운임의 구성

- 기본운임(품목별, Cont)

- 추가할증료(유가할증료, 통화할증료, 차별할증료)

- 특별운임(Minimum 중량에 대한 운임, 자유 임률, 특별할인운임)

- 운임외 비용(CFS charge, D.D.C. 부두 사용료, 체화비용)

 

l 운임의 책정

- 중량 기준(Long Ton=1,016kg, Short Ton=907Kg, Metric Ton)

- 용적 기준(IMT = 40cft, ICM = 35.3cft)

- 종가 기준(보석이나 고가의 화물-통상 가액의 2~5%를 운임)

- BOX RATE(화물량에 관계없이 Containter 기준)

 

l 항공 운송의 법률상 성격

- 양도성, 유동성 없음

- 선적완료 후 발행이 아니고 물품접수 후 발행

- 신속한 전달을 위해 항공 운송장은 기명식이다.

 

l 항공화물 운임료율의 적용

- 실제중량에 의한 방법 : kg로 측정하여 소수점 1단위까지 적용하는 데 보통 0.5단위로 절상한다.

- 부피-중량에 의한 방법 : 6,000CUCM을 요금산출 1kg로 환산하여 적용. 162cmX156cmX141cm÷ 6,000 = 593.8kg의 운임을 적용한다.

 

l 항공화물 운송요율의 체계

- 일반요율

             최저요금 : 한 건당 최저의 운송요금

             기본요율 : 45Kg 미만의 화물에 적용

             중량단계별 할인요율 : 중량이 커질수록 낮게 책정

 

- 특정품목 할인요율

             특정품목의 특정구간 반복 운송시

             선박편보다 항공편 운송으로도 유도

             요율은 일반 요율보다 월등히 낮게 책정

 

- Bulk 단위 운임

             단일화주의 Container

             단일화주의 Pallet

 

- 종가운임 : [운송신고가격-(실제 총중량xUSD20)]X적용요율

 

l 수입 어음결제 방법

- 자기자금에 의한 결제

             결제금액 = 송장상 외화금액 X 수입어음결제율 - 기 적립수입보증금

- 무역금융 차입에 의한 결제 : 원자재 수입 금융을 사용하는 경우 그 잔액만 현금으로 결제하는 방식

             융자금액 = 결제해당 어음금액 X 수입자금융자단가

             융자기간 = 융자취급일을 기준으로 90. , 일본지역 수입은 60, 국내승인서에 의한 경우                    30

 

l L/G(화물선취보증서) 발급 신청시 제출서류

- 수입 화물선취보증서 발급신청서

- 화물도착 통지서

- 선하증권 Copy

- 송품장

- 포장명세서

- 기타

 

l L/G(화물선취보증서) 발급 신청시 유의사항

- 일단 L/G를 받은 후에는 나중에 은행에 원본이 도착했을 경우 신용장조건 위배의 경우라도 결제해 야 됨

- L/G발급과 관련 발생되는 모든 비용을 수입자가 부담

- L/G로 찾은 수입물품을 은행이 요구하면 언제든지 인도해야 됨

 

l 대금지급거절조치

- 신용장 개설은행이 선적서류의 하자여부를 통보해오면 수입자는 인수 가부를 결정한다

- 본 검토는 서류도착일 3일 이내에 결정되어야 함

- 결정의 기준은 신용장상의 내용과 선적서류와의 일치여부(실제 도착된 물품의 이상여부는 관계없음)

 

l 보세운송 : 수출입화물이 통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관내의 보세구역이나 다른 보세지역으로 운송하는                            것으로 수입물품의 경우 자기보세지역까지의 세관 지정 운송경로를 통해 운송하는 것을 한다.

 

l 화물의 도착과 분류

- 항공화물 : 김포에 도착한 후 적하목록에 의거 김포세관에서 지정구역을 분류 표시하여 배정한다.

- 해상운송화물 : 부산항에 도착되면 선상에서 물건 및 서류를 세관에 신고하면 세관에서 서류 및 물품확인 물품특성에 EK라 지정 장치장으로 배정되어 입고한다.

 

반응형
반응형

4. 운송보험계약의 체결

 

l 운송보험의 당사자 : 보험자, 보험계약자, 피보험자

 

l 보험의 목적물에 따른 분류

- 해상보험 : 적하보험, 선박보험, 선임보험

 

l 해상손해 : 전손, 분손

- 전손 : 현실전손, 추정전손

- 분손 : 단독해손, 공동해손

              - 공동해손 : 공동해손회생, 공동해손비용

 

l 해상적하보험의 보상조건 : T.L.O, I.C.C(F.P.A), I.C.C (W.A), I.C.C(A.R)

 

l 해상보험과 매매계약

- CIF계약과 적하보험

- FOB계약과 적하보험

- C&F계약과 적하보험

- FAS계약과 적하보험

- EX SHIP계약과 적하보험

 

l 해상보험청약서의 기재사항

- 피보험자명

- 소요되는 보험증권의 부수

- 선박명 및 출항예정 일자

- 출항지 및 도착항명

- 환적이 있을 경우에는 환적 항명

- 화물품명, 수량 등

- 화표 및 번호

- 보험조건

- 송장금액 및 보험금액

- 신용장 번호

- 보험금 지불지 및 화폐단위

 

l 변동사항을 고지할 의무 내용

- 선박의 변경

- 출항일자의 변경

- 항로의 변경

- 적치장소의 변경(선창, 갑판)

- 환적유무 및 그 회수

- 포장의 불완전

- 위험시기, 위험지역이 항해

- 운송게약상의 특약

- 기타 선박, 화물에 관한 내항성의 중대한 결함

 

l 부보일자가 선적일보다 늦은 일자이더라도 수리가 가능한 경우

- 신용장에 부보일자가 선적일자보다 늦어도 수리하겠다는 문구가 들어 있는 경우

- 소급약관이 있는 경우로서 선적일자보다 늦은 때에 부보하더라도 보험의 효과는 선적일까지 소급           해야 적용된다는 의미이다.

- 보험약관에 Warehouse To Warehouse Clause가 있는 경우에는 수리가 가능하다.

- 선적되기 전에 이미 발행된 포괄예정보험증권에 의한 경우이다.

 

l 화주는 위의 선포 또는 통지서를 받는 즉시 보험회사에 대하여 다음의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 공동해손 청구권

- 보험증권(원본 또는 부본)

- 선하증권(사본)

- 상업송장(서명된 사본)

- 공동해손 통지서(사본)

 

l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보험서류

- 보험서류의 종류로서 보험증권 또는 보험증명서를 요구하고 있다.

- 서류의 양으로서 2를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 백지배서를 요구한다. CIF 수입인 경우 수출자가 부보하게 되는데 이는 수입자를 위한 보험이다.

- 송장가액의 110%에 대하여 부보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 부보금액을 환어음의 표시통화하도록 하고 있다.

- 약관으로 협회적하보험 약관(분손담보), 협회 선쟁 약관과 동맹파업, 소요 및 폭동위험약관을 요 구한다.

반응형
반응형

3. 수입 신용장의 개설

l 신용장의 정의 : 수입업자의 요청에 의하여 수입업자 거래은행이 상대방 수출업자에 대하여 신용장                                 조건과 일치하는 선적서료의 제시가 있으면, 그 수출화물의 대금을 틀림없이 지급하겠다는 개설은행의 확약을 의미한다.

l 수입거래 약정서와 신용장 통일규칙

- 신용장 개설에 관련되는 의뢰인과 은행간의 관리-의무와 면책을 기술한 계약서이다. 이 약정서는 L/C 거래뿐만 아니라 D/A, D/P 등에도 적용되며 매번이 신용장개설신청서에 대한 기본계약의 성격 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며, 국제적으로 공인된 “신용장통일규칙”에 근거하고 있다.

 

l 일반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L/C 형태

- 화환신용장과 무담보 신용장

- 취소가능 신용장과 취소불가능 신용장

- 확인신용장과 불확인 신용장

- 보통신용장과 특정신용장

- 일람출급 신용장과 기한부 신용장

- 양도 가능 신용장과 양도 불가능 신용장

- 특수 신용장

             Banker Usance 수입 L/C

             Domestic Usance L/C

             Local L/C

             Red-Caluse L/C

             Revolving L/C

             Back To Back L/C

             Stand By L/C

             U.S Exim Back L/C

             Escrow L/C

 

l 신용장개설 신청서류

- 신용장 개설 신청서

- 수입 허가서(승인서)

- 물품매도 확약서(Firm Pffer)

- 보험서류 등 기타 필요서류

 

l 신용장개설 신청서 기재사항

- 개설의뢰인의 주소와 성명

- 통지은행명

- 신용장 금액

- 유효기일

- 어음의 종류

- 상업송장

- 포장명세서

- 선하증권의 명세

- 원산지 증명서 제출여부

- 보험서류 제출여부

- 상품의 명세(품명, 원산지, 수량, 단가, 가격조건)

- 선적사항(선적항, 도착항, 선적 기일, 분할선적과 환적허용 여부)

- 서류제시 기간

- 특수조건

 

l 수수료의 종류

- 개설, 증액 및 기간연장 수수료 : 요율은 매 3개월마다 각 은행에서 내정한 일정요율(현행 0.16% 기준)을 적용한다. 다만, 수출용 원자재라 방산용 원자재, 계획조선용 원자재 등은 0.1%로 특별요율을 적용한다. , 최저요금은 8,000원이며, 유효기간이 3개월 미만일 경우에는 월별로 계산해야 한다. 기간이 연장될 때에는 이에 따른 수수료를 추가해야 한다.

- 기타 조건변경수수료 : 건당 4,000

- Core Charge : 통지수수료, 매입수수료, 상환수수료

- 무역협회 부담금 : 무역협회 사업 기금으로 CIF 가액의 0.22%를 납부한다.

 

l 수수료의 계산 및 납부방법

- 납부통화 : 원화

- 환산율 : 원하납부 당시의 장부가격에 의하여 Rate를 적용한다.

- 납부시기 및 기간 : 3개월마다 납부하며, 실제 납부대상이 3개월 미만일 경우는 월단위로 절상하여 계산한다.

- 증액시의 수수료 계산 : 원래 신용장이 개설된 금액에 대해 기 납부가 이루어진 기간까지는 증액 금액에 한하여 월단위로 절상하여 납부하고, 그 이후는 총 금액을 대상으로 3개월마다 납부한다.

- 지체료의 납부 : 징수당시의 연체이율(현행 0.19%)을 적용한 지체료를 납부해야 한다. 납부일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는 보통 수수료 청구서 접수 3일을 가산한 날을 수수료 납부일로 한다.

 

l 개설수수료

- FOB가격 X 0.0016(0.16%) X 장부가격(RATE)

- ) $50,000 X 0.0016 X 750 = 60,000

 

l 무역협회비

- FOB가격 X CIF환산율 X O.0022(0.22%) X 장부가격

- ) $50,000 X 1.0967 X 0.0022 X 750 = 90.477

 

l Cores Charge : 별도

l Cable Charge : 실비

 

l 신용장 개설방법

- 전신에 의한 방법

- 우편에 의한 방법

- ADP / EDP 방법

 

l 조건 변경-취소의 신청시 필요한 서류

- 신용장 조건변경 신청서

- 수입승인 조건변경 신청서

l 수입승인 조건변경의 승인이 없어도 가능한 경우

- 동일국에서 도착항을 변경하는 경우

- 자동승인품목에서의 HS 변경

- 환적 또는 분할선적의 허용 또는 불하용의 변경

 

반응형
반응형

2. 수입승인의 취득

l 수입승인의 의의 : 무역계약에 의해 정해진 구매대상품목을 수입하고자 할때는 「무역업자격」을 가 자가 「매건별」로 수입승인을 받아야 한다.

 

l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자원부장관이 공고하는 수출입기별공고를 처리기준으로 하고 있다.

 

l 수입제한 승인품목에 게기된 품목을 수입하고자 할 때는 먼저 동수입요령에 따라 주무부 및 협회로부터 수입추천을 받아야 한다. 추천 유효기간은 통상 30일간으로 되어 있다.

 

l 수입승인은 대외무역법의 규정에 의해 통산산업부장관, 통일원, 외국환은행장의 명의로 발행하게 되어 있다.

l 수입승인사항

- 물품의 명세, 도착항 및 선적항, 하송인, 원산지, 승인유효기간, 결제통화, 결제은행명, 대금결제 방식 및 금액, 기타사항

 

l 수입승인 신청서류

- 수입승인신청서 4

- 수입계약서 혹은 Offer 4

- 수입부담금(무역협회비)납입 확인서

- 수입제한 품목일 경우 해당 추천서

- 특별법에 의한 경우 해당 허가서

- 수입대행 계약서

- 기타 거래 형태벌 수입요건을 충족하는 서류

 

l 수입승인의 유효기간

- 승인일로부터 수입신고 및 대금결제기간까지 통상 1년간이며 거래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는 20년 범위 내에서 유효기간을 초과 설정할 수 있다.

 

l 유효기간 연장사유

- 물품의 제조-가공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

- 물품의 선적 또는 도착기일과 대금결제기간을 감안하여 1년 이내에 결제가 어려울 것으로 승인기 관의 장이 신청한 경우

- 수출-수입이 혼합된 거래로서 승인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경우

- 행정기관, 정부투자기관이 자기수요를 목적으로 수입하는 것으로서 부득이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l 신청서상에 수입자가 실수요자와 다를 경우, 수입대행계약서를 작성한다.

 

l Offer의 적격성 검토

- Offer 발행지의 해외공관장이나 그 국가의 관공서, 상공회의소 EH는 공중인이 확인한 것

- 국외로부터 외국환은행에 직접 내도되어 확인된 것에 한함.

 

l 수입부담금 징수 시점 : 수입 허가 신청시

 

l 징수 면제 대상

- 외화획득용 원료

- 정부기관 용품

- 외자도입법에 의한 수입

- 차관의 도입 및 관리에 의한 것

- 방위산업용

- 계획조선원자재

- 중계무역 및 수탁가공 무역방식에 의한 수입

 

l 징수 금액 : 수입신척금액(CIF기준) X 징수율 X 장부가격

 

l 징수율 : 한국무역협회의 통상회원 = 0.24%, 특별회원 + 0.2%이다.

l 환불규정에서 증감금액이 미화 1000불 또는 그 상당액 미만일 때에는 수입부담금을 환급 또는 추징하지 아니한다.

 

l 수입승인 번호의 이해

 

             ①‘수입 승인서’라는 표시

             ② 취급관서 또는 은행번호

             ③ 취급관서 EH는 은행의 부, 점번호

             ④ 연도 표시번호

             ⑤ 월 표시번호

             ⑥ 수입용도 기호

             ⑦ 결제방법 기호

             ⑧ 일련번호

 

상기 ⑥ ⑦의 기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수입용도 기호 -

             N : 일반내수용                             I : 수출용 원자재

             G : 정부용                                   B : 가공무역용

             A : 군납용 원자재                       S : 기타 외화획득용

             X : 특수거래

 

- 대금결제방법 기호 -

             S : 일람출급신용장                      E : 기한부 신용장

             D : 기타신용장                            P : D/P방식

             A : D/A방식                                 R : 단순송금방식

             N : 무상거래

 

l 분류체계 비교

SITC

CCCN

TSUSA

HS

10 Section

56 Division

177 Group

1,312 Basic Item

45,000품목

21 Section

99 Chapter

1,010 Headings

(8단위)

60,000품목

9 Chapter

Chapter 8 : 특혜품목

Chapter 9 : 특별법규

(5단위)

137,000품목

96 Section

1,241 Headings

5,019 BasicItem

(10단위)

10,187품목

 

반응형
반응형

1. 수입계약의 체결

l 외자구매의 절차

- 수출입 공고에 의하여 수입이 가능한 품목을 선정하여 제반 조건을 검토한 후 수입 계약을 체결한 다.

- 물품 매도 확약서를 수취하여 수입허가를 받는 데, 필요시 사전승인이나 추천을 미리 취득해야 한 다.

- 외국환은행이 수입업자를 대신하여 수입화물의 대금지급을 보증하는 수입신용장을 개설한다.

- 수입화물을 선박으로부터 양육하여 보세구역에 반입한 후에는 수입통관절차를 거쳐야 한다.

- 수입면장을 받은 신고인은 보세구역으로부터 해당물품을 인수함으로써 일단 수입절차가 종료된다.

 

l 외자구매의 절차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관리해야 할 사항

- 거래조건, 운송비용, 납기품을 검토하여 최적방안을 강구

- 관세 환급

- 클레임의 처리

 

l 외자구매 절차 이의의 특수한 형태의 수입

- 송금방식, 추심결제 방식, 수탁가공무역에 의한 수입, 중장기 연불방식

 

l Inquiry의 주요 검토사항

- 품목 및 수량

             ① 품질 및 규격

             ② 가격, 공급선 브랜드

             ③ 포장 단위

             ④ 거래조건

             ⑤ 제고 및 발주수량

             ⑥ 수급사항

- 선적관리사항

             ① 소요시점(자사)

             ② 선적시점, 운송방법

             ③ 항해일수 및 기타 소요시간(내국운송, 보세운송, 통과기간 등)

- 가격분석

             ① 예상판매가격

             ② 사전원가계산에 의한 가격결정

             ③ 경쟁사 수입가격

- 공급실적분석

             ① 국별-용도별 공급실적 분석

             ② 신용도 Check, 동종업계에서의 위치

 

Offer의 종류

- 발행 주체에 의한 구분 : Selling Offer(판매조건 명시), Buying Offer(구매조건 명시)

- 확장력에 의한 구분 : FIRM Offer(확정 Offer), Free Offer(불확정 Offer), Counter Offer

 

l Offer의 필수 검토사항

- 품명

- 원산지

- 규격

- 단가

- 수량

- 선적일

- 발행일자 및 유효기간

- 상표, 단위, 금액, 선적지, 대금지급조건, 발행자 및 등록번호, 상대자명

 

l Offer의 검토시 유의사항

- 각 내용별로 제시조건의 충족을 위하여 Seller의 선행요건이 필요할 경우, 이 사항을 분명히 주지 시킬 것.

- 상품의 생산상 특수한 조건이나 양해조건이 있을 경우 이를 명기토록 함.

- 입장에 따라 해석을 달리할 수 있는 막연한 문구나 조건은 피하도록 할 것.

- 특히 첫 거래의 Offer인 경우 Seller의 신용상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음(은행, 상공회의소, 해외지 점을이용

 

l 무역계약의 기본조건

- 품질조건, 수량조건, 가격조건, 선적조건, 결제조건, 보험 조건

- 포장조건, 중재약관, 처리약관

 

l 품질 약정의 방법

- 견본에 의한 품질약정

- 상표에 의한 품질약정

- 설명서에 의한 품질약정

- 표준품에 의한 품질약정

- 규격에 의한 품질약정

- 점검에 의한 품질약정

 

l 검품의 기본시기

- 선적 품질조건(일반적)

- 양륙 품질조건

 

l 수량의 단위

- 중량, 용적

- 개수나 대수

- 포장, 길이

 

l 가격 조건

- EX-Work

- FAS

- FOB

             Seller의 주요의무

              - 계약 물품의 본선인도 및 통기

              - 수출허가 또는 기타 정부인가 취득

              - 계약물품의 본선 인도까지 모든 위험 및 비용부담

              - 선적서류 제공

             Buying의 주요의무

              - 선박수배와 통지

              - 본선 인도후의 위험과 비용부담

              - 대금지급        

- CIF

             Seller의 주요의무

              - 선박수배 및 운임지급

              - 선적 및 선적 통지

              - 해상 보험 부보

              - 선적서류 제공

             Buying의 주요의무

              - 선적서류의 수리 및 대금 지금

              - 위험부담

              - 비용부담      

- C&F

 

l 결제조건

- 선불조건

              - C.W.O : 주문을 받는 동시에 현금결제

              - 단순 송금 방식 : 주문과 동시에 T/T 등으로 송금

              - 선대신용장 : 신용장이 Seller에게 도착되었다는 통지를 받는 즉시 대금부터 결제

- 동시불조건

              - COD : 현물인도와 동시에 현금결제

              - CAD : 선적서류인도와 동시에 결제

              - 일람불방식 : 신용장거래에서 해당서류를 제시하면 결제

              - 지불인도방식 : 무신용장거래에서 추심하여 결제

- 후불조건

              - 단기지불 : Usance Bill 방식이나 어음인수 후 결제하는 D/A 방식

              - 중장기 지불 : 보통 1년 이상의 결제조건으로 Plant, 선박수입시 활용

- 누진불조건

              - 대금을 일시에 결제하지 않고 계약시, 선적시, 선착시 등으로 또는 공정에 따라 분할해서         지급하는 방식

 

l 보험조건

- FPA : 단독해손부담보약관

- WA : 분손담보약관

- A/R : 전위험담보약관

 

l 계약시 유의사항

- 계약 문구 : 후일의 증거가 될 것을 전제로 의문점이 없도록 정확, 간결, 평이, 명료한 표현을 사                                   용한다.

- 계약 내용 : 사실과 다른 내용의 계약이나, 실행하기 어려운 내용의 계약을 체결하지 말아야 한                                       .

- 적법 타당성 : 계약의 내용이 당사자의 의사와 일치함은 물론, 국내외의 관련법 체계에 비추어 적                                   법하고 사회적 통념에 비추어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 입회자 서명 : 구매자에 유리한 계약은 일자, 장소, 상대방 참석자, 입회자 서명 등을 기록하여                                      증거로 함으로써 후일 상대방이 부인하지 못하도록 두어야 한다.

- 날인 : 기명날인 및 정정인,간인에 유의해서 계약서의 효력을 최종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3. 구매관리

 

1. 구매관리의 개요

l 구매의 기본요소 : 품질, 수량, 가격, 시기, 구매처, 조건

 

2. 구매관리

l 구매의 기능 : 구매 요구 기능, 구매조사, 구매계획, 구매절충, 계약, 독촉, 수입, 검사, 구매

 

l 구매의 중요성 : 이익창출의 원천, 경영의 주요기능, 구매 본래의 업무는 고매요구 이전에 시작됨

                            고도로 숙련된 전문요원에 의해 수행

 

l 구매 절차 : 필요성의 인지 -> 필요성의 기술 -> 공급원의 선정 -> 가격의 확정 -> 발주 -> 주문독                    -> 납품서에 대한 Check -> 기록과 File 보존 -> 공급자와의 관계유지 -> 수송 ->                     Scrap과 불용품 처분

 

3. 외주관리

l 외주관리의 목적 : 염가의 생산코스트 감소, 경영상의 위험 분산, 공정부하의 증감에 대한 능력의                                  균형, 특수한 기계설비나 전문기술의 이용

 

구매와 외주의 차이

구 분

구 매

외 주

1. 대상

2. 시방

3. 가격결정

4. 거래방법

5. 관리대상

6. 지원

물품(Goods)

제작자의 설계로 제작한 표준 규격품

시장조사

공개, 경쟁성이 있고 계속적 거래

구매부문/구매요원

결제 제조건상의 한계

용역(공수) 또는 부품

특별 주문품

원가계산

지속성 비공개성

외주공장/생산관리

적극적인 물량 지원, 대금의 지원, 기술의 지원

l 외주는 발주공장의 설계방법에 따라 제작되나 구매는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l 외주 기능의 영역 : 외주관리에 관한 자료정비, 외주공장 개척과 외주처의 선정, 외주단가 결정과 절감활동, 발주와 수입에 관한 처리, 발주품 납기관리, 외주공장 지도

 

l 내외작의 결정

- 전부를 내작하는 것(품질, 기술면에서의 제약)

- 전부를 외작하는 것(자사에는 설비도 담당직도 없다)

- 일부를 내작하고 나머지를 외작하는 것(자사에서 가능하지만 능력이 일부 부족하다)

 

l 발주처 선정 조건

- 기술적 능력(질적, 양적)

- 관리적 능력(원가, 납기에 영향)

- 경영적 능력(경영자 개인의 능력)

- 지리적 능력(운반, 연락편)

- 특수관계(연고 등)

 

l 발주발식의 총합화 : 인력과 경비의 절약, 일정의 단축, 운전자금, 재고의 감소라는 견지에서 발주내용의 확대화, 총합화라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

 

l 생산합리화 : 공정관리 개선, 원가관리의 추진, 품질관리의 개선

 

4. 협력회사 관리

l 협력회사 : 기업이 생산활동을 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자재, 또는 설비, 용역을 제공하는 기업

 

l 협력회사 평가의 목적 : 좋은 거래선 선별, 확보 거래선에 대한 지도 육성의 Point 파악, 거래선으                                              하여금 개선의욕 강화 증진

 

l 거래선 평가의 상이

- 경영정책에 의한 경우

- Marker에 원가내용의 상이점이 있는 경우

 

l 거래선의 지도, 개선 대상

- 경영관리의 개선

- 제조상의 개선

 

l 거래선 지도를 위한 일반적 주의사항

- 지도의 목적을 경영자에게 충분히 전달한다.

- 단절한 조사에 구치지 말고 구체적 개선안을 지시한다.

- 지도는 전문가가 맡는다.

- 개선 여부의 검토 및 지원

- 거래선의 규모

- 지도, 원조의 성과

 

l 거래선 개선의 방법

- 개별지도 방법

- 집단지도 방법

 

l 거래선 개선을 위한 절차

- 개선의 의뢰를 받거나 개선이 필요한 거래선의 선정

- 예비조사

- 예비조사 분석

- 거래선의 조사, 분석

- 조사분석에 따른 개선안의 작성

 

l 개선안 작성의 포인트

-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 거래선 경영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평이하게 설명한다.

- 주요상황, 착수할 절차를 명시한다.

- 거래선의 자주성을 존중하기 위해 개선안을 몇 가지 준비하여 거래선 실정에 밎게 결정토록 준비한다.

- 개선안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보완 자료를 준비한다.

 

l 불공정 거래행위

- 부당한 거래거절

- 부당 염매 및 부당고가매점

- 부당한 고객의 유인

- 부당표시

- 부당한 거래강제

- 부당 배타조건부 거래

- 부당구속조건부 거래

- 우월적 지위의 남용

- 허위, 과장광고 및 기만행위

- 거래조건 등의 차별적 취급

- 집단배칙 및 집단적 차별취급

- 차별대가

 

 

5. e-Procurement

 

l e-Procurement 프로젝트의 기본원칙

- 경영자의 지원과 참여

- e-Procurement e-Business의 전략적 통합

- 강력한 변화관리 프로그램

- 비즈니스 프로세서의 재설계

 

6. SCM

 

l SCM의 특징

- Supply Chain 전체를 하나의 실체로 간주하여 특정업무의 특정기능 부문에 포함시키지 않으며 전 체의 효율증대를 목표로 한다.

- Supply Chain의 전략적 중요성은 전체 원가 및 시장 점유율에 많은 영향을 주며 관리를 위한 전략 적 의사결정에 또한 그 중요성이 있다.

- 단순 연결이 아닌 통합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접근 방법이다.

 

l SCM 도입의 기대효과 분석

- 비용측면의 기대효과

- 현금흐름 측면의 기대효과

 

l SCM의 적용 사례

- Dell vs Compaq 컴퓨터

- 3M & P&Q : VMI

- HP : DF SCM-Product Postponement 전략

- Sport Obermyer : Supply & Demand Management(Accurate Response)

- GE : 물류 네트워크 재설계 전략

반응형
반응형

4. 분배관리

 

l 청구 : 필요한 양을 필요한 시기에 요구하는 것

 

l 불출 : 수요자의 청구에 필요한 양을 필요한 시기에 사용 또는 수령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행위

 

l 물류의 구성요소 : 포장, 하역, 보관, 수송, 유통가공

 

l 자재물류 SYSTEM

- 원재료 재고 SYSTEM

- 반제품 재고 SYSTEM

- 제품상품 재고 SYSTEM

 

l 운반합리화의 원칙

- 물품 활성화의 원칙

() 활성하물

() 단위하물

() 팔레트방식

() 재취급방지

() 트레일러 열차방식

- 자동화관계의 원칙

() 동력화

() 기계화

() 오토메이션

() 중단

- 대기관계의 원칙

() 팀웍

() 진자

() 정부운반

() 기동률 향상

- 이동경로관계의 원칙

() 배치의 원칙

() 흐름의 원칙

① 스피이드화의 원칙

② 면적활용의 원칙

③ 하물보호의 원칙

 

5. 물류관리

 

l 기업에 있어 왜 물류가 중요한가?

- 3의 이익원을 찾아라

- 눈에 보이는 물류비는 빙산의 일각이다

- 기업발전에 발목을 잡고 있는 물류

 

l 물류의 흐름 : 원재료 -(조달)-> 공장 -(수송)-> 물류 Center -(배송)-> 고객

 

l 물류관리의 영역 : 조달물류관리, 사내물류관리, 판매물류관리, 반품물류관리, 폐기물류관리

 

수송의 경제적 기능 : 경제권 확대, 경제권 내의 물가의 균등화

 

수송의 분류(형태별)

- 거래 : 입고수송, 조정수송, 출고수송

- 물자 : 자재-반재품 수송, 제품-상품 수송, 물품-물자 수송

- 유통 : 생산수송, 유통서비스수송, 소비수송

 

l 수송수단 결정시 참고하여야 할 구체적 세부사항

- 단일 수송수단 또는 2개 이상 수송수단을 해도 무방하다.

- 수송의 종류 파악

- 수송량, 거리, 기후, 안전, 일괄수송체계, 중량제한, 화물의 수취, 신속성, 하역비와 포장비의 연 결비, 배차 및 배선

 

l 수송 수단 :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 등이 있다.

- 자동차 : 구역사업트럭, 노선트럭, 자기트럭

- 철도

- 화차 : 유개화차, 무개화차, 탱크화차, 호퍼차

- 컨테이너 : 보통 컨테이너, 사유 컨테이너

 

- 선박

- 일반 잡화 : 펠릿선, 컨테이너선, 라쉬선, 자동차 전용선

- 산화물 : 벌크 건화물 전용선, 액체화물 전용선

 

- 항공 : 화물전용기, 여객 및 화물 혼합기

l 수송수단의 평가 : 편리성, 확실성, 신속성, 신뢰성, 안전성, 경제성

 

l 수송조건

- 거리 : 장거리 수송, 중거리 수송, 단거리 수송

- 물량 : 대량정기 수송, 대량비정기 수송, 소량 수송

- 지역 : 지역간 수송, 지역외 수송, 지역내 수송

- 발착 : One To One, One To Many, Many To Many, Many To One

- 도로선 : 간선 수송, 준간선 수송, 단말 수송

- 적재 : 혼재, 전속, 왕복

 

l 수송수단의 비교

육 상 수 송

해 상 수 송

자 동 차

철 도

선 박

항 공 기

-중량 상품의 중-근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대량상품을 일시에

능률적으로 원거리수송에 적합하다.

대량상품 및 중량상품의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소량상품 및 경량상품의 원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원거리 수송일 때 운임비가 비싸다.

중거리 수송일 때 운임이 가장 싸다.

원거리 수송일 때 운임이 가장 싸다.

운임이 비싸다.

기후에 영향을 받는다.

비교적 전천후적 수송이다.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기후의 영향을 대단히 받는다.

비교적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사고에 대한 안전도가 높다.

사고의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사고의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중량 제한이 있다.

중량 제한이 없다.

중량 제한이 없다.

중량 제한이 있다.

문전수송체제가 용이하다.

문전에서 문전 수송이 부적당하다.

문전수송이 안되고 있다.

문전수송이 안되고 있다.

어느 곳에서나 화물의 수취가 가능하다

착지가 철도역으로 화물의 수취가 불리하다.

항구에서 수취하기 때문에 더욱 불리하다.

공항에서 수취하기 때문에 대단히 불편하다.

수송시간이 보통이다.

수송시간이 길다.

수송시간이 매우 길다.

수송시간이 대단히 짧다.

하역비와 포장비가 싸다.

하역비와 포장비가 싸다.

하역비와 포장비가 비교적 비싸다.

포장비가 비싸다.

배차는 수시 가능하다.

시기에 맞는 배차가 적절하지 않다.

배선이 그다지 용이하지 않다.

적절한 항공편이 없을 때가 많다.

 

l 수송비의 원가 : 운행비, 노무비, 감가상각비, 세금 및 보험, 관리비

 

l 트럭운영의 원가구성 : 원료비, 유지비, 수선비, 타이어비

 

l 사내하역의 4가지 기능 : 수화, 이동, 분류, 적화

 

l 일본의 하역 물류과정 : 적화, 운반, 적부, 반출, 분류, 정돈

 

l 하역 형태의 종류와 분류

시설(장소)에 따른 분류

자가용시설 하역

공장, 자가용창고, 배송센트 등 화물의 출하, 하수시설, 장소의 하역

사업용물류시설 하역

트럭 터미널, 항만, 공항, 창고의 하역, 터미널하역, 역하역, 항만하역

수송수단에서의 분류

트럭하역, 화차하역, 선박하역

화물 형태에 따른 분류

개발하역

상자, 대 등 포장형태별 명칭의 하역 또는 역 화물 귀중품 등 대형화물의 명칭을 사용하는 하역

유닛로드하역

펠릿, 컨테이너 등 유닛 로드화하기 위해 사용된 기계의 명칭, 또는 집합포장 등의 상태를 가리키는 하역

비포장화물하역

분립체, 액체 등 물품을 수송수단, 화물탑 재설비 또는 저장설비에 직접 적재, 입출고하는 하역

하역기계에 따른 분류

운반기 하역, 기중기 하역. 호크립트 하역, 기타

 

 

l 하역 운반기가 절실히 필요한 경우

- 화물이 중량으로 인력작업이 곤란한 경우

- 대량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경우

- 액체 및 분립체로 인해 인력으로 취급하기 곤란한 경우

- 인력으로는 시간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

- 운반거리가 너무 길어 인력으로는 피로가 많아 무리한 경우

- 작업장의 위치가 높고 낮음으로 해서 상-하차 작업이 곤란한 경우

- 사람이 접근하기가 곤란하거나 손으로 작업하기가 어려운 경우

- 인체에 해롭거나 위험물을 다루는 경우

 

l 하역 기계화 촉진 방안

- 화물유통의 계속성과 안정성 확립

- 인력하역에서 기계하역으로 전환

- 팔레트화와 컨테이너화를 전국적으로 확대실시

- 화물의 운반거리 단축, 하역작업 신속화

- 수송 포장, 보관 등의 재물적 활동과의 연관성 검토

 

l 수송수단과 하역기기

철 도

자 동 차

선 박

항 공 기

크레인

컨베이어

팔레트

컨테이너

호크립트

수하역

컨베이어

수차

대차

호크립트

트레일러

원치차

컨베이어

본선 데릭

암벽 크레인

컨테이너

라쉬

팔레트

이글루

컨베이어

베리 컨테이너

협동일관수송용

컨테이너

 

l 하역기기를 선정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요인

- 화물의 특성 고려

- 하역작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선택

- 작업환경의 특성 참작

- 하역기기의 특성 고려

 

l 포장의 분류 : 단위포정, 내부포장, 외부포장

 

l 포장의 종류 : 상업포장, 공업포장

 

l 상업포장의 기능 : 품질보호, 계량화, 시간적 장애의 극복, 공간적 거리의 극복, 상품가치의 제고에                  의한 판매촉진, 정가판매제의 확립

l 적정공업포장을 실현하기 위해 포장의 보호성, 하역성, 작업성, 기능성, 표시성, 수송성, 경제성에                                             관해 재검사를 필요가 있다.

 

l 포장 치수의 표준화 효과

- 하역의 능률 향상

- 유통 코스트 절감

- 발주 및 가공의 신속화

- 일정한 로트(Lot)에서 더 많은 생산비 절감

- 품위의 향상

- 종합유통원가 절감

l 포장모듈화의 이점

- 공급업체 : 인건비 절감, 제조공정의 표준화, 단순화, 제조원가 절감, 포장재의 소모 감소, 포장                                     재의 재고 및 보관장소의 면적 감소

- 수요업체 : 인건비 절감, 포장설계 용이, 포장비 절감, 수송비 절감, 보관비 절감, 하역비 절감,                       운송보관료 절감

- 국가적인 면 : 단순화로거래의 공정화, 유통경비 절감, 제조업자와 수요자를 동시에 보호

 

l 유닛로드 시스템 : 화물을 일정한 로드단위화하여 취급을 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역기계나 기구                                 사용해서 한꺼번에 화물을 이동하는

- 중량, 포장, 용량형태를 통일

- 하역의 기계화

- 수송의 효율화

- 포장의 간편화

- 비용절감에 직접 공헌

 

l 유닛로드를 취급하는 기계 : 지게차, 크레인, 전동 또는 수동의 팔레트 트럭

 

l 로드 단위화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기계 : 팔레트 및 컨테이너

 

l 유닛로드의 형태별(포장단위별) 분류 : 집합포장화물, 팔레트화물, 컨테이너화물

 

l 팔레트화 : 하역 운반기기를 사용하여 물품 EH는 포장화물의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적재면                    갖고있는 하역기재.

 

l 유통가공 : 상품가격 표시, 상품 정리, 세트 포장

 

l 재고 통제-조정 분야와 창고 저장분야의 조직운영은 서로 견제되도록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 물류 거점의 구분 : 생산-외주 지역, 중앙 유통 지역, 구역 유팅 지역, 소비-사용 지역

반응형
반응형

제 1절. 재고관리의 개념

1. 재고자재 : 저장품, 부품, 조립품, 구성품, 완제품

2. 소요관리 계획 : 소요계획 > 공급계획 > 구매계획

3. 정량발주법 : (평균소비량 * 조달기간) + 안전재고

4. 평균재고량 : (발주량/2) + 안전재고

5. EOQ(경제적 발주량) = (루트 2 * 연간소비예측량 * 1회 발주비용) / 단가 * 비율

6. 발주량 결정시 : 최소한도는 발주량 >= 재고기간, 공급업체의 경영상태, 생산조건, 수송 및 시황, 발주 lot에 따른 가격

7. 정기발주법 : 예측기간 중 최대 수요량 + 예측기간 말의 필요 재고 - 현재고 - 미착품

8. 기대수요량 예측 : 시계열 분석에 유리

9. 안전재고의 결정 : 비통계적 방법, 예측오차에 의한 방법, 월간수요량에 의한 방법 => 예측지가 없을 경우

 

제 2절. 소요관리

1. 자재관리 : 자재관리 방침, 부문별 자재계획

2. 자재관리 방침 : 자재재고에 관한 방침, 구매에 관한 기본방침

3. 자재계획 : 자재의 사용목적, 품목 및 품질, 수량, 시간을 예측

4. 자재계획의 구분 : 물동계획, 공급계획, 구매계획

5. 사용계획의 산출기준자재

  1) 설비, 시설 유지용 내구성 자재

    -. 각 부문별 기능 및 규격에 따른 장비 및 공기구 비품류의 기준표(정수표)

    -. 장비 및 공기구, 비품류에 대한 보충률(내용년수표)

    -. 처리실적 및 추세분석 자료

    -. 보유자산 및 재고현황

    2) 설비, 시설 유지용 소모성 자재

    -. 저장재

    가) 적정재고수준 EH는 부문별 상비정수

    나) 수요실적 및 추세분석자료

   다) 재고현황

    -. 상용재

    가) 보유자산 현황

    나) 소모율

    다) 수요실적 및 추세분석표

    2) 생산용 자재

    -. 제품별 자재기준표

    -. 자재별 기준 소요량표

    -. 사용일정

    -. 재고현황

6. 공급계획의 1차 목표 : 기업 내 각 부문에서 필요로 하는 자재를 적기에 공급하여 경영의 원활한 운용에 기여하는 것. 어떤 방법으로 얼만큼 조달하는 것이 효율적인가를 판단하는 것.

7. 공급계획의 기본요소

  -. 1차적 요소 : 구매, 자체생산 여부 결정

  -. 2차적 요소 : 1차적 요소를 원가의 비교분석, 경영방침, 생산능력, 경제적 수리한계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

8. 공급계획의 기본요소

  -. 조달요소량의 결정

  -. 구매와 자체 생산여부의 구분

  -. 구매와 정비

  -. 재고수준의 안정

  -. 유지방법의 선택

9. 구매계획 : 구매조사계획, 구매방침, 구매기술개발계획, 구매요소에 관한 계획

10. 구매계획의 기본요소 : 품목, 수량, 가격, 시기, 구매처, 조건

제 3절. 저장관리

1. 저장관리의 개념 : 자재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존하는 것

2. 저장관리의 원칙 : 저장위치 표시의 원칙, 분류저장의 원칙, 품질보존의 원칙, 선입선출의 원칙, 공간활용의 원칙

3. 건물 내에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가능한 옥외에 야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하역기계의 종류 : 엘리베이터, 호스트, 클레인, 포크 리프트, 스태커

5. 저장시설

  -. 옥내 저장 : 일반창고, 냉동창고, 냉장창고, 지붕창고, 인화물질 저장창고

  -. 옥외 저장 : 두 개의 횡단로, 밖을 향하게 적재

6. 저장계획 : 자재의 분류저장, 순환빈도에 따른 저장, 크기, 성질, 시설의 저장능력

7. 공간 소요 산정 : 소요넓이 산정, 소요부피 산정 (소요넓이 + 적재높이), 재고액, 통로

8. 전표는 1품 1매가 원칙

9. 사외 수입품에 대해서는 납품서의 복사 1매를 입고전표로서 이용

10. 장부의 기입항목 : 수량, 금액을 기입하는 방식

11. 장부의 형식 : 노트식, 인출형의 일람식 카드(구좌수 많은 경우 유리)

12. 창고의 현품 보관 장소에는 1품목 1매식 표찰 이용

13. 입고 : 사외입고 (보통매입에 의해 입고), 사내 입고 (상비품 또는 저장품 입고)

14. 출고금액의 계산법 :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 표준원가법

15. 불용품의 처분 대상 : 잉여품, 불용품

16. 처분의 종류 : 매각, 증여, 해체, 폐기

17. 처분의 절차 : 검토 > 선정 > 상신 > 회람 > 관리전환 > 승인 > 처분

18. 재고조사의 필요성 : 금액의 대조, 수량의 대조, 현품소모상황을 조사, 보관상황의 조사, 상비량의 타당성 조사

19. 재고조사의 목적 : 금액적 조사, 양적 조사, 시간적 조사의 종합성

20. 재고조사의 방법 : 폐창식 조사, 개창식 조사, 특별재고 조사

21. 재고조사의 계획 : 품목 수 및 양, 위치 수, 소요시간, 소용인원 및 장비, 조사요원의 작업능력

22. 재고조사의 교육사항 : 재고조사의 목적, 정확성, 식별 및 상태분류법, 재고조사 세부절차, 측정기구의 사용법, 실사실습

23. 재고조사의 사전준비

  -. 물품을 최대한으로 식별한다

  -. 식별이 되지 않는 품목은 '세지 말 것'이라고 표시한다

  -. 창고 내부에 비치되고 있는 비품 등에는 '세지 말 것'이라고 표시한다

  -. 낱개의 품목은 표시단위로 묶어서 세기 쉽도록 한다.

  -. 여러 위치에 분산된 품목은 가능한 한 이적 통합한다.

  -. 저울, 게이지, 자, 가위 등에 필요한 비품을 준비한다.

24. 재고기록 조정사항 및 절차

  : 기록착오 > 발견 못한 기록착오와 기술 운용상 착오 > 주요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 재고품의 상태 변화

 

 

반응형
반응형

제 6절 구매자재 관리 기법

  1) 가치 분석(VA)의 내용

  -. 가치공학

  -. 가치분석

  -. 가치조사

  -. 가치관리

  -. 구매기술

  2) 가치 : 물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품질, 주어진 기능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가 V=Q or F/P(C)

  3) 가치를 크게 나누어보면 => 사용가치, 존중가치, Cost 가치, 교환가치

  4) 품질은 입수가능성, 적합성, Cost를 고려해야한다.

  5) VA에 대한 과학적 접근

  : 물품의 선택 > 기능의 연구 > Cost 조사 > 대체품의 연구 > Cost의 비교

  6) MRP System의 구성기능

  : 우선순위 계획, 생산능력 계획, 생산능력 조정, 우선순위 조정

  7) MRP의 구성요소

  : MPS, Item Code No, B/M, 재고 File, 인식 가능한 재고, 사용가능한 재고, Lead time, 불출과 사용의 자유, 품목의 독립적 취급

  8) MRP II

  : 사업계획 > 판매계획 > 경영계획 > 자원OK > 주생산계획(MPS) > 자재소요계획 (MRP) > 능력 계획 > 계획 OK > 공정관리 > 구매 > 회계

  9) CIM 의 도입 배경 : 고객욕구의 다양화, 제품 라이프 사이클의 단축, 치열한 기업경쟁, 종합적 의사결정에의 정보 필요, 인건비 상승 및 노사 분규

  10) CIM 의 구상도 : GT, CAD, Robotics, CAM 및 제반 CNC, AMHS, MPCS

  11) BRP의 도입 효과

  -. 비 부가가치적인 업무의 제거

  -. 고객 지향적 측면의 조직 변경

  -. 불필요한 정보의 제거

  -. 중복업무의 간편화 추진

  -. 책임소재의 명확화

  -. 관리비용의 적극적인 절감

  12) ERP의 주요 기능 분석

  -. 기능적 특성 : 업무통합 관리, 표준 프로세스 제공, 그룹웨어 연동, 오픈 시스템, 글로벌 업무 대응, 경영정보시스템, EDI 연계

  -. 기술적 특성 : Clinet/Server 시스템, 4세대 언어 선택 및 지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Module화 관리

  13) ERP 도입시 주요 고려사항

  -. 투자비용, 컨설팅 소요비용, BPR 시행 여부, 조직원의 정보시스템 활용 수준, 상거래 관행 및 세무규정, 투자대비 활용도, 유관산업계의 정보인프라 환경과의 보조, ERP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인력 확보

  14) ERP 도입이 잘 안되는 이유

  -. 도입목적과 구축수단의 혼동, ERP에 대한 지나친 기대, 최고경영자의 관여가 불충분, 업무개혁의 공감대형성 실패, ERP 추진 방법의 일관성 미확보, ERP에 대한 충분한 검증 미실시, ERP업체, 컨설턴트의 능력 부족

반응형
반응형

제 1절. IT 혁명과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의 변천

  -. 기업가치의 평가 : 종업원, 고객, 주식가치, 사회공헌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 다이렉트 마케팅, 고객만족, 네트워크 마케팅, 데이터베이스화

  -. 기업이 처해있는 비즈니스 환경의 4가지 요인 : 요소조건, 수요조건, 기업전략/경합관계, 관련산업/지원산업

  -. Value Chain이란? 비즈니스의 흐름을 구성하는 각 요소와 그 요소들의 상호연결상태를 말한다.

  -. 마케팅 전략은 매스 마케팅 전략으로부터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그리고 ERP 시스템의 활용으로 발전하고 있다.

  -. ERP 시스템이란? 생산정보, 자재정보, 구매정보, 판매정보, 회계정보, 기술정보 등을 통합관리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제 2절. 구매 자재 관리의 의의

  -. 자재의 개념

  광의 : 토지, 건물, 기계, 설비, 기타(차량, 운반구, 공기구, 비품)

  협의 : 원자재, 부분품(저장품), 재고품, 제품(상품)

  -. 구매 자재관리의 체계도

  구매관리 : 구매관리(협의), 외주관리, 협력회사관리

  자재관리 : 소요관리, 재고관리, 저장관리, 분배관리, 물류관리

  -. 구매자재관리의 목표 : 경영에 필요한 자재를 효율적으로 공급관리

  -. 효율적 관리는 합리적인 면에서 계속성솨 경제성 두 가지로 고려된다.

  -. 구매자재관리 업무의 필요 불가결한 기본업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계획(요구) > 조달(협의) > 보관(저장)

  -. 구매자재관리의 기능

  기본기능 : 구매관리, 재고관리

  부수기능 :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제 3절. 자재의 분류

  -. 재질에 의한 분류(종류별 분류)

  -.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용도별 분류)

  -. 원가계산에 의한 분류(원가 요소별 분류) : 주요자재, 보조자재, 부분품, 소모공구/가구비품

  -. 관리로 본 분류(관리 목적별 분류) : 상비자재, 주문자재

  -. 가공정도별 분류 : 소재, 부품, 반제품

  -. 입수방법별 분류 : 구입품, 사급품, 외주품

 

제 4절. 구매 자재 관리의 조직

  -. 조직의 기본 형태

  계획-외주 분산형

  계획-창고 분산형

  계획-구매-창고 종합형

  -. 조직의 합리화

  계획-실시-통제의 분리

  감사기능의 강화

  내부견제 제도의 채용

  책임의 명확성

  -. 인사배치의 적정화 : 업무내용의 명확화, 인재의 적재적소 배치, 교육훈련을 통한 지식, 기능을 고도화

 

제 5절. 구매자재관리의 새로운 발전과 기대

  -. 구매자재관리의 중요성

  원가절감의 가장 중요한 요소

  영업행위

  현장업무에 대한 보완적인 기능보유

  최종제품의 품질, 원가, 납기에 직접적인 영향

  -. Value Leveling(VL)의 4가지 방법

  1) VL TAG에 의한 방법

  2) OA, 퍼스콤에 의한 VL법

  3) 분료회 조직에 따른 방법

  4) 타사제품군별 COST 비교법

 

  -. 구매선과의 공동CD분석

  1) CLSAA 1의 변경 : 가공단가

  2) CLSAA 2의 변경 : 손과 몸의 동장

  3) CLSAA 3의 변경 : 작업장

  4) CLSAA 4의 변경 : 공정, 작업순서

  5) CLSAA 5의 변경 : 납품방법

  6) CLSAA 6의 변경 : 내외작업 혹은 작업장

  7) CLSAA 7의 변경 : 제품설계

  8) CLSAA 8의 변경 : 원재료

  -. 기술 구매의 Approach

  1) Technology Transfer에 따른 개발

  (1) 기존기술을 조합시킨 복합 집합화

  (2) 기전-체화 > Mechatronics

  (3) 타분야에의 기술이행 (a. 저분야에의 이행, b. 타시장의 이행)

  2) 창조적 자주기술의 개발

  (1) 첨단기술의 개발

  (2) 기초재료연구와 개발

  (3) 고기능소재

  -. 연구개발과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이 대응하는 데 필요한 3가지 접근법

  1) 신제품이나 개발품으로부터의 접근

  2) Needs로부터의 접근

  3) 제조품생산화 프로세스로부터의 접근

  -. 연구개바로가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 3가지 접근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

  1) 전문업무의 조직화

  2) 체계적인 구매조사기능의 확립

  3) 구매기술자의 양성, Level-Up

  -. 체계적인 구매조사의 범위

  1) 구매업무의 계확과 구매방시그이 개발, 개선

  2) 기술연락

  3) 신제품 생산관리 혹은 관련업무

  4) 가치분석

  5) 구매시장 조사

  -. 품질 UP. Cost Down 동시 실현책 : 작업공정, 작업방법의 개선, 제경비의 절약, NC공작기계

  -. 자재관리의 개념과 현대화

  1) Profit Center화

  (1) Cost Down

  (2) 구매력 증대

  (3) 재고관리 강화

  (4) 저장 유지비 감소

  (5) 각 기능간 업무 소통의 개선

  2) 기업 이익의 원천

  3) 현금 개념화

  4) 기업경영 주기능의 하나

  -. 구매자재관리의 합리화

  1) 업무효율에 대한 관리

  (1) 원재료 회전률 - 출고량 / 평균재고량

  (2) 원재료 재고기간

  (3) 재고자산의 조성비율

  (4) 재고자산의 재고비율

  -. 생산에 의한 관리

  1) 구매 부문

  (1) 1인당 발주건수

  (2) 1인당 발주금액

  (3) 건당 발주금액

  (4) 불량통계(총 건수, 불량률, 내용별)

  2) 창고부문

  (1) 1인당 입고건수

  (2) 1인당 출고건수

  (3) 1인당 재고품목수

  (4) 재고감손률

  -. 원가에 의한 관리

  1) 구입비 : 자재의 조달에서 발생하는 비용

  2) 재고관리비 : 창고관리비, 금리

  3) 원가절감비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