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류]

B-1.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운영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물류 설비와 장비를 설계/수정한다.

물류란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시작부터 소비까지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 관련 정보의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흐름과 보관을 계획, 이행, 통제하는 프로세스이다.

1) 지리적 위치에 대한 고려사항

A) 노동력 : 직원의 기술과 능력, 급여 규모, 교육 프로그램, 선택과 유지 절차, 기타 직원관련 사항

B) 운송 가능성 : 운송업체의 가용성, 적합성, 비용은 공장, 창고, 최종 소비자에 대한 소매점 위치의 근접성

C) 정부 문제

  1.0 정치 : 세제 혜택과 기타 금융 혜택

  2.0 세금 고려사항 : 공공창고에 있는 재고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음으로써 조세 감면 제공

D) 환경 고려사항 : 교통부(DOT), 환경 보호국(EPA), 직업안전보건관리국(OSHA)

E) 유통경로 근접성/형태 : 투입 비용당 더 높은 수익과 소비자 만족을 창출하는 다른 경쟁 상대가 없으면, 최상의 유통경로가 형성 되었다고 말한다.

F) 평균 배송시간: 물류 성과에 관한 지표 중 하나.

 

2) 설비 배치에 대한 요건

A) 수평 VS 수직 확장 : 설비를 수직으로 확장할 것인지 수평으로 확장할 것인지 결정. 건물의 높이와 면적 피트.

B) 복수 VS 단수 선적장 : JIT재고와 같은 관행으로 선적장 설계가 보다 정교해짐. 다양한 크기의 트럭에서 보다 자주 인도 물품을 받아들여야 하여 과거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이어야 함.

C) 안전 : 고객과 타협할 수 없는 부분.

D) 보안 : 테러에 대한 통제

E) 위생 : 폐기물 처리에 관한 고려사항.

F) 창고 자재취급 시스템 : 지게차, 팔레트, 창고 입고(하역 횟수에 대한 입고일정 예약)

  -. 사전 선적통지서(Advance shipping notices, ASNs)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입고 프로세스가 효율적이고 정확해짐.

G) 노동 집약 vs 기계화

  -. 자동화  자동화 창고란 자동 저장/인출시스템(AS/RS), 자동 유도차량 시스템(AGVS), 전자태그 시스템(RFID)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자동화 기술을 사용하는 저장시설.

  -. 부품 수동 운동장비 VS 부품 자동 운송장비 : 수동 (팔레트, 카트, 롤러, 탑승 저장/인출), 자동 (수화물 컨베이어, 보관용 컨베이어 및 AS/RS)

3) 주문 인출 VS 재고 보충 기능 : 주문 인출은 조직의 창고에서 고객으로의 자재 유출 흐름을 의미하는 반면, 재고 보충은 공급업체에서 창고로 자재 유입 흐름을 의미한다.

  보충을 위한 방법으로는 독립 수요와 임의 수요, 종속 수요, 예상 수요가 있다. 종속 수요는 자재 소요 계획(MRP) 또는 생산자원 계획(MRP2)를 사용한다.

4) 가상 창고 VS 실제 창고 : 과거 조직은 벽돌로 쌓아 올린 창고를 운영했지만, 요즘은 조직간 정보 시스템이 통합되면서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여 공급업체가 고객에게 직접 선적하도록 할 수 있다.

5) 물류 성과 측정, 전략, 원가 절감 노력

A) 판매 대비 원가 비율 : 조직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

B) 예산 VS 단위당 물류 비용

  : 사전 결정된 기준과 변동 예산을 통해 원가를 관리하는 것은 가장 포괄적인 형태의 관리 시스템.

  -. 고정예산(Fixed dollar(static) : 기능의 비용을 추정한 것

  -. 변동예산(Flexible budget) : 예산을 넘어서고 활동원가를 주도하는 계절적 요소와 내부 요소를 설명

  -. 제로 수준 예산(Zero level budget) : 기능 단위와 자금 제공을 위해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수행하며 제로부터 시작하여 필요한 비용을 배정

  -. 자본예산(Capital budget) : 물류 자원에 대한 상당한 재정적 투자의 금액과 시기를 구체화

C) 매출 대비 기능 비용의 비율

D) 재고 회전율 : 재고 회전율 개선의 필요성 강조.

E) 적시 인도(On time delivery)

F) 성과 기록표

6) 3자 및 제 4자 물류 고려사항

 : 제조업체, 판매자, 구매나 입고를 담당하는 곳 이외 다른 자가 제3자 물류 서비스를 제공. 거래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제3자는 창고보관이나 거래 등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 창고 보관의 경우 제3자 물류와 창고 보관업체의 활용을 늘리는 추세.

  4자 물류는 다른 조직을 위해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자재, 부품, 공급물품, 완성품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 고객사의 공급망 전반을 제4자 물류가 관리.

7) 프로세스 개선 활동 계획 (5S 활동)

  -. 정리(Sort) :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필수 물품만 보관

  -. 정돈(Set in order or arrange) : 정돈된 작업장. 물품을 사용할 곳에 둠.

  -. 청소(Shine) : 깨끗

  -. 청결/표준(Standardize) : 표준화하여 각자 책임

  -. 지속/습관(Sustain) : 끊임없이 개선, 교육

 

B-2. 최적의 자재 흐름과 화물의 통합을 위해 수송량/분배 정책과 절차를 관리한다.

1) 운송 형태 : 수상, 차량, 철도, 항공, 파이프라인

  -. 크기, 중량, 밀도, 포장, 구체적인 물리적 특징 등 운송할 제품의 형태

  -. 조직의 니즈를 충족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운송 형태 또는 복합 운송 형태

  -. 필요 시간 등 배송 요구사항

  -. 조직의 요구 사항

2) 운송제한 : 위험 물질은 취급 제한, 검사와 보안 조치 정책 존재

3) 운송업체 비용감사 : 운송비 관리를 위한 운임 청구서 검토

4) 운송업체 성과감사 : 의지, 자세, 시간 절약에 대한 초점, 물류 시스템 설계의 유연성 등

5) 운임분류/요율 : 현지 수집과 배송 지역이 동일하지 않은 두 지점간 제품의 이동에 대해 지점간 운임 요율을 청구.

6) 사용 가능한 기술 : 운송분석, 수송 경로와 일정관리, 운임 요율 관리와 감사, 차량 유지보수

7) 재배치 또는 이동 프로세스

반응형
반응형

3) 예측에 사용하는 데이터 출처

A) ISM Report on Business : 전국 18개 제조업과 18개 비제조업의 약 350개 조직을 대상으로 한 두개의 조사로 구성. 활동 수준의 월별 변화를 측정. 생산, 신규 주문, 공급업체 성과, 재고, 고용, 상품 가격이 주요 지수.

  ISM Report on Business는 가장 널리 인정받고 사용되는 선행 경기 지수 중 하나.

  첫째, 경기 순환에서 분기별로 변화를 측정할 때, 확산(변화) 지수의 동향은 실제 활동에 대해 선행적 동향의 특징을 갖는다.

  둘째, 종종 정부의 데이터는 발표 시점에서 이미 수 개월이 늦지만 ISM 데이터는 전달 활동의 변화를 보여준다.

 

4) 예측 방법론/기법

A) 단기 예측 VS 장기 예측 : 1년을 기준으로

B) 거시적 예측 VS 미시적 예측

C) 델파이 방법 : 의견에 기반한 예측을 개발하는 절차가 델파이(Delphi method). 패널 파악 후 서로 떨어뜨려 놓고 특정 사안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질문에 대한 서면 답변과 주장을 준비하여, 연구자와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반복한다. 델파이 방법의 용도는 매출 액 드 상품과 서비스 수요에 대한 장기 예측이나 신제품 수요 예측, 기술 발전을 예상. 사회적 변화, 과학적 발전, 경쟁 환경, 정부 규제를 예측, 조직의 연구 개발에 유용함.

D) 상관/회귀 분석 : 두 변수 사이의 인과 관계가 아닌 통계 관계를 살펴보는 방법. 상관계수는 양수(두 값이 함께 증가)인지 음수(하나가 감소할 때, 다른 하나는 증가)인지 보여준다. 회귀 방정식을 사용하면 한 변수에 기반하여, 다른 변수의 가치를 예측할 수 있다.

E) 시계열 : 시간에 따라 데이터 시리즈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검사하는 방법. 추세, 순환 변동, 계절 변동, 임의 변동 등.

F) 중심 경향 : 평균, 최빈값, 중앙값.

G) 변산도(Variability) : 변동성의 측정값이 작을 수록 숫자들은 중앙 지점 주변에 보다 조밀하게 모여있다. 변동성의 측정은 범위, 분산, 표준편차를 포함한다. 두 변수 간의 상관계수.

H) 주기적 데이터에 대한 분석 : 경제 또는 사업 제도가 바뀌면서 장기적 동향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잔여 변동.

  -. 평활법 : 데이터의 편차를 고르게 하여 추이가 좀 더 투명하게 나타나도록 만드는 과정. 평균의 대상이 되는 관찰값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지수 평활법'이라느 통계적 기법은 가장 최근의 데이터에 더 많은 가중치를 준다.

I) 동향 분석 : 시간에 따른 수요의 중감 패턴을 동향으로 간주. 동향과 계절성이 존재할 경우, 윈터 모델(Winder's Model)이나 계절 지수 평활법을 공통적으로 적용.

J) 의사결정 트리 분석(Decision tree anlysis) : 대안 행동과 그 결과를 배치하는 의사결정 수단. 결정 분기점, 결과 분기점, 결과 개연성, 결과 보상, 예상 값. 의사결정에 보다 체계를 제공하고 대안을 분석하는 보다 객관적인 방법을 제공해 준다.

K) 박스 젠킨스(Box-Jenkins) : 시계열 데이터가 정적인 데이터(평균이 동일하고 동향이 없을 경우)이거나 정적인 시리즈로 변형될 수 있는 경우 사용.

L) 지수 평활법 (Exponential smoothing) : 가장 최근 기간에 대한 수요와 이전 기간에 대해 추정된 예측 값을 가중치 방법을 이용한 현 예측을 산출하는데 사용.

 

5) 예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 현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예측 수단의 계산 결과가 정확하다. 조직에게 중요한 원자재 또는 부품 각각에 대해 이들과 기타 상품별 특정 요소들 각각을 고려하고 추적해야 한다.

A) 소요시간 변동 : 금융과 생산 문제, 수요 증가, 공급망 위축 등으로 자재 부족 발생

B) 노동 조건 변화 : 노동 협약의 만료로 인한 공급 중단 가능성 숙지. 파업, 노동 기술의 부재 등

C) 금융 시장의 변화 : 환율, 금리로 인한 인플레이션, 투자 감소 등

D) 지정학적 요인 : 지리적 위치, 역사, 종교, 정부 구조, 사회 경제적 요인을 감안한 한 지역의 정치적 상황. 정권 변화가 기업 환경의 변화로 이어짐.

E) 기술적 이동 : 인터넷의 발전

F) 날씨 조건 : 농산물 기반으로 하는 소재에서 날씨는 매우 중요

G) 세계 무역의 변화 : 관세, 무역, 수출 금지, 수입 쿼터 등

H) 경제적 여건의 변화 : 소비자 지출, 기업 투자, 인플레 수준, 실업률, 신규 건설 추세 등

I) 데이터 무결성 : 예측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반드시 정확한 최근 자료

 

6) 예측 정확성 측정

A) 표준 편차 (Standard error)

B) 평균제곱 오차 (Mean squared error, MSE)

C) 평균 절대값 퍼센트 오차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A-3. 공급업체와 예측 데이터를 관리한다.

1) 비즈니스 예측 모델 : 경기순환 예측 모델(Business cycle forecasting models)은 경기가 바뀌기 전에 변화하는 경제 활동을 측정하여 향후 방향을 보여주는 선행 지수에 의존. 해당 기간에 발행한 건축 허가의 수, 통화 공급(기업과 가계가 보유한 현금과 은행 예금액), 재고 수준의 변동, 주가 변동, 실업 보험 수당 신청자 수, 주 당 평균 근무 시간, 신규 주문 등.

2) 기밀유지 문제 : 입찰, 공급업체 제안서, 가격 정책, 도면, 설계, 전략, 임금과 급여 정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과학적인 공식 등. 해당 내용을 서면으로 작성하고, '기밀'임을 표시하는 것. 정보에 대해 받아들일 수 있는 사용과 그렇지 않은 사용에 대해 분명하게 정의하는 기밀유지 계약서(NDA).

3) 공개에 대한 제한 범위

A) 제품개발 모델 : 지적 재산권 보호 계약 체결

B) 생산계획 : 공급업첸느 생산계획을 기밀로 간주해야 한다. NDA 사용.

4) 법적 의미 : NDA 사용시 기업 비밀을 신중하게 정의.

5) 공급업체 재고관리 (Supplier managed inventory, SMI/Vendor managed Inventory, VMI)

 : 공급업체로 하여금 공급관리전문가의 시설에서 재고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재소 수준이 낮아질 때, 물품을 보충(Replenishing)하도록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6) 협업적 계획, 예측, 보충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CPFR)

 : 최종 소매 유통업체는 자사의 고객 수요 예측을 공급망의 상위 방향으로 공유하여 브랜드 제품의 제조업체가 제품을 보다 저가에 생산하고, 해당 소매 유통업체에 제공하도록.

  CPFR은 전반적인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고, 재고 부족을 최소화하여 공급망 비용을 낮춤.

  CPFR이란 공급망관리의 일종으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신속하고 효율적인 상품 공급을 위해 공동 운영하는 업무 프로세스이다. 주로 판매모델의 선정 및 판촉 활동, 실제 판매 데이터 교환을 통한 판매물량 예측, 소비자 주문에 대한 배송 등의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BP(Business Planning)과 Sales forecasting 그리고 원자재와 완제품이 보충이 요구되는 모든 공정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서로 내부정보를 공개해야 하기 때문에 상호 신뢰가 없으면 성공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계획&실행, 수요&공급관리, 실행, 분석으로 4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7) 제품 수명주기

  -. 도입 단계 : 품질 감시, 문제 해결, 실제 수요 기반으로 생산과 납품 일정 조정

  -. 성장 단계 : 공급의 연속성 유지를 위해 예측 데이터를 공급업체롸 공유.

  -. 성숙 단계 : 재고(SMI)를 관리

  -. 쇠퇴 단계 : 초기 제품을 대체할 저렴한 해결방법 또는 부품 제안

반응형
반응형

[예측]

A-1. 분석을 수행하고, 경영진과 사용자 부서에 현재와 미래, 해외/국내 시장 상황, 벤치마크, 업계 동향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1) 경제에 관한 일반적 문제

A) 산업, 기업, 시장

  -. 중앙통제 경제에서는 정부가 가격을 결정

  -. 순수 시장경제에서 모든 노동력, 재화, 용역, 자본이 정부 규제나 무역 장벽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국겨을 넘어 자유롭게 이동 가능

  -. 폐쇄 경제 : 국가는 외부 세계와의 교역을 엄격하게 제한하며 생산과 교역을 지원할 때 자국의 자원에 의존

  -. 그 외 국가들은 국영기업과 민간기업이 혼합된 형태인 혼합 경제로 운영

B) 세계 시장 : 보호주의 (국내 경제에 유해하다고 간주되는 재화와 영역의 자유로운 흐름에 정부가 개입)

  -. 덤핑(Dumping) : 생산 비용보다 낮은 가격으로 재화를 수출 (수출입 금지(Embargoes),  쿼터(Quotas)) - 관세, 정부 보조금 등으로 비교 우위를 인위적으로 만듬

C) 경기순환과 동향 : 경기 순환 5단계

  1) 하강 전생산량의 최고점

  2) 불황 또는 경기 위축

  3) 불황의 최저점, 또는 경제 활동에서의 최저점

  4) 회복, 또는 성장 재개 경로

  5) 과거 고점을 뛰어넘는 확장

  -. 경기 순환 예측 모델(Business cycle forcasting models) : 주당 평균 근무 시간, 주가, 건축 계약 체결, 신규 주문과 같은 선행 지수에 의존

D) 운송 동향 : 복합 운송에 대한 요구 지속 증가

E) 경기 지표(ex. ISM report on business) : 제조와 비 제조 분야 두 개의 보고서 존재

F) 정부 정책 : 개인과 조직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주는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 등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경제 활동에 영향을 주는 특유한 입장에 있음

G) 정치적 안정/불안정 : 정부 지도층의 교체, 정치적 분위기의 변화 등 정치적 문제로 인해 공급중단이 될 잠재적 위험 존재

H) 전 세계 산업 이주 : 낮은 생산 비용을 위해 현지 시장 활용, 판매 매장을 개도국에 설립

I) 수입/수출 문제

  -. 자유 무역(Free Trade) : 관세율, 쿼터, 수출금지가 존재 X

  -. 공정 무역(Fair Trade) : 보호주의. 상품 및 서비스의 흐름에 정부가 간섭

J) 환경 : 환경 문제를 다루기 위한 법, 규제, 기타 결정은 생산성, 천연자원과 기타 자원의 가용성, 제품 생산 비용에 영향을 줌

 

2) 시장 분석

A) 포터의 5가지 힘 : 직접 경쟁의 범위와 강도, 신규 진입자의 위협, 대체 제품과 서비스의 위협, 구매자의 힘, 공급업체의 힘

B) SWOT 분석 : 조직의 내부와 외부 힘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평가로서 조직의 새로운 방향, 전략, 프로젝트의 필요성을 야기하는 조직의 현재 환경을 경영진이 평가하는데 유용

C) 벤치마크 : 선택한 기준에 따라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거나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표준 또는 평가 기준 (캡스 리서치 CAPS Research)

D) 정보 요청서(RFI) : 물품에 대한 구체적인 요청서를 발행하기 전에 정보 요청서 사용 (입찰 요청 전에 사용)

E) 공급업체 조사 : 공급업체는 시장 상황과 동향에 관한 귀중한 정보 제공처

 

3) 공급시장 복잡도 VS 업무 영향

A) 기회 평가 : 경쟁, 지리적 분산, 공급업체의 협력 수준에 대한 각 시장 평가 필요

B) 우선순위 결정 : 피터 크랄직(Peter Kraljic)은 공급관리전문가가 이익 영향(고, 저)과 공급 위험(고, 저)에 따라 구매 품목이나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소싱 전략을 개발할 때 유용한 2x2 포트폴리오 매트릭스를 개발

  1.0 전략적(Strategic) : 고위험, 고가치. 비용을 낮추고, 공급의 연속성을 위한 공급 전략 필요. 긴밀한 상생(win-win) 협력 형태의 관계

  2.0 일상적(Routine) : 저위험, 저가치. 구매 비용 최소화 추구.

  3.0 병목적(Bottleneck) : 고위험, 저가치. 대량 구매. 공급 중단 위험 최소화를 위한 대체 공급업체 찾기.

  4.0 레버리지(Leverage) : 저위험, 고가치. 공급업체는 많지만 지출이 상당한 품목. 조직의 구매 수량을 레버리지로 활용 전략.

 

4) 분석/재무 기술 : 가격 지표, 경제 지수, 예측 모형을 이해. 이러한 이해로 위험 최소화, 기회 최대화, 혁신 기술 평가.

 

A-2. 조달에 영향을 주는 경제, 경쟁, 기술, 시장, 통화에 대한 동향과 상황을 고려하여, 공급 예측을 개발한다.

1) 예측의 유형

A) 수량 : 수요 예측을 개발하기 위해 신규 또는 기존 제품과 서비스의 판매 수량을 예측. 재화와 용역의 수량을 예측할 때는 가격, 가용성, 순환과 계절적 특징 고려

B) 업계 생산 능력과 가용성 : 업계 생산 능력이 전반적인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지,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달성할 만큼 조직이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판단. 중복되는 제품라인과 시장 범위, 시장에 예상되는 영향에 있어 경쟁을 평가.

C) 원가 또는 가격 : 가격 예측은 원유, 금속, 기타 원자재와 같은 상품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이러한 형태의 예측이 중요한 경우는 조직이나 공급업체의 업계 또는 소비자가 급속하게 변할 때.

D) 기술 : 불확실의 환경에서 이루어짐. 기술적 발전은 제품의 수명주기를 단축.

E) 기획 : 주요 지출 카테고리에 관한 구매 이력과 경제성 검토는 구매에 대한 과거 자료 검토, 현재 경쟁 환경에 대한 분석, 수요, 공급, 가격에 대한 예측 등 주요 상품 카테고리에 대한 엄격하고 포괄적인 분석을 의미

F) 공급 보장 : 공급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보장하는 책임.

 

2) 예측에서 활용하는 경제 개념과 용어

A) 물가 지수(Price Indices) : 일정 시점의 상품의 가격과 그 상품의 기준년도의 가격을 대비한 비율.

  1.0 생산자 물가 지수 (Producer Price Index, PPI) : 재화와 용역의 국내 생산자가 받는 가격의 시간에 따른 평균 변화를 측정.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실제 원가가 아니라, 판매 가격에 기반. 공급관리 전문가와 그들의 공급업체는 가격 인플레이션을 예측하고 가격 인상 조항을 협상하기 위하여 PPI를 사용할 수 있다.

  2.0 소비자 물가 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 CPI는 PPI에 비해 임률(Labor rate)과 보다 밀접한 연관. CPI는 다양한 재화와 용역에 대해 200개 이상의 카테고리를 갖고, 8개 주요 그룹에 대해 시간에 따른 소매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 CPI는 후행 지수기 때문에 유용하지 않음.

  3.0 은재적 가격 디플레이터 (Implicit Price Deflator) : GDP 디플레이터.기준 연도의 평균 가격 수준과 주어진 해의 평균 가격수준을 비교. 은재적 가격 이플레이터 = 경상가격 GDP(명목상)/ 실질 GDP. 미국 상무부에서 상요하는 지수.

B) 금리 : 자금을 빌리는데 필요한 비용. 대출을 받은 측에서 대출 자금을 사용하기 위해 지불해야하는 원금 대비 연 백분율. 금리는 투자에 영향을 주고, 성장을 자극하거나 억제한다. 고금리는 기업으로 하여금 높은 대출 비용을 떠넘기도록 하고 가격 인플레이션 유발.

C) 경제 지표

  1.0 선행(Leading) : 경기 변동 전에 변화하는 경제 활동을 측정한 것. 해당 기간에 발행한 건축 허가의 수, 통화 공급(기업과 가계가 보유한 현금과 은행 예금액), 재고 수치, 생산직 근로자의 주당 평균 근무 시간, 주가, 실업보험 수당 신청자 수의 변화 등.

  2.0 후행(Lagging) : 실업률 등 일반적인 경제 상황이 바뀐 후 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경제 활동을 측정한 것. 인건비, 기업 지출, 우대금리, 재고 장부 가액, 은행 여신 잔액 및 실업률이 예.

  3.0 동행(Coincident) : 경기 순환의 변화와 동시에 변화하는 경제 활동을 측정. 개인 소득, 비 농업 부문 고용, 산업 생산 등.

D)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은 경제에서 평균적인 가격 수준이 높아지고, 디플레이션은 감소하는 것. 높은 인플레이션에서는 가겨과 임금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투자는 금융 시장보다 유형자산에 집중.

E) 설비 가동률 : 기업, 업계, 국가가 설치 설비를 가동하는 수준. 설비 가동률은 가용할 수 있는 설치 설비를 활용한 시렞 생산량과 잠재 생산량을 비교.

F) 경제 지수 : 기준 기간의 값과 이후 기간의 값을 비교한 것. 지수 값은 조사 값을 기준년도의 연간 산업 생산, 산업 가격, 소비자 가격 등과 연관 짓는다.

G)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 : 국가의 국내 생산량을 측정한 것으로 주어진(일반적으로 1년)동안 한국가 내에서 생산한 모든 오나성된 재화와 용역의 총 가치

H) 국민총생산(GNP) : 한 나라의 총 생산을 측정ㅎ란 지표로 특정 기간 중 (보통 1년) 그 나라의 기관 및 조직이 전세계 어디에서든 생산한 모든 완성품 및 서비스의 총 가치를 의미.

I) 상품 무역 수지 : 자동차, 전자 제품처럼 재화의 거래인 시적인(Visible) 무역을 측정한 것. 무역수지는 국가의 수출 가치과 수입 가치의 차이. 흑자 또는 무역적자로 표현.

J) 국제수지 : 국경을 넘나드는 자금 이동의 차이를 측정한 것. 한 해 동안 한 나라가 전 세계 다른 국가와 거래한 것을 집계.

K) 환율 : 구매조직이 다른 국가의 조직에게 얼마를 지불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 지불 시점에 존재하는 국제 환율의 기능. 예를 들어, 미국 달러가 지나치게 강세를 보일 경우, 미국 제품을 구입하기 위해 더 많은 국제 통화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미국 제품의 해외 판매가 어려워 진다. 나아가, 너무 강한 달러는 국제 투자에서 더 유용하기 때문에, 국내 투자를 감소시킨다.

반응형
반응형

1-F-3. 공급업체 다양성 프로그램을 개발/이행한다

  1) 프로그램 개발 명분

    A) 조직 정책

    B) 장애물

    C) 혜택

    E) 불균등 조사

    F) 고객 요구사항

    G) 하청 계획

  2) 사회적 경제적으로 소외된 공급업체/역사적으로 충분히 활용되지 않은 기업이나 기타국가의 유사한 업체에 관한 정보의 출처

    A) 중소기업청

    B) 소수민족/여성기업 개발청

    C) 기업 주소록

    D) 소수민족/여성기업 개발위원회

    E) 국내 소수민족/여성 상공회의소

    F) 사업 박람회

  3) 소기업/소규모 소외기업 요건

    A) 인증

    B) 등록

    C) 적용 분류

  4) 프로그램 구성요소

    A) 최고 경영진의 지원

    B) 조직 정책

    C) 프로그램 조정자

    D) 구매자 다양성 목표

 

F-4. 특정 요구사항(규제, 안전, 신뢰, 품질)에 부품, 자재, 공급업체가 부합하도록 신규 공급업체 적격성 계획 및 보고서를 작성한다.

  1) 고객 의사소통/고객 관계관리(CRM) :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급기반 또는 부품과 자재의 변경시, 이를 고객에게 신속히 알려줘야 한다.

  2) 공급망 지도 : 공급망 가시화는 공급망을 이해하고 신규 공급업체를 이해하는 중요한 도구다.

  3) 품질 시스템 : 다양한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책과 절차를 설명하며 궁극적으로는 사업 성과의 개선을 가져온다.

    -. ISO 9000;2005, 품질관리 시스템

    -. ISO 9001 품질관리 시스템 : 3의 감사인이 인증을 부여할 수 있는 유일한 시스템

    -. ISO 9004:2000 품질관리 시스템 : 성과 개선에 관한 지침은 지속적인 개선 및 완성 시스템의 향상을 위한 제안을 포함

  4) 물류 시스템 :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 서비스 및 관련 정보의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흐름 및 저장을 원산지까지 계획, 이행 및 제어하는 프로세스

  5) 재무분석 : 조직 또는 프로젝트의 계정과 경제적 전망에 대한 분석

    -. 자기자본 수익률 = 순이익/자기자본

    -. 자산 수익률 = 매출총이익/대차대조표 총액

    -. 주당 수익 = 주가/주당 순이익

    -. 재무분석의 완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국 자료

      A) 던 앤 브래드 스트리트의 공급업체 평가 보고서

      B) 인베스터즈에지

      C) 에드가

      D) 로버트 모리스사 연례보고서 연구

      E) 무디스 기업 프로파일

      F) 디스클로져 데이터베이스

      G) RMA 연례보고서 연구

      I) 스탠다드 앤 푸어스

  6) 요구사항 수집방법 : 설명-정의-기록-구축 접근법

  7) 공급업체 평가 기준

    -. 고려 요소

    A) 통화 위험

    B) 재고 이동경로 비용

    C) 프로젝트 생애 주기 비용

    D) 공급업체 변경 비용

    E) 미준수 비용

    -. 공급업체 평가과정 단계

    A) 공급업체 주요 평가 항목 정의

    B) 각 평가 항목에 가중치 부여

    C) 각 평가 항목의 세부 항목 정의 및 가중치 부여

    D) 점수 측정 기준 정의

    E) 공급업체 평가

    F) 평가 결과 검토 및 공급업체 선정

    G) 공급업체 성과의 지속적 평가 및 구체적 개선 목표 제시

 

F-5. 공급업체 성과 평가

  1) 공급업체의 수행능력 분석에 사용되는 요소

    A) 생산능력과 가동률

    B) 납기

    C) 품질 이력

    D) 계약자의 생산 또는 구매 프로그램

    E) 주기/소요시간

    F) 생산성

    G) 유연성

    H) 참조

    I) 전자적 역량

    J) 제품 라인의 다양성

    K) 고객/주요 요건

  2) 현장 방문

    A) 현장 방문 목적

    B) 방문 비용 대 효과

    C) 현장 조사팀

    D) 현장 장문시 평가 요소

      1.0 일반 관리 : 공급업체의 문화 규범

      2.0 프로세스/자제 흐름

      3.0 직원 사기

      4.0 주요 성과 지수

    E) 현장 방문 시간

  3) 공급업체 조직의 변화 평가

 

F-6. 공급업체 퇴출 전략을 마련하고 실행한다.

  1) 내부 고려사항

    A) 이해당사자

    B) 시기

    C) 자산 (>재고, 금형, 자본설비, 지적재산권)

    D) 문서

  2) 외부 고려사항

    A) 계약

    B) 고객 요구사항

    C) 공급업체 인증 상태

    D) 자산 (> 재고, 금형, 자본설비, 지적재산권)

  3) 관련 위험

    A) 법적 요건

    B) 재정적 요건

  4) 지역사회 관련 사항

반응형
반응형

1-F-1. 공급기반 합리화를 위한 기회와 이익을 파악한다.

  1) SWOT 분석

  2) 데이터-마이닝 도구 : 공급기반 최적화는 공급업체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각 업체의 성과기록에 대한 신중한 평가를 요구한다. 각 업체의 데이터 마이닝은 최적화/합리화 과정의 중요한 단계다.

    -. 첫번째 분류 : 현재 혹은 미래 성과 요건을 충족할 수 없는 공급업체

    -. 두번째 분류 : 부족하지만 잠재력을 보이는 공급업체

    -. 세번째 분류 : 개선을 위해 지원할 필요가 없는 거의 완벽한 공급업체

    -. 최적화 과정은 공급업체가 공급기반에 남기 위해 기준을 연속해서 통과하도록 요구한다.

  3) 공급기반 합리화 : 품목/카테고리의 위험과 가치에 따라 해당 품목/범주별로 적절한 수의 공급업체를 결정하고 유지하는 것

    -. 공급기반 합리화/최적화의 중요한 성공 요소

      1) 적절한 합리화/최적화 과정 기간

      2) 교차기능팀의 활용

      3) 공급업체 평가 시스템과 데이터 웨어하우스

      4) 최적화 목적을 고려한 전략개발 프로세스

      5) 경영진이 지원하는 전체 공급기반에 대한 목표

    -. 공급기반이 지나치게 크면 다음과 같은 선진활동 및 전략을 실행할 수 없는 상황 발생

      1) 공급업체 통합

      2) 협업 계약

      3) 공급업체 개발

      4) 전체품질/비용감소를 위한 공동 노력

        -. 최적화된 공급 기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이익을 기대

          1) 동급 최고 공급업체와의 협력 기회

          2) 거래비용의 감소

          3) 레버리지

          4) 부가가치 활동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

          5) 공급기반 위험의 감소

 

  4) 공급업체 분류

    A) 승인 공급업체 : 검토 및 평가 과정을 통과하고 특정 유형과 수준의 구매를 승인 받은 업체

    B) 선호 공급업체 : 품질, 인도, 가격에 대한 구매조직의 기대를 충족하고 예측하지 않은 변화의 발생시 대응할 수 있는 업체

    C) 협력 공급업체 : 구매자와 판매자가 긍정적인 방법으로 상호 이익을 얻기 위해 형성하는 관계

    D) 인증 공급업체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한 인증 전체를 완료한 업체

    E) 사전 심사통과 공급업체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검토 및 승인 과정을 통과하도록 요구하는 것

    F) 인증가능 공급업체 : 인증 절차를 통과할 수 있지만 아직 절차를 완료하지 못한 업체

    G) 부적격 공급업체 : 구매조직이 정의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개인, 기업, 기타 조직.

    H) 거래중지 공급업체 : 배제 공급업체는 구매조직에 대한 판매나 구매 조직과의 사업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개인, 기업, 기타 조직

    I) 다양성 공급업체 : 조직에서 정의한 다양성 프로그램의 요건을 충족하는 업체

  5) 공급업체 세분화

    -. 효과적인 공급업체 세분화 전략이 없는 구매조직이 직면하는 세 가지 문제점

      A) 공급업체의 성과 및 공급업체와의 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어려움

      B) 공급기반 극대화를 위한 조직 자원을 집중할 수 없음

      C) 공급업체의 미구분으로 인해 효과적인 관리가 어려움

    -. 공급업체 세분화시 고려할 수 있는 중요한 전술

      A) 공급업체 세분화 기준의 결정을 통해 각 공급업체의 잠재력 파악

      B) 관계의 전략적 가치에 따른 공급업체 세분화

      C) 효과적인 공급업체 관리 도구의 개발 및 사용에 대한 자원 투자

    -. 전통적인 공급업체 관계 모델

      A) 어떠한 약속도 하지 않음으로써,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성을 최소화하는 일정 거리 유지 모델

      B) 장기적 관계의 형성을 통해 조직간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의존적 업무를 수행하는 협력사 모델

    -. 공급업체 관계의 세가지 유형

      A) 전략적 제휴관계 : 장기적 약속을 의미, 상대 공급업체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는 의미. 상호출자 수반

      B) 협업관계 : 전략적 차원, 규모 및 금액의 관점에서 중요성이 떨어짐. 상호출자X.

      C) 거래형 관계 :표준화된 공급을 위해 거래하는 공급업체

    -. 공급업체 세분화 과정

      A) 조직 전체에 필수적인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사업의 주요 전략을 파악한다.

      B) 전략적으로 중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검토하고 공급업체의 장기적 잠재력, 기술 혁신, 제안 변경의 가능성을 결정한다.

      C) 수행단계 및 관리도구를 포함한 공급업체 세분화 계획을 마련한다.

 

F-2. 공급업체와 효과적인 관계를 형성/관리한다

  1) 훌륭한 공급업체 관계의 이점

  2) 기밀 유지 정책

    A) 공급업체 자산(유형 및 무형)의 소유, 사용, 반환/처분과 관련된 일반 정책

    B) 지적재산권에 관한 공급업체에 대한 조직의 정책

  3) 좋은 관계 및 신뢰를 구축하는 방법

    A) 최고 경영진 회의

    B) 공급업체와 고객관계 기능과의 관계

    C) 신속한 대금 지불

    D) 공급업체의 공정한 대우

    E) 공급업체 정기 설문조사

    F) 양방향 의사소통의 향상

    G) 공급업체 교육

    H) 팀 구성

    I) 공급업체 개발

    J) 사업 정기 검토

  4) 공급업체 제품 교육 및 참여 사안

    A) 이점

    B) 잠재적 문제점

    C) 현상 방문

    D) 공급업체의 날/포럼

  5) 상호주의 : 공급관리전문가가 공급관리조직의 고객인 공급업체에게 특혜를 주는 관행

    A) 합법성

    B) 공급업체와 구매조직에 미치는 영향

    C) 국내 대 국제

  6) 지속적 개선 : 품질과 같은 여러 기준에 따라 조직의 성과를 점차 개선하는 프로세스

    A) 품질

    B) 비용

    C) 설계

    D) 서비스

    E) 주기 단축

  7) 공급업체 협력/전략적 제휴

    A) 명분

    B) 잠재적 제휴 파악 방법

    C) 제휴의 형태

    D) 제휴의 발전

    E) 제휴의 유지/지속

    F) 제휴의 종료

    G) 공급업체의 인증

  8) 역마케팅/ 공급업체 개발

    -. 역마케팅 : 일반적 관행과 달리 구매조직이 공급업체와의 관계 및 특정 사업거래에 대한 제안을 주도하여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공격적인 접근 방식

  9) 공급업체 조언

  10) 공급업체 조기 참여 (ESI)

    A) 신제품 개발

    B) 개발주기의 단축

    C) 엔지니어 공동근무

  11) 공급망 관리

    첫째, 공급망에 속한 조직간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자원이 망의 지연을 제거한다.

    둘째, 국내외 시장의 치열한 경쟁이 조직에게 신속하고 민첩하며 유연할 것을 요구한다.

    셋째, 고객의 기재와 요구사항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

    A) 정의

    B) 잠재적 이점

    C) 위험 관리

    D) 공급관리 부서의 역할

    E) 다계층 구매계약

    F) 가치 사슬 분석 및 프로세스 개선

  12) 공급기반 혁신

    A) 차이관리

    B) 돌파구 관리

    C) 의사결정 관리

    D) 변화 관리

반응형
반응형

E-3. 예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 및 공급 전략을 계획하고, 전달한다.

  1) 구매 전략

    A) 소량 구매

    B) 소요량 구매

    C) 선도 구매

    D) 투기성 구매

    E) 물량기준 구매 계약

    F) 제품 수명 공급

    G) 적기 생산방식 (JIT)

    H) 위탁 판매

    I) 상품

      1.0 시장의 역동성

      2.0 거래소

      3.0 용어 : 현금상품 또는 현물상품

    J) 공급사 후 보충 시스템

    K) 외주

  2) 재정적 도구

    A) 헷징(Hedging) : 현물(물리적) 상품의 구매 또는 보유로 인한 가격위험을 상쇄하기 위한 설물계약의 매도를 수반한다.

      -. 롱 헷징(선물계약의 매입)은 원자내 인도일은 미래지만 구매일이 지연되는 고정된 가격의 판매계약을 협상할 때, 이윤 보장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 쇼트 헷징(선물계약의 매도)은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는 시장에서 재고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B) 달러 평균법 : 상품이나 부품이 오랜 기간에 걸쳐 구매될 때, 해당 품목의 재고가치는 서로 다른 시점에 구매한 품목 수량 및 가격에 기초하여 평균으로 구한다.

    C) 계약 : 대부분의 조직은 수요가 발생할 때마다 공급업체를 선정하여 발주하기 보다는 정기 계약을 체결할 공급업체를 선정한다.

      -. 장기 계약

      -. 가격 변동 조항(인상/인하 조항)

      -. 제품수명 계약

      -. 다년간 공급계약

      -. 미래 인도 계약

      -. 옵션의 사용

      -. 구매량 계약

  3) 물량의 예측

    A) 연강 소요량

    B) 부품(또는 제품)의 수명주기

    C) ,단기 구매 수요와 관려된 공급시장

    -. 현재와 미래의 기술적 영향 평가

    -. 대체 자재의 가능성과 가용성

    -. 전 세계적 공급과 수요

    -. 가격 분석

    -. 기타 추적 기법과 정보 시스템의 개발 및 사용

 

  4)  조달 방법의 선정 요소

    -. 협상

    -. 경쟁 입찰

      A) 경쟁 수준/시장 상황

      B) 산업 기준과 표준

      C) 긴급성

      D) 달러의 가치

      E) 제품/서비스 사양의 성격

      F) 희망 계약의 유형

      G) 구매 빈도

      H) 위험

        -. 소량/저위험

        -. 소량/고위험

          1) 주문 물량을 늘리고 경쟁입찰을 이용한다.

          2) 위험을 단수화하거나 낮추고 협상을 이용한다.

        -. 대량/저위험

        -. 대량/고위험

      I) 고객 요구사항

      J) 소요시간

      K) 희망 유연성 수준

      L) 구매자/판매자 불확실

반응형
반응형

[소싱]

E-1. 제품 또는 서비스의 잠재 공급원을 분석한다.

  1) 공급기반 분석

    A) 경쟁 수준

      1.0 완전개방 경쟁 : 선택할 수 있는 공급업체가 다수 존재하고 이들 업체 사이에 담함이 없는 경우를 가리킨다.

      2.0 제한 경쟁 : 소수의 공급업체만이 존재하여 공급관리 전문가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가격 결정력을 약화시키는 경우를 가리킨다.

      3.0 기술 경쟁 : 제품이나 기술의 특수성, 특허 등의 이유로 공급업체가 하나 또는 소수만 존재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4.0 단독 공급업체 : 단독 공급업체란 경쟁 시장에서 특정 품목의 구매처를 일부러 한 곳으로 집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5.0 독점 공급업체 : 공급관리전문가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공급원이 단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6.0. 복수 공급업체 :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업체가 두 곳 이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2) 공급원의 특성과 조달에 미치는 영향

    A) 제조업체 대 유통 업체 : 제품의 대량 구매 시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구입하는 것을 선호

    B) 대기업 대 중소기업 : 대규모 공급업체에 비해 중소 공급업체는 특정 제품을 적극적으로 특화하여 공급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C) 전국 오급원 대 지역 공급원 : 전국 공급원으로부터 구매를 하면 더욱 높은 경쟁력, 다양한 제품, 유리한 가격을 확보할 수 있다.

    D) 해외 대 국내 공급업체 : 국내 업체로부터 조달을 하면 구매업체와 공급업체에게 동일한 법률, 운송 접점, 의사소통 방식이 적용되기 때문에 많은 구매 조직이 국내 업체로부터 조달을 한다.

      1.0 환율 : 환율, 즉 구매조직의 통화를 다른 통화 또는 금으로 구매하는 가격을 고려해야 한다.

      2.0 지불 프로세스 : 국제 거래에서 전통적으로 통용되는 주요 지불 수단은 두가지다. 가장 일반적인 것이 신용장, 그 다음으로는 환어음 또는 환어음 수표다.

      3.0 관세 : 관세란 정부가 수입 물품이나 수출 물품 또는 물품의 사용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다.

      -. 종량세 : 수입 물품의 수량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세금

      -. 종가세 : 품질, 중량, 기타 사항에 상관없이 과세 물품의 가치를 기준으로 부과하는 세금

      -. 복합세 : 종량세율과 종가세율을 결합

      -. 부가가치세 : 생산과 유통의 단계별로 해당 단계에서 증가한 가치에 따라 제품 또는 서비스에 부과하는 세금

      4.0 운송비와 시간 : 운송 시간이 길다는 단점을 고려하면서 해외 구매의 장점을 평가해야 한다. 해상 운송의 경우 운임 외에 재고 유지비용이 증가한다.

      5.0 적용가능 법률 : 구매조직과 공급업체의 국가 모두가 국제 구매시 해당 거래에 적용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

    E) 강제적 공급원 : 조직의 자회사와의 거래오 ㅏ같이 특정 공급원을 사용하도록 강요받는 상황

    F) 긴급 공급업체 : 고장으로 인한 생산 중단 시간을 방지하기 위해 백업이나 대체 공급업체의 확보

    G) 소외 중소기업 : 공공, 민간, 비영리 부문에 불리한 위치에 있는 소수의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하는 특별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H) 조합/컨소시업 구매 : 조합 또는 컨소시엄 구매는 여러 조직이 특정 품목에 대한 각자의 구매력을 결합하여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보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전략

    I) 합작 : 합작은 두 개 이상의 조직이 수행하는 사업 또는 투자다.

    J) 내부 공급원 대 외부 공급원 : 전략적 전술적 관점에서 구매 대상 품목과 생산 대상 품목을 고려해야 한다. 내부조달과 외부조달은 자체생산 대 구매결정이나 내자 또는 외주로 알려져 있다.

  3 기존 공급원 대 신규 공급원

    A) 시장환경 : 거래 공급업체가 한 곳일 경우, 공급관리전문가는 공급업체가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시장 환경을 특히 예의주시해야 한다.

    B) 제품의 복잡성/기술 변화 : 기존 공급업체가 특정 특허나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기타 공급원의 이용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C) 수요의 긴급성 : 신규 공급업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체를 교육해야 하고, 여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긴급한 필요 제품이라면 신규 공급원과의 거래가 실용적이진 않다.

    D) 품질 기대 수준 : 기존 공급업체가 품질면에서 탁월하여 구매조직 입장에서 다른 업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E) 공급업체 프로세스

    F) 경쟁의 적절성

    G) 원가 대 공급원 가치

    H) 장기 수요

    I) 장기적 관계 : 공급관리의 근본적인 목표는 높은 품질을 갖춘 공급 기반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

    J) 공급기반 최적화 : 구매조직의 제품 및 서비스 대부분을 공급하는 주요 공급업체를 파악하고, 세분화된 지출의 제고를 위해 최대한 공급기반을 통합하며, 적극적으로 공급업체 관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요구한다.

    K) 공급업체의 조직 변화 : 핵심 경영진의 인퇴, 인수 및 합병, 제품이나 서비스의 매각과 같은 중요한 변화가 공급업체에 발생하면 해당 공급업체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품질상의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L) 공급의 지속성

    M) 인터넷 검색

      1.0 메타데이터 검색

      2.0 온라인 구매가이드

    N) 무역 전시회/정기 간행물

    O) 동료 벤치마킹

 

E-2 최고의 제품/서비스 제안을 결정하기위해 경쟁력 있는 제안서를 평가한다.

  1) 결정 매트릭스/복수 기준 평가 방식

  2) 제안서의 접수, 관리 및 분석

  3) 제안서 답변

    A) 사양서/작업기술서

    B) 품질 요구사항

    C) 계약 조건

    D)  대체 제품/서비스

    E) 기술적 제안서

  4) 기술적 분석

  5) 운용 분석 : 구매대상 제품이나 서비스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

    A) 현장 감사

    -. 시설, 안전 및 보안, 직원 사기, 아동 노동 및 작업자 착취 금지법의 준수

  6) 원가 및 가격 분석

    -. 산업구조(독점 구조, 개방 경쟁 등), 시장구조(국제 대 국내), 원가동인과 가격 동향, 기술동향과 신규 경쟁자의 진입장벽

    A) 가격 분석 방법 : 가격 분석은 가격을 구성하는 별도의 원가 및 이익 요소에 대한 검토 또는 평가 없이 공급업체의 가격 제안을 합리적인 가격 벤치마크와 비교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1.0 시장 벤치마킹

    B) 이익 분석

    C) 절감 분석

    D) 총 비용 대 가격

      1.0 학습곡선 : 신제품을 처음 생산하는 경우, 공급업체가 해당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알게 될 때까지 추가 시간이나 자재를 사용할 것이라고 전제하는 것이 타당하다.

      2.0 수명주기 원가계산 : 원가분석은 장비의 구매가격 뿐 아니라 유지보수, 고장시간, 전력비, 잔존가치 등 해당 품목의 수명주기에 예상되는 운영 및 관련 원가까지를 포함한다.

    E) 원가 분석 : 실제 또는 예상 비용 데이터(자재비, 노무비, 경비, 일반관리비, 이익) 평가에 기초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합리적인 원가를 결정하는 기법

  7) 제안자 역량/책임 : 해당 공급업체가 계약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측면을 검토

    A) 과거 실적

    B) 생산 능력

    C) 기술

    D) 성실성

    E) 사업기간

    F) 인증 및 허가

    G) 재정적 요소

    H) 평판 조회

  8) 운송 조건 : 제품의 확보에 들어가는 비용이 큰 ㅂ지ㅜㅇ을 차지하므로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

    A) 국제 운송 조건

      -. EXW, FCA, FAS, FOB, CFR, CIF, CPT, CIP, DAF, DES, DEQ, DDU, DDP

    B) 국내 운송 조건 :  미국 국내에서 매도인과 매수인이 사용하는 운송조건과 관련된 네 가지 주요 사안

      1) 물품의 소유권 이전

      2) 필요시 물품의 손상이나 유실에 대한 배상 청고

      3) 화물 운송료 송장의 행정적 처리

      4) 운송비 부담 책임

  9) 기타 요소

    A) 가용성

    B) 소요시간

    C) 물류관련 사항

    D) 공급업체 다양성

    E) 사업 지속성 계획

    F) 정보 보안 : 컴퓨터 하드웨어, 파일(서류)저장, 정보 폐기, IT 기반, 시설, 보안, 시스템 모니터링, 직원, 백업/복구/매체 보유

반응형
반응형

[사회적 책임]

D-1. 공급관리 부서와 외부 공급업체에 대한 기업행동규칙을 수립하고, 실천한다.

  1) 윤리적 공급관리행동에 관한 ISM 원칙 및 기준

  2) 사회적 책임에 관한 ISM 원칙

    A) 공동체

    B) 다양성

    C) 환경

    D) 윤리

    E) 재무적 책임

    F) 인권

    G) 안전

  3) 조직 정책

  4) 사업 행동규정

  5) 국제적 사안

    A) 유엔 세계 맹약 10

    -. 인권, 노동기준, 환경, 반부패

  6) 주요 이해당사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과 교육

  7) 윤리적 사인에 적용되는 법률

    A) 문서에 의한 명예훼손

    B) 구두에 의한 명예훼손

    C) 비방

    D) 뇌물

  8) 고객 요구사항

 

D-2. 환경적으로 책임있고, 환경규제를 준수하는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공급망과 수명주기에 걸쳐 감시한다.

  1) 환경 법규

    A) 공급원에서 유해물질을 처음생성시킨 자는 무한 책임을 진다.

    B) 운반시 적절한 수당을 통해 위험하거나 유해한 물질을 운반하고 발생부터 최종 처리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할 책임이 있다.

    C) 도착지에서 유해물질의 가공, 처리 또는 보관 방법이 환경적으로 책임 있고 규제를 준수하는 방법이 되도록 해야 한다.

  2) 위험 전가

    A) 계약 : 유해하거나 위험한 폐기물을 발생시킨자가 해당 물질을 운반하고 처리할 외부 업체를 고용하고 외부업체에게 환경기준을 준수할 전적인 책임이 있다로 계약서에 명시한다고 해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B) 보험 : 보험은 구매조직을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보상 및 책임 보험은 환경 문제에 대한 보장을 대개 배제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보험상품에 관해 협상해야 한다.

    C) : 환경 위험을 전자하겠다는 것은 위험한 계획이다.

  3) 윤리적 사안 : ISO 14000;14001;14004 - 국제표준화기구는 1996년에 ISO 9000 프로그램의 후속으로 ISO14000은 자발적 프로그램으로 조직이 환경의 질을 보호하는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구한다.

  4) 감사 : 환경 감사는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A) 내부감사

    B) 공급망 감사

    C) 보고

  5) 조직의 가치와 정책

  6) 사회적 책임과 감사에 대한 ISM원칙

  7) 재활용 자재 구매 프로그램

  8) 폐기물의 최소화

    A) 감소

    B) 재사용

    C) 재활용

  9) 수명 관리

    A) 처리방법

    B) 기타 조직에 판매

 

D-3. 조직 및 공급망의 안전 정책과 절차를 이행하고, 감시하며 보급한다.

  1) 법률 및 규정

    A) 적용 법률 (연방, , 지방, 국제 법률)

    B) 개인 책임

    C) 조직 책임

    D) 미국 교통부 또는 다른 국가의 상응 부처

    E) 미국 국토안보부 또는 다른 국가의 상응 부처

  2) 정책과 절차

    A) 근로자 안정

      1.0 교육 요건

      2.0 개인 보호 장비

      3.0 물질안전 보건자료/게시 요건

    B) 기록 보관

    -. 기록 보관 정책의 중요 특성

      1) 운용 가능 시스템에서 기록 접근이 용이함

      2) 기록 접근 권한을 요구함

      3) 필요시 모든 관련 자료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도록 기록을 분류함

      4) 기록이 사용되지 않게 된 시점에 보관 기간을 설정함

      5) 기록의 정기적 폐기에 우선하는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신속히 배포함

    C) 산업 선진사례

    D) 저장 요건

  3) 공급업체와 하청업체의 안전

    A) 감사와 검토

    B) 교육

  4) 고객의 요구

반응형
반응형

[국제 구매]

  C-1. 제품 및 서비스 구매를 위해 국제 시장을 파악하고 평가한다.

    1) 문화적 인식 : 문화란 사회에서 인간의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합의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2) 국제 거래의 문제

  A) 조직의 전세계 절략

    -. 시장요소 : 유통채널의 확대, 개술개선, 전세계 수요의 유사성

    -. 비용요소 : 비효율성과 중복 업무 방비

    -. 환경요소 : 국제적 의사소통 역량 증대, 학습 곡선의 단축으로 신흥 시장에서의 신속한 기술 적용

    -. 경쟁요소 : 경쟁자에게 이점을 제공하지 않기 위한 시장에서의 위치 확립

  B) 전세계 거시경제 및 미시경제 개념 : 거시경제는 경제 활동을 종합적 수준에서 연구하는 것이고, 미시경제는 특정 하위그룹이나 개인 수준에서 연구하는 것이다.

  C) 조직구조 및 역학관계 : 글로벌 조직은 대체로 국제 사업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매트릭스 조직 구조를 수립한다.

  D) 전세계 마케팅 : 마케팅은 조직 및 대상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교환과 프로세스를 통한 제품과 서비스의 기획, 홍보, 가격, 결정, 유통 활동을 통합한 시스템이다.

    -. 국제 마케팅 전략의 수립시 고려해야할 요소

    1) 물리적 요소 : 본사 사무실과 대상 시장 간의 지리적 거리

    2) 문화적 요소 : 전통, 관습, 언어의 차이

    3) 경제적 요소 : 조직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상 시장의 지급 능력

  E) 국가별 회계 기준과 습관

  F) 인적자원 관리 : 인작저원의 관리목표는 두가지(직무 최적임자의 채용과 노동력의 효율성 제고)

    1.0 노동 기능

    2.0 노동 습관

    3.0 인권

    4.0 문화적 차이

  G) 기업 지배구조

    -. 시장기반

    -. 가족기반

    -. 은행기반

    -. 정부계열

  H) 법적 관계 : 국제법의 시행을 감독하는 단독 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I) 지적 재산

  J) 브랜드 관리

 

  3) 사회적 기반 : 사회적 생산 기반과 관련해서는 4가지 분야(경제, 사회, 재정, 마케팅)을 평가해야 한다. 국가 사회적 생산 기반의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운송 시스템과 해당 국가 정부의 안전성이다.

    A) 기술

    B) 운송

    C) 정부 안정성

  4) 위험 평가 : 공급관리전문가는 해외 구매 고려 시, 국제 거래에 대한 조직의 위험 감수도를 평가해야 한다.

  5) 원가 이익 분서과 기회 분석

 

  C-2. 자재 및 서비스의 해외 공급원을 개발한다.

    1) 해외 잠재 공급업체의 조사와 벤치마킹

    2) 다른 문화권과의 협력을 위한 대인 기술

    3) 문화적 인식

    4) 재정적 사인

      A) 도착 비용

      B) 환율 : 해외 구매 시 공급관리전문가는 환율, 즉 구매조직의 통화를 다른 통화 또는 금으로 구매하는 가격을 고려해야 한다.

      -. 환율은 다양한 서로 다른 힘에 대응하며 시간에 따라 변한다. 다음은 고려해야할 주요 힘이다.

        1) 해외 물가상승률 대비 국내 물가상승률

        2) 무역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포함한 정부의 상업 정책

        3) 자본과 소득의 국제적 움직임

      C) 대금 지불 구조 : 국제 거래에서 전통적으로 통용되는 주요 지불 수단은 두가지다.

        1) 신용장 : 신용장을 개설하는 은행이 판매 계약서의 조건 충족시 판매자에게 지불을 보증하는 문서

        2) 환어음 또는 환어음 수표는 판매자가 구매자에 대해 발행하는 것으로 구매자가 특정 환경 하에서 구매 금액을 지불하도록 지시한다.

      D) 세금 : 구매조직은 국제 세법의 변화를 주시해야 한다.

        -. 주요 세금은 다음과 같다.

          1) 종가세 : 과세 품목의 금전적 가치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

          2) 부가가치세 :  생산과 유통의 단계별로 해당 단계에서 증가한 가치에 기초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에 부가되는 가치이다.

          3) 보완세 : 수입, 구매 또는 국내 거래 제품과 서비스에 추가 세금을 부과하는 정부 기관도 있다.

      E) 수수료 : 공급관리전문가는 구매조직이 통관 및 수입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수수료를 염두해 두어야 한다.

      F) 관세 : 관세는 세관 당국이 수입 물품에 부과하는 차별적 세금

        -. 관세는 종량세, 종가세, 또는 복합세의 형태

      G) 관세환급 : 관세환급은 수입업체가 수입품을 재수출할 경우, 수입품에 대해 납부한 관세를 환급해 주는 것이다.

  5) 사업 제안서/계획의 개발

    -. 사업 제안서는 구매조직이 진행하고 있는 공급관리 사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작성해야 한다.

  6) 비상 계획과 철수 전략

  7) 국가별 정부 규정

  8) 중개상/수입상

  9) 무역 망/무역 회사

  10) 물류 업체

C-3. 국가간 국제 거래와 관련한 문서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1) 제한 당사자 및 국가와 관련된 연방 규정

  -. 미국 해외 부패 관행법

  -. 1998년 국제 반부패 법

  -. 반불매 운동법

  -. 수출 관리법

  2) 세관 요구사항

  3) 중개상

반응형
반응형

  B-4. 구매에 대한 원가/이익 분석을 수행한다.

    1) 총 소유비용의 정의 : 총 소유 비용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또는 취득 가격에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발생한 부수적 비용을 더한 것이다.

      A) 단위 총 비용 : 단위 총 비용은 단위 제품이나 단위 서비스의 총 비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B) 수명주기 비용 : 수명주기 비용은 장비 한 대의 구매 가격과 해당 장비의 수명주기 동안의 운영 비용 및 기타 모든 관련 비용을 통합한 비용 분석 도구다.

      C) 도착 비용 : 도착 비용은 수입품의 구매가격, 운임, 취급, 관세, 통관, 지정된 장소에서의 보관 등을 포함한 총 누적 비용이다.

      D) 서비스의 총 수행 비용

    2) 직접비 : 직접비는 개별 산출단위, 일반적으로는 직접 재료와 노동력으로 파악할 수 있는 비용이다.

    3) 간접비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와 직접적 관련은 없지만, 조직의 일반 운영과 관련된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A) 고정비 : 조업도나 활동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는 비용이다.

      (B) 변동비 : 변동비를 제품의 생산이나 서비스 수행의 조업도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비용으로 정의하고 있다.

      (C) 준변동비 : 준변동비는 고정비와 변동비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비용이다.

    4) 재고 유지 비용 : 제고 유지 또는 재고 보관 비용은 투자금의 기회비용, 보관 및 취급비용, 세금, 보험, 축소 및 진부화 위험 비용 등으로 재고를 가지고 있는데 따른 비용이다.

      A) 금융 비용

      B) 소유 비용

      C) 위험 비용

      D) 경비

    5) 추정 목표 원가 : 추정 목표 원가 분석은 목표 원가 데이터에 기반하여 원가 항목별 금전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가격을 예상하는 원가모델 구성 기법이다.

    6) 목표 원가 : 목표원가는 공급업체의 제품 또는 서비스의 수용 가능한 가격을 파악하기 위해 공급관리부서에서 사용하는 접근 방식이다.

      -. 목표 원가 = 목표 가격 + 희망 판매 수익

    7) 관련원가 대비 관련원가 : 프로세스가 변화하면 같이 변동하는 원가가 있는 반면 변동하지 않는 원가도 있다. 의사결정이나 분석의 목적으로 조직의 변화와 함꼐 변동하는 원가를 관련 원가라고 부른다.

    8) 경비 : 경비는 조직 전체의 운영과 관련된 비용이다. 이자비용, 감가상각비, 관리비, 컴퓨터 시스템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A) 할당

      -. 공장 직접비 총액/공장 직접 인건비 총액 = 직접 인건비 1달러당 간접비*퍼센트

      -. 공장 간접비 총액/총 공장 직접 기계시간 = 기계 시간당 간접비*퍼센트

      -. 기업 일반 관리비 총액/기업 매출 총액 = $매출 1달러당 일반 관리비

      B) 활동 기준 원가 계산 : 활동 기준 원가 계산은 간접비를 해당 원가를 발생시킨 활동에 귀속시키는 원가관리 방법이다.

    9) 기회비용

    10) 재무분석

      A) 투자 수익률 = 연간 영업이익/총 투자자본

        = 프로젝트 현금흐름의 순 현재 가치/총 프로젝트 자본

      B) 사용자산 수익률 = 당기 순이익 + 세후 이자비용/사용평균자본

      C) 총 자산 수익률

      D) 판매수익분석

        -. 순 영업 판매 수익 = 총 영업 판매 수익/총 매출액

      E) 수익성

      F) 현금 흐름표

      G) 대차 대조표

      H) 손익 계산서

    11) 임대/구매 분석

      A) 임대계약의 유형

      1.0 운용 임대

      2.0 금융 임대

        2.1 전액 지불

        2.2 일부지불

        2.3 임대/구매

      3.0 레버리지 임대

      4.0 주 임대

      5.0 정비 포함 임대/정비 불포함 임대

      6.0 판매 후 재임대

    B) 임대/구매 결정 요소

      1.0 재정적 요소

         1.1 인플레이션

         1.2 자본예산의 고려

         1.3 3자 상환

         1.4 이자율

         1.5 대차 대조표

         1.6 현금흐름 분석

         1.7 감가상각

         1.8 세금 고려

         1.9 잔존 가치

         1.10 지급 일정

        2.0 운용 요소

        2.1 진부화

        2.2 유지보수 서비스

        2.3 관리비

        2.4 운영비

        2.5 자산의 수명

        2.6 맞춤 재고

        2.7 임대 조건

      3.0 기타 요소

        3.1 소유의 장점

        3.2 공급원의 제한

        3.3 조기 종료

        3.4 보험

        3.5 조직 정책

        3.6 긴급 상황

      C) 법적/회계적 고려사항

        1.0 미국 연방 상법 2A 임대

        2.0 재무회계 표준 위원회 13

        3.0 사베인즈-옥슬리

1-B-5 구매를 위한 자금 조달 및 레버리지 전략을 마련한다.

  1) 현금 흐름 : 유입 수익과 유출 비용을 기간별로 평가한 것

  2) 이자율 : 차입금에 대해 퍼센트로 지급하는 금액이라고 정의

  3) 지급조건 : 구매조직이 대금을 조기에 지급하거나, 지급일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할인율로 정의할 수 있다.

    -. 30일 지급, 다음달 10일 지급, 30일 지급 시 2퍼센트 할인

  4) 감가 삼각 : 자산 가치의 일정 부분을 당기 비용으로 분배하는 것

  5) 시장 상황 : 제품 수명주기의 단계, 구매자 또는 판매자 시장, 제품 위험/가치 매트릭스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A)  제품의 수명주기(5단계)

      (1) 상용화 이전 단계 : 사업 자체가 아직 불확실하기 때문에 공급관리 부서에서 융통성을 모색

      (2) 도입 단계 : 제품의 실패 가능성과 사용화 성공 시 필요한 자재의 충분한 공급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을 모색하는 단계

      (3) 성장 단계 : 공급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

      (4) 성숙 단계 : 공급관리전문가의 목표는 소요시간 단축, 원가 절감, 공급의 지속성 확보

      (5) 쇠퇴 단계 : 더 낮은 원가를 제공하는 공급원을 계속 모색

    B) 구매자 시장 대 판매자 시장

      (1) 구매자 시장에서는 구매자가 판매자보다 더 많은 힘을 가진다.

      (2) 판매자 시장에서는 구매자가 공급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수의 공급업체와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C) 위험/가치 매트릭스 : 위험/가치 매트릭스는 해당 품목의 가치를 수평 축에 공급의 위험을 수직 축에 표현한 시장 상황이다.

      (1) 고위험 고가치 품목에서의 공급전략은 경쟁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2) 고위험 저가치 품목에서는 위험의 감소를 목표로 해야 한다.

      (3) 저위험 고가치 품목의 경우, 공급관리전문가는 이익의 극대화를 위한 레버리지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4) 저위험 저가치 푸몸ㄱ에서는 최저 비용으로 해당 품목을 구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6) 상품 시장

    -. 통제방법

    (1) 보장 또는 매매계약의 한계 설정

    (2) 조직 차원의 안전 검토 위원회 운영

    (3) 공식적인 경영진 감독 프로세스의 제도화

    (4) 조직 각 부서의 구매자간 협업 장려

    (5) 재정부서의 전략 및 공급관리서류 감시

    -. 예측의 상품의 관리에서 중요한 요소

    (1) 공급 요소(공급업체와 내부고객의 재고수준, 향후 생산전망, 운송 가능성, 상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부 사업 등) 고려

    (2) 수요 요소(소비경향, 실제 수요 대 가상 수요, 정부 조치 등)도 고려해야 한다.

  7) 보증 및 통화 시장

  8) 규정

  9) 세법

  10) 수입/수출 쿼터제

  11) 공급업체의 자금조달

  12) 지분 출자

  13) 중앙 집중 구매

  14) 선도 부서의 구매

  15) 협력 구매

  16) 조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