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크릴오일 관련 뉴스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근 레드크릴, 크릴오일 등이 큰 인기를 끌면서 많은 분들이

새로운 영양제로 드시고, 또 선물도 하시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그 중에 식약처 기준에 부적합 판정난 제품들이 있다고 하네요

 

현재 시장에서 모두 회수 조치를 내렸다고 하니,

혹시라도 아래 제품들을 구입해서 드시고 계시다면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우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따르면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크릴오일 제품들을 수거해서 검사를 시행한 결과 12개 제품(총 제품 종류들의 약 30% 비중을 차지하는 브랜드 및 제품)에서 '에톡시퀸'과 '추출용매(헥산, 초산에틸,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가 기준치를 초과해서 검출됐다고 합니다.

■ 에톡시퀸 : 에톡시퀸은 산패(지방의 부패)를 막기 위한 화학물질로, 인간이 섭취하는 식품에 직접적으로 첨가할 수 있도록 허용한 국가는 많지 않다고 합니다. 보통 사료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고 하네요. 국내에서도 에톡시퀸은 식품 첨가제로 허용되어 있지 않다고 합니다. 다만 수산용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에톡시퀸이 수산물을 통해 몸 속에 흡수 될 수는 있다고 하네요. 잔류 허용기준이라는 기준을 적용해서 관리되고 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하루 허용치는 0.2mg/kg이라고 합니다.
  에톡시퀸의 유해성에 대해서는 '개와 쥐 실험' 등을 통해 생식 독성과 태아 관련 문제가 보고된 적이 있어, 임산부에겐 좋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네요. 하루 허용치가 존재한다곤 하지만 아무래도 적은 확률이라도 불안한건 매한가지겠죠 ㅠ

■ 헥산 : 핵산은 유지주출 용매로 쓰인다고 합니다. 주로 물에 잘 녹지 않는 기름 종류의 물질을 녹여 실험하는데 많이 쓰인다고 하네요. 보통 중학교 과학 실험에서 콩기름을 추출하는 용도로 쓰였는데, 다들 기억나실까요? ㅎ 군대에서도 솔벤트라고 부르는데, 기름 때 뺄 때 사용해왔었던 기억이... 장비 닦고.. 냄새 맡고..ㅠ 초산에틸과 이소프로필알콜 또한 기름을 짜내는 용매로서도 쓰면 안되는 성분이라고 하네요 ㅠ

  그래서 식약처에서는 부적합 제품을 모두 전량 회수, 폐기하고, 부적합 제품을 제조, 수입, 유통한 업체에 대해서는 행정처분과 수사의뢰를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식약처는 크릴오일은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식품이라고 하며, 질병 예방, 치료 효과 등에 대해서는 의학적이고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허위과대 광고라며 현혹되지 말라고 당부를 했다고 합니다.


 

크릴100(힐링), 슈퍼쎈 크릴오일(네이처비프에프), 남극크릴오일 500(엔젯오리진)
클린 크릴오일 1200(세움커머스), 울트라맥스크릴오일 58(아워네이처, 네이처가든), 블루오션 크릴오일 (블랙오닉스)
크릴오일 (에이치엘티), 크릴오일 1000(헬스하우스), 슈퍼 파워 크릴오일 56 (내츄럴삼육오주식회사)
지노핀 크릴오일 (RKM Tech), 프리미엄 크릴오일 1000 (비헬스코리아), 뉴브리아 크릴오일 (유케이헬스케어)

 

반응형
반응형

제 1절. 재고관리의 개념

1. 재고자재 : 저장품, 부품, 조립품, 구성품, 완제품

2. 소요관리 계획 : 소요계획 > 공급계획 > 구매계획

3. 정량발주법 : (평균소비량 * 조달기간) + 안전재고

4. 평균재고량 : (발주량/2) + 안전재고

5. EOQ(경제적 발주량) = (루트 2 * 연간소비예측량 * 1회 발주비용) / 단가 * 비율

6. 발주량 결정시 : 최소한도는 발주량 >= 재고기간, 공급업체의 경영상태, 생산조건, 수송 및 시황, 발주 lot에 따른 가격

7. 정기발주법 : 예측기간 중 최대 수요량 + 예측기간 말의 필요 재고 - 현재고 - 미착품

8. 기대수요량 예측 : 시계열 분석에 유리

9. 안전재고의 결정 : 비통계적 방법, 예측오차에 의한 방법, 월간수요량에 의한 방법 => 예측지가 없을 경우

 

제 2절. 소요관리

1. 자재관리 : 자재관리 방침, 부문별 자재계획

2. 자재관리 방침 : 자재재고에 관한 방침, 구매에 관한 기본방침

3. 자재계획 : 자재의 사용목적, 품목 및 품질, 수량, 시간을 예측

4. 자재계획의 구분 : 물동계획, 공급계획, 구매계획

5. 사용계획의 산출기준자재

  1) 설비, 시설 유지용 내구성 자재

    -. 각 부문별 기능 및 규격에 따른 장비 및 공기구 비품류의 기준표(정수표)

    -. 장비 및 공기구, 비품류에 대한 보충률(내용년수표)

    -. 처리실적 및 추세분석 자료

    -. 보유자산 및 재고현황

    2) 설비, 시설 유지용 소모성 자재

    -. 저장재

    가) 적정재고수준 EH는 부문별 상비정수

    나) 수요실적 및 추세분석자료

   다) 재고현황

    -. 상용재

    가) 보유자산 현황

    나) 소모율

    다) 수요실적 및 추세분석표

    2) 생산용 자재

    -. 제품별 자재기준표

    -. 자재별 기준 소요량표

    -. 사용일정

    -. 재고현황

6. 공급계획의 1차 목표 : 기업 내 각 부문에서 필요로 하는 자재를 적기에 공급하여 경영의 원활한 운용에 기여하는 것. 어떤 방법으로 얼만큼 조달하는 것이 효율적인가를 판단하는 것.

7. 공급계획의 기본요소

  -. 1차적 요소 : 구매, 자체생산 여부 결정

  -. 2차적 요소 : 1차적 요소를 원가의 비교분석, 경영방침, 생산능력, 경제적 수리한계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

8. 공급계획의 기본요소

  -. 조달요소량의 결정

  -. 구매와 자체 생산여부의 구분

  -. 구매와 정비

  -. 재고수준의 안정

  -. 유지방법의 선택

9. 구매계획 : 구매조사계획, 구매방침, 구매기술개발계획, 구매요소에 관한 계획

10. 구매계획의 기본요소 : 품목, 수량, 가격, 시기, 구매처, 조건

제 3절. 저장관리

1. 저장관리의 개념 : 자재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존하는 것

2. 저장관리의 원칙 : 저장위치 표시의 원칙, 분류저장의 원칙, 품질보존의 원칙, 선입선출의 원칙, 공간활용의 원칙

3. 건물 내에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가능한 옥외에 야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하역기계의 종류 : 엘리베이터, 호스트, 클레인, 포크 리프트, 스태커

5. 저장시설

  -. 옥내 저장 : 일반창고, 냉동창고, 냉장창고, 지붕창고, 인화물질 저장창고

  -. 옥외 저장 : 두 개의 횡단로, 밖을 향하게 적재

6. 저장계획 : 자재의 분류저장, 순환빈도에 따른 저장, 크기, 성질, 시설의 저장능력

7. 공간 소요 산정 : 소요넓이 산정, 소요부피 산정 (소요넓이 + 적재높이), 재고액, 통로

8. 전표는 1품 1매가 원칙

9. 사외 수입품에 대해서는 납품서의 복사 1매를 입고전표로서 이용

10. 장부의 기입항목 : 수량, 금액을 기입하는 방식

11. 장부의 형식 : 노트식, 인출형의 일람식 카드(구좌수 많은 경우 유리)

12. 창고의 현품 보관 장소에는 1품목 1매식 표찰 이용

13. 입고 : 사외입고 (보통매입에 의해 입고), 사내 입고 (상비품 또는 저장품 입고)

14. 출고금액의 계산법 :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 표준원가법

15. 불용품의 처분 대상 : 잉여품, 불용품

16. 처분의 종류 : 매각, 증여, 해체, 폐기

17. 처분의 절차 : 검토 > 선정 > 상신 > 회람 > 관리전환 > 승인 > 처분

18. 재고조사의 필요성 : 금액의 대조, 수량의 대조, 현품소모상황을 조사, 보관상황의 조사, 상비량의 타당성 조사

19. 재고조사의 목적 : 금액적 조사, 양적 조사, 시간적 조사의 종합성

20. 재고조사의 방법 : 폐창식 조사, 개창식 조사, 특별재고 조사

21. 재고조사의 계획 : 품목 수 및 양, 위치 수, 소요시간, 소용인원 및 장비, 조사요원의 작업능력

22. 재고조사의 교육사항 : 재고조사의 목적, 정확성, 식별 및 상태분류법, 재고조사 세부절차, 측정기구의 사용법, 실사실습

23. 재고조사의 사전준비

  -. 물품을 최대한으로 식별한다

  -. 식별이 되지 않는 품목은 '세지 말 것'이라고 표시한다

  -. 창고 내부에 비치되고 있는 비품 등에는 '세지 말 것'이라고 표시한다

  -. 낱개의 품목은 표시단위로 묶어서 세기 쉽도록 한다.

  -. 여러 위치에 분산된 품목은 가능한 한 이적 통합한다.

  -. 저울, 게이지, 자, 가위 등에 필요한 비품을 준비한다.

24. 재고기록 조정사항 및 절차

  : 기록착오 > 발견 못한 기록착오와 기술 운용상 착오 > 주요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 재고품의 상태 변화

 

 

반응형
반응형

제 6절 구매자재 관리 기법

  1) 가치 분석(VA)의 내용

  -. 가치공학

  -. 가치분석

  -. 가치조사

  -. 가치관리

  -. 구매기술

  2) 가치 : 물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품질, 주어진 기능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가 V=Q or F/P(C)

  3) 가치를 크게 나누어보면 => 사용가치, 존중가치, Cost 가치, 교환가치

  4) 품질은 입수가능성, 적합성, Cost를 고려해야한다.

  5) VA에 대한 과학적 접근

  : 물품의 선택 > 기능의 연구 > Cost 조사 > 대체품의 연구 > Cost의 비교

  6) MRP System의 구성기능

  : 우선순위 계획, 생산능력 계획, 생산능력 조정, 우선순위 조정

  7) MRP의 구성요소

  : MPS, Item Code No, B/M, 재고 File, 인식 가능한 재고, 사용가능한 재고, Lead time, 불출과 사용의 자유, 품목의 독립적 취급

  8) MRP II

  : 사업계획 > 판매계획 > 경영계획 > 자원OK > 주생산계획(MPS) > 자재소요계획 (MRP) > 능력 계획 > 계획 OK > 공정관리 > 구매 > 회계

  9) CIM 의 도입 배경 : 고객욕구의 다양화, 제품 라이프 사이클의 단축, 치열한 기업경쟁, 종합적 의사결정에의 정보 필요, 인건비 상승 및 노사 분규

  10) CIM 의 구상도 : GT, CAD, Robotics, CAM 및 제반 CNC, AMHS, MPCS

  11) BRP의 도입 효과

  -. 비 부가가치적인 업무의 제거

  -. 고객 지향적 측면의 조직 변경

  -. 불필요한 정보의 제거

  -. 중복업무의 간편화 추진

  -. 책임소재의 명확화

  -. 관리비용의 적극적인 절감

  12) ERP의 주요 기능 분석

  -. 기능적 특성 : 업무통합 관리, 표준 프로세스 제공, 그룹웨어 연동, 오픈 시스템, 글로벌 업무 대응, 경영정보시스템, EDI 연계

  -. 기술적 특성 : Clinet/Server 시스템, 4세대 언어 선택 및 지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Module화 관리

  13) ERP 도입시 주요 고려사항

  -. 투자비용, 컨설팅 소요비용, BPR 시행 여부, 조직원의 정보시스템 활용 수준, 상거래 관행 및 세무규정, 투자대비 활용도, 유관산업계의 정보인프라 환경과의 보조, ERP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인력 확보

  14) ERP 도입이 잘 안되는 이유

  -. 도입목적과 구축수단의 혼동, ERP에 대한 지나친 기대, 최고경영자의 관여가 불충분, 업무개혁의 공감대형성 실패, ERP 추진 방법의 일관성 미확보, ERP에 대한 충분한 검증 미실시, ERP업체, 컨설턴트의 능력 부족

반응형
반응형

 

세면대나 샤워부스 아래에 하수구가 막혔을때..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뚫어뻥은 솔직히 변기에만 해당되는거고

세면대나 하수구에는 쓰기가 힘들더라구요 ㅠ

 

이런 끌게? 같은걸 써도 영 시원찮고

오랫동안 묵힌 곰팡이랑 이런 것들까지 하면

아무리 긁어내도~~~

아무리 자주 청소를 해도~~~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금방 다시 막히는 느낌이더라구요.

특히 세수할 때나 손 씻을 때 물이 시원~~하게 안내려가고

쫄쫄쫄 빠지면서 세면대에 조금만 물이 고여 있으면

나중에 분홍색 곰팡이 때가!?

박박 닦아도 잘 안닦이는 회색빛 물때가!?

마구마구 끼더라구요 ㅠㅠ

 


 

우리 피부도 뭐.. 세안 할 때 화학적 스크랩이 있고 물리적 스크랩이 있다고 들었는데

하여간 물리적으로 아무리 해도 물은 여전히 잘 안내려가고

특히 샤워부스 아래에 하수구는 긁어내고 싶어도

그 안쪽이 또 다른 하수구 모양으로 덧대어져 있어서

저 끌게 조차 들어갈 구멍이 도저히 보이지 않았답니다.

 


 

그래서 고안한게 바로 화학적 뚫어뻥!

 

바로 '배수구뻥' 입니다!

 

이미 자취하시는 분들 사이에선 입소문이 났는지

여러 블로그나 sns에서도 사용하고 계시다는 후기가 많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다이X'로 가서 달려가서 바로 샀답니다.

락스를 사서 부을까 하다가 왠지 더 전문적인 이 친구가(?) 더 효과를 발휘해줄 것 같아서

바로 구입했죠.

 

가격은 다이X의 평균 가격이었어요^^;;

싼듯.. 안싼듯.. 그렇다고 부담 안되는 것 같은 느낌이지만

이 가격에 사는게 맞는건가 싶은...

원가는 반도막보다 더 아래에 저지 선이 있을 것 같았지만..

 

그래도 ㅠㅠ 제가 만들 수 있는게 아니니까요 ㅋㅋ

 

그래서 사서 이렇게 부어줬어요

 

 

이게 근데 적당량 아껴서 부으면 안되는 거더라구요..

 

아주 콸콸콸. 거의 한번 쓸 때 1/3정도는 써줘야 했어요.

설명서에도 아낌없이 부으라고 되어 있었구요^^;;

 

흐흐.. 한번 쓰는데 몇 백원이 훌쩍..

 

어쨋든, 따로 물이 잘 내려가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을 순 없었지만!!

 

저는 후회하지 않습니다!

 

자기 전에 부어놓고 한 8시간 이후에 다시 세면대를 써봤더니

 

물이 콸콸콸!!! 잘 내려가더라구요!!

 

여러분들 께서도 화학적 뚫어뻥? 세면대, 하수구 막힘에 한번 써보세요!

저렴한 가격에 묵은 때가 쫙~ 다 내려가는 느낌이었답니다:)

 

저는 앞으로 세면대가 막히거나 하수구가 막히면

이거 계속 사서 쓸 것 같아요!!

 

이상 자취 15년 팁이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제 1절. IT 혁명과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의 변천

  -. 기업가치의 평가 : 종업원, 고객, 주식가치, 사회공헌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 다이렉트 마케팅, 고객만족, 네트워크 마케팅, 데이터베이스화

  -. 기업이 처해있는 비즈니스 환경의 4가지 요인 : 요소조건, 수요조건, 기업전략/경합관계, 관련산업/지원산업

  -. Value Chain이란? 비즈니스의 흐름을 구성하는 각 요소와 그 요소들의 상호연결상태를 말한다.

  -. 마케팅 전략은 매스 마케팅 전략으로부터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그리고 ERP 시스템의 활용으로 발전하고 있다.

  -. ERP 시스템이란? 생산정보, 자재정보, 구매정보, 판매정보, 회계정보, 기술정보 등을 통합관리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제 2절. 구매 자재 관리의 의의

  -. 자재의 개념

  광의 : 토지, 건물, 기계, 설비, 기타(차량, 운반구, 공기구, 비품)

  협의 : 원자재, 부분품(저장품), 재고품, 제품(상품)

  -. 구매 자재관리의 체계도

  구매관리 : 구매관리(협의), 외주관리, 협력회사관리

  자재관리 : 소요관리, 재고관리, 저장관리, 분배관리, 물류관리

  -. 구매자재관리의 목표 : 경영에 필요한 자재를 효율적으로 공급관리

  -. 효율적 관리는 합리적인 면에서 계속성솨 경제성 두 가지로 고려된다.

  -. 구매자재관리 업무의 필요 불가결한 기본업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계획(요구) > 조달(협의) > 보관(저장)

  -. 구매자재관리의 기능

  기본기능 : 구매관리, 재고관리

  부수기능 :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제 3절. 자재의 분류

  -. 재질에 의한 분류(종류별 분류)

  -.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용도별 분류)

  -. 원가계산에 의한 분류(원가 요소별 분류) : 주요자재, 보조자재, 부분품, 소모공구/가구비품

  -. 관리로 본 분류(관리 목적별 분류) : 상비자재, 주문자재

  -. 가공정도별 분류 : 소재, 부품, 반제품

  -. 입수방법별 분류 : 구입품, 사급품, 외주품

 

제 4절. 구매 자재 관리의 조직

  -. 조직의 기본 형태

  계획-외주 분산형

  계획-창고 분산형

  계획-구매-창고 종합형

  -. 조직의 합리화

  계획-실시-통제의 분리

  감사기능의 강화

  내부견제 제도의 채용

  책임의 명확성

  -. 인사배치의 적정화 : 업무내용의 명확화, 인재의 적재적소 배치, 교육훈련을 통한 지식, 기능을 고도화

 

제 5절. 구매자재관리의 새로운 발전과 기대

  -. 구매자재관리의 중요성

  원가절감의 가장 중요한 요소

  영업행위

  현장업무에 대한 보완적인 기능보유

  최종제품의 품질, 원가, 납기에 직접적인 영향

  -. Value Leveling(VL)의 4가지 방법

  1) VL TAG에 의한 방법

  2) OA, 퍼스콤에 의한 VL법

  3) 분료회 조직에 따른 방법

  4) 타사제품군별 COST 비교법

 

  -. 구매선과의 공동CD분석

  1) CLSAA 1의 변경 : 가공단가

  2) CLSAA 2의 변경 : 손과 몸의 동장

  3) CLSAA 3의 변경 : 작업장

  4) CLSAA 4의 변경 : 공정, 작업순서

  5) CLSAA 5의 변경 : 납품방법

  6) CLSAA 6의 변경 : 내외작업 혹은 작업장

  7) CLSAA 7의 변경 : 제품설계

  8) CLSAA 8의 변경 : 원재료

  -. 기술 구매의 Approach

  1) Technology Transfer에 따른 개발

  (1) 기존기술을 조합시킨 복합 집합화

  (2) 기전-체화 > Mechatronics

  (3) 타분야에의 기술이행 (a. 저분야에의 이행, b. 타시장의 이행)

  2) 창조적 자주기술의 개발

  (1) 첨단기술의 개발

  (2) 기초재료연구와 개발

  (3) 고기능소재

  -. 연구개발과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이 대응하는 데 필요한 3가지 접근법

  1) 신제품이나 개발품으로부터의 접근

  2) Needs로부터의 접근

  3) 제조품생산화 프로세스로부터의 접근

  -. 연구개바로가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 3가지 접근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

  1) 전문업무의 조직화

  2) 체계적인 구매조사기능의 확립

  3) 구매기술자의 양성, Level-Up

  -. 체계적인 구매조사의 범위

  1) 구매업무의 계확과 구매방시그이 개발, 개선

  2) 기술연락

  3) 신제품 생산관리 혹은 관련업무

  4) 가치분석

  5) 구매시장 조사

  -. 품질 UP. Cost Down 동시 실현책 : 작업공정, 작업방법의 개선, 제경비의 절약, NC공작기계

  -. 자재관리의 개념과 현대화

  1) Profit Center화

  (1) Cost Down

  (2) 구매력 증대

  (3) 재고관리 강화

  (4) 저장 유지비 감소

  (5) 각 기능간 업무 소통의 개선

  2) 기업 이익의 원천

  3) 현금 개념화

  4) 기업경영 주기능의 하나

  -. 구매자재관리의 합리화

  1) 업무효율에 대한 관리

  (1) 원재료 회전률 - 출고량 / 평균재고량

  (2) 원재료 재고기간

  (3) 재고자산의 조성비율

  (4) 재고자산의 재고비율

  -. 생산에 의한 관리

  1) 구매 부문

  (1) 1인당 발주건수

  (2) 1인당 발주금액

  (3) 건당 발주금액

  (4) 불량통계(총 건수, 불량률, 내용별)

  2) 창고부문

  (1) 1인당 입고건수

  (2) 1인당 출고건수

  (3) 1인당 재고품목수

  (4) 재고감손률

  -. 원가에 의한 관리

  1) 구입비 : 자재의 조달에서 발생하는 비용

  2) 재고관리비 : 창고관리비, 금리

  3) 원가절감비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