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생산성의 저해요인

- 제품 설계에 의한 Loss: 제품설계의 미숙

- 제조방식에 의한 Loss: 방법 설계의 미숙

- 관리 Loss: 작업계획, 통제 불비에 의한 지연, 대기의 발생

- 제조 수행에 의한 Loss(퍼포먼스로스): 작업능력/ 노력 부족으로 인한 실수, 페이스 다운. 미묘한 Idle 발생

(2) 생산성 관리와 표준시간

- 생산성의 측정과 관리: ‘총합노동 효율이라는 지표 이용

(3) 생산성의 측정과 표준시간

① 가동률의 측정

- 가동률=실동공수/취업공수=(취업공수-가동Loss)/취업공수

② 작업능률의 측정

- 작업능률=표준생산량공수/실동공수=(표준시가-양품수)/(취업공수-가동Loss)

- 퍼포먼스 로스: 실적시간과 표준시간과의 비교에 의해서만 측정 가능

(4) 문제의 창출과 문제 해결의 수준

① 문제의 3가지 영역

- 일상의 문제(복원적인 문제): 표준유지를 우해 배제해야 할 요인

- 창출할 문제(혁신적인 문제): 표준수준 향상을 우해 배제해야 할 요인

→ 기회를 개발할 때 창출하는 문제

- 찾는 문제: 문제의 본질을 확실히 하고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

② 문제 해결의 수순(432p)

) 협력회사 생산성 향상 지도

- 문제해결 Flow에 의거 협력회사 실태 분석 후 Loss를 찾아 이를 없애기 위한 개 선활동 진행

) 가동 Loss 분석기법

- 워크 샘플링 작업일지

→ 가동분석 자료분석 설비가동일지

관측분석 연속가동분석

워크샘플링

4. 지도요원의 역할 및 육성

1) 지도요원의 역할 및 육성

(1) 지도요원의 역할

- 지도 협력회사: 체질 강화의 직접적 효과

모기업: 안정된 물품 공급받을 수 있는 기반 구축- 간접적 효과

∴ 지도= 협력회사-모기업 간 공존공영 실천

(2) 지도요원의 자세

(3) 지도요원 육성방향

) 지도요원 육성의 목적

- 협력회사를 체질 강한 회사로 육성하여 안정된 부품을 공급받도록 기반 마련하는 것

) 지도요원 육성 절차

① 지도요원의 선정 고려사항

- 전문지식, 연령 등 고려

② 지도요원의 육성

- 1단계: 지도요원의 기본자세 교육훈련

→ 경력 3년 이상 사원 선정

- 2단계: 협력회사 진단 및 제1단계 지도방법 훈련

협력회사 진단을 위한 IE의 분석 방법, 개선안을 작성, 적용시키기 위한 사항 훈련

5S 추진 방법, 작업분석, Lay-Out 분석 등 현장중심의 개선활동에 필요한 절 차, 기법 훈련

- 3단계: 전문분야별 전문지식 훈련

→ 고유기술, 관리기술 별 전문화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장기적 으로 지도요원 육성

(4) 지도요원의 평가 및 자격제도

) 지도요원의 평가

- 초기단계 양적인 평가, 전문분야별지도 질적인 평가

) 지도요원의 동기부여

) 지도요원의 자격제도

2) 향후 추진 방향

(1) 협력회사 관리방향

- 외주와 구매를 분리하여 생각

- 외주: 초기 환경조성지도에서부터 전반적 관리, 기술, 품질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지도 업무 수행

- 구매: 필요한 전문분야에 대해 지도, 경쟁에 의한 우수회사 부품 구입

(2) 협력회사의 구조 개선

- 현재 평행선 관리를 피라미드 식 또는 별도의 구조로 관리

(3) 협력사 평가 결과의 철저한 적용

- 평가는 적용의 여부가 평가 자체보다 중요

(4) 지도전개 방향

) 지도 대상별 전개 방법 명확화

- 육성방침에 따른 지도대상 설정

- 외주형태는 지도요원이 직접 현장에 투입

) 지도전개방향

- 지도효과의 배가를 위해 전문분야별 기술지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개선 연구회의 운영

) 업종 별 우수 협력회사 선정, 관리

) 협력회사 자주 품질보증체제 구축

반응형
반응형

(1) 5S의 개념

) 5S의 의미

- 정리: 필요한 것과 필요 없는 것 명확히 구분, 필요 없는 것 버림

- 정돈: 필요한 것을 쓰기 좋게 정돈, 누구든 알 수 있게 명시

- 청소

- 청결: 정리, 정돈, 청소의 3S 유지

- 습관화: 4개를 습관화

) 5S의 기본사고

- 생산활동의 기초

- Loss와 불량 사전 방지

- 전원참가, 실천 필수

- 넓은 활동공간 창출

- 품질 향상, 불량제로 달성

- 원가절감, 납기준수 가능

- 안전사고 방지, 고장 감소

- 인간관계 원만, 근무의욕 향상

- ‘작은 개선N = 큰 개선 성과

① 협력회사 NEEDS 조사: 협력사에서 요구하는 분야에 대해 우선 지도

② 현황조사: 수준을 냉철히 파악해 지도업무 기본자료로 활용

③ 개선팀 구성: 협력사 자체 개선팀 구성, 지도요원과 함께 개선 추진

100명 이내 업체에서는 사장을 팀장으로 추진

④ 개선활동 분위기 조성

(2) 5S의 기본목표

) 생산 Loss5S

- 생산 Loss: 사람의 Loss, 설비의 Loss, 자재의 Loss

) Loss의 방치와 5S

- 5S: 건물, 설비, 자재, 제품, 운반구, 사람, 작업 방법 등에 걸쳐 방치되고 있는 낭비를 제거하는 것

) 5S의 기본 목표

- 목표1] 효율높은 직장 만들기

① 단순한 깨끗이 아니라 낭비를 없애 효율을 높이는 것

② 현장 전체의 표시: 장소, 물건, 수량

③ 작업 표시

④ 사람이 일하는 방법

⑤ 설비의 표시

⑥ 현장 전체 분위기

- 목표2] 잠재하고 있는 Loss를 눈에 보이도록 한다

(3) 5S활동 항목별 개념

- 정리

- 정돈: 물품의 수량, 장소 정해놓고 표시

- 청결: 문제점을 한눈에 발견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

- 습관화: 회사규율, 규칙, 작업방법을 정해진 대로 준수하는 게 몸에 익어 무의식적으 로 지키는 것. 정리, 정돈, 청소, 청결의 습관화

(4) 5S의 전개방법

) 단계별 추진 내용

- 1단계: 준비단계

- 2단계: 정리단계

- 3단계: 정돈단계

- 4단계: 청소, 청결의 유지

- 5단계: 습관화

) 5S 추진 상 주요 포인트

① 단계별 추진 요령- 4.5 단계 병행하여 추진

② 단계별 추진상태의 진단 실시- 중점실시사항 구체적으로 정해 전개

③ 전원참가

④ 중점지도의 실시- 진행 늦은 그룹 중점적으로 추진팀에서 지도

⑤ 모델그룹 지정, 추진- 추진 시범 모델그룹 만들어 중점지도

⑥ 표창, 제안제도 등 실시

(5) 습관화의 방법

(6) 5S 관련 교육과 훈련의 실시

- 교육 의식의 전환 습관화

- 훈련 행동의 변화 습관화

) 불량 부문의 사진촬영 및 게시 방법

- 정점 촬영법: 개선 대상 부문을 동일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촬영, 개선 진척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제시, 관리

(7) 5S 단계별 체크 포인트

5) 생산성 향상의 추진방법

- 생산성: 산출량에 대한 투입량의 비

- 생산량을 자본으로 나누면 자본 생산성, 설비로 나누면 설비생산성, 노동으로 나누면 노동생산성

- 생산성=생산량/생산요소의투입량 노동생산성=생산량/노동량(시간)

- 부가가치 생산성: 생산량 보다는 창출한 가치가 어떤 것인가에 주목 손익활동에 직접 연결되어 판단에 편리

부가가치 생산성=부가가치액/노동량(시간)

반응형
반응형

2, 협력회사 지도, 육성

1. 협력회사 지도 조직

1) 협력회사 형태 별 분류 및 관리 조직

(1) 협력회사 형태 별 분류

) Ass'y생산업체(임가공업체)

- 성숙기 또는 쇠퇴기의 제품에 대한 완제품(OEM)/ 반제품 외주화

) 부품생산업체

(2) 외주관리의 조직 형태

- 외주관리조직, 외주지도조직

2) 협력회사 지도부문의 내부조직

(1) 협력회사의 지역별 구분

- 장점: 고정된 지도요원 배치, 외주업체 순회 용이

- 단점: 협력업체 업종 무시, 담당자의 폭넓은 지식 필요, 1차지도(일반적 환경지도) 단 계에서는 좋으나 전문분야별 지도 시 부족

(2) 협력회사의 업종별 구분

- 해당 업종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지도요원으로 구성

- 장점: 지도성과 큼, 지도요원 자질향상 측면에서 효과적

- 단점: 지역이 고려되지 않아 지도요원 출퇴근 문제 대두

(3) 지도요원의 전문기술 형태별 구분

- 협력회사 지도요원의 구성 형태가 가장 중요

- 상주지도 보다 순회지도가 유효

2. 협력회사의 생산형태별 분류 및 지도육성 방향

1) 협력회사의 생산형태별 분류 및 육성방향

(1) 생산 형태별 분류

- 완성품 전문업체: 모기업 설계사양에 근거, 완성된 제품 생산

- 부품가공업체(사양/ 준사양품): 조립, A/S품을 가공 조립하여 공급. 모기업 설계사양 에 바탕

- 전기부품업체(비사양품): 자공장 설계/ 사양에 의해 부품, 가공조립품을 공급

- 특수기술 전문업체

- 범용품 생산업체: 일반용품, 시장상품 생산

(2) 협력회사의 육성방향(재편성과 집약화)

- 협력회사 군을 재검토해 제1단계, 2단계로 분류

- 1단계: 양산화와 관리수준 향상을 꾀하여 전문화, 자립화 시키는 노력

- 2단계: 집약을 꾀하여 기술특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편성

- ASS'Y화 추진: 모기업측면- 품질불량, Loss 발생요인 감소로 원가절감

협력회사- 자립화의 기틀 마련

2) 관리방법 상의 분류 및 지도육성

(1) 관리방법 상의 분류

) 중점지도 대상업체

- 모기업 수준으로 레벨 업 시킬 업체

) 일반관리대상업체

- 일반적 관리기법을 통한 지도

→ 사양품/ 준사양품 생산업체 중 중점지도 대상에서 제외된 업체

) 기타 관리 대상 업체

- 순수 자체 능력으로 개선 추진이 가능한 대기업/ 원자재 업체, 특수전문업체 대상

- 인센티브, 페널티제를 강력 적용해 자체 개선을 추진토록 유도

(2) 지도육성 방향

) 기본 방향

- 중점지도 대상업체: 현장 중심의 집중지도 육성

- 일반관리 대상업체: 순회/ 간접 지도

- 기타관리 대상업체: 페널티제 적용

3) 협력회사 세부 지도 육성 방법

(1) Worst업체 관리방법

- 중점관리

(2) Worst 업체의 선정

- 공정품질/ 수입검사 품질불량업체 각 10개사 선정 전사측면에서 취합해 각 5개업 체 선정

(3) Worst업체 관리

- 개선대책 작성, 제출 지시, 대표자가 방문해 재발방지대책 설명토록 지시, 대책에 따 라 개선되었는지 실사를 통해 확인, 지도

(4) QI 목표관리

- QI(Quality Index): 협력회사 납입 부품의 품질 평가치

- QI실적= 납입업체 품질 실적/모기업 제시요구목표

- 추진방법

QI목표 설정: 모기업 연간 품질목표 설정 협력사별 QI목표설정 협력사 동의 얻어 확정

QI목표관리: QI 대비 실적을 월단위로 관리해 협력사에 실적 통보, 미달업체 중점지도

(5) 협력회사 출하검사 성적서 관리

- Lot에 출하검사 성적서 첨부해 출하품질 관리, 협력사 자체 품질보증 체제 구축 유도를 위해 실시

) 성적서 제출 및 관리

- 발주 시 성적서 첨부의무화 시킴(구매부서)

- 성적서 첨부해 검사 의뢰(자재관리부서)

(6) 현지검사제 및 인정검사제

- 현지검사제: 모기업 검사원이 협력사에 상주하며 검사 실시 후 모기업생산라인에 직 접 투입

- 인정검사제: 현지검사제 실시 후 자주 품질보증체제가 구축되면 현지검사원 역할을 협력사 인정검사원이 수행

- 추진 방향: 수입검사 중심 현장검사 중심 인정검사원에 의한 자체 검사

3. 협력회사 지도 방법

1) 협력회사 지도 개요

(1) 협력회사 지도 목적

- 협력사를 업종별 경쟁력 Top-Level 기업으로 육성, 확보

-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 향상

- 체질 강화에 의한 계속적 최적 Cost, 품질, 납기 확보를 유도

(2) 기본전략

- 동기생산체제의 기반 구축

- 생산라인을 동기화시켜 JIT 납입체제를 확립하고 자재 리드타임 최소화

- 1단계: 동기생산체제 기반 구축

2단계: 생산기술능력 고도화

3단계: 동기생산체제 확립

2) 협력회사 지도계획 수립

(1) 장 단기 협력사 지도방침 설정

(2) 연간 협력사 지도계획 수립

- 단기 방침에 의거, 당해년에 중점지도 할 대상업체 선정하여 기간 별 지도계획 수립

(3) 업체별 지도방향 설정

- 협력사를 방문해 개략적 현황 파악 후 현 수준을 측정하여 업체별 지도방향 결정

(4) 협력사 지원계획 수립

- 협력사 지도육성 방법

① 지도요원이 협력사에 직접 투입되어 지도

② 일반적 지도육성

3) 협력사 지도 절차

4) 5S활동 추진 방법 및 사례

반응형
반응형

4. 협력업체 관리 실무

1. 협력업체 관리 일반

1. 협력업체의 개념

- 협력회사: 생산활동에 있어 소요되는 자재, 용역, 설비 등을 제공하는 기업 총칭

→ 하청업체라는 종래 개념을 떠나서 상호협력단계의 유지를 바라는 현실적 필요에서 협력회사’, ‘협력업체

→ 모기업 생산공정의 일부로서 협력회사의 효율적 관리/ 활용이 모기업 경영의 필수불 가결한 요소

2. 협력회사의 정의 및 관리

1) 협력회사의 정의

(1) 광의의 정의

- 기업에 소요되는 물적자원 및 용역,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업

(2) 협의의 정의

- 부품공급기업

2) 협력회사 관리

(1) 협력회사 관리의 의미

- 경쟁 우위의 물적자원 확보를 위해 협력회사의 경쟁력 향상과 신규 거래선을 확보하 는 활동

(2) 협력회사 관리의 목적

- 상호 합리적 분업체제를 확립해 공동의 안정적 이윤 확보

(3) 협력회사의 중요성

- 부품의 경쟁력이 제품 경쟁력 결정의 근원이다

- 원가측면: 제품 구성의 60~70% 점유

- 품질측면: 제품 품질은 부품품질이 좌우

- 납기측면: 제품 개발 및 생산 L/T결정

- 기술측면: 핵심 부품의 제품 경쟁력 결정

3. 협력회사 선정 및 등록

- 협력회사 관리의 최초단계

1) 우량 협력회사의 조건

(1) 기업체질이 강할 것

(2) 품질향상/ 원가절감 의욕을 갖고 있을 것

(3) 경영자에게 기업집단의 일원이라는 의식 있을 것

2) 협력회사의 선정

(1) 기본 방향

- 신규 선정의 경우

① 모기업 원가절감에 기여 가능한 업체 발굴

② 기존 업체 중 능력/ 경쟁력이 미약한 업체와 교체 유도

③ 품질/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업체와 거래 유도

(2) 선정기준

3) 협력회사의 등록

(1) 등록 구분

① 정규등록: 영구거래 목적, 등록 취소사유 발생 시 취소

② 일시등록: 긴급한 필요에 따라 일시적 거래

③ 특정등록: 구입부품 특수성에 의거 대외 공인기관의 품질 승인을 근거로 제한적 제 품, 구입부품에 한하여 거래

(2) 등록절차

- 신규업체 검토 등록의뢰서 작성 접수/검토 업체 실사 실시 종합심사

등록확정(업체코드부여) 업체코드 통보

<사례연구> 376~390p

4. 협력회사 평가 및 결과의 내용

1) 평가 목적

① 협력회사 적부 판단

② 협력회사 지도육성을 위한 포인트 파악

③ 협력회사를 자극해 개선의욕 고취

④ 더욱 우수한 협력회사 발견

⑤ 선별해서 계열화에 편입

2) 평가내용

- 기본 평가항목: 품질, 가격, 납기/ 안정거래를 위해 경영현황 추가

→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 부여, 평가를 위한 세부항목 설정

→ 항목이 너무 세분화되고 복잡하면 형식에 그칠 우려

(1) 품질평가

(2) 가격평가

(3) 납기평가

(4) 경영현황 평가

- 협력도, 경영자의 자세

(5) 기타 평가항목

① 제조공정능력

② 설비/ 계측기 보유현황

③ 개선의지

④ 기술개발 능력

3) 평가방법

4) 결과의 활용

5. 협력회사 협의회 제도

1) 협력회사 협의회 제도의 개요

(1) 협의회 제도의 정의

- / 수급기업이 계열화 단계를 유지하며, 효과 극대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의 하나로 서의 모기업체 단위별 수급기업체 협의회

(2) 계열화의 정의

- 수주기업 확보를 위해 자금, 설비, 인적연결, 기술, 자재의 특별한 원조를 제공하며, 이를 자사 경영계획 속에 편입하여 수주를 전속화 하는 것

→ 계열화 된 중소기업은 수주 안정성은 확보하나 종속성이 강해짐

(3) 계열화의 필요성

) 모기업 측면

- 수급기업의 전문 기술, 특수설비 이용

- 대부분의 소요량이 적은 부품은 자체조달 보다 외주가 품질, 경제적 측면에서 합리적

- 경기 위축 시 생산설비투자 분산으로 위험부담 경감

- 수급기업체를 전문적 기술집약 업체로 육성

) 수급기업 측면

- 판매관련 업무량 감소 전문적 기술분야에 더욱 매진

- 판매관련 간접경비 절감 원가절감

- 상호보완단계 확립 사업영역 확대, 보호

- 판매수주를 위한 부품기업 간 경쟁 방지

- 수급기업 전문화 안정가동 기술개발 촉진 품질 향상

2) 협의회 제도 운영현황

(1) 운영형태

- 일본: 계열조직 중심

- 구미: 공개시장

- 미국: 외관적으로 공개시장, 일본-구미 식 중간 형태

- 한국: 외관적으로 수직계열화, 내용적으로 공개시장 형태

(2) 운영내용

- 원자재 공동구입, 협업단지 설치 등 공동사업 추진, 교육 연수/현장지도, 기술정보 등을 제공하는 사업 등으로 구성

- 상호 신뢰, 협조 분위기 조성, 체계적 지도, 지원에 따른 협력회사의 수준 향상 원가절감

6. 협력회사 제안제도

1) 제안제도의 개요

(1) 협력회사 제안제도의 시행목적

- 공존공영의 기틀 조성

(2) 제안활동의 범위

- 설계/소재변경

- 공정개선, 품질향상

- 부품 국산화

- 업무/ 제도 개선

- 기타 원가절감에 관한 사항

(3) 제안 업무 Flow(398p)

(4) 활성화 방안(제안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방법)

) 효과금액 배분 및 지급 방법

- 모기업 협력회사 간 40:60으로 배분

- 6개월 단위로 자재대금에 포함시켜 일괄지급

※ 외주관리- 자사 설계사양에 의한 부품제작, 가공 등을 협력사에 위탁해 가격, 납 기 등을 맞추기 위한 모든 수단의 체계

→ 구매: 물품의 조달, 외주: 용역, 즉 능력의 조달

→ 외주란: 자사 작업의 일부가 외부에 나가 있는 것

구매, 공정관리 두 가지 측면 내제

반응형
반응형

5. 물류 합리화 및 전략

1. 물류 표준화

- 표준화: 합리적 단순화, 통일화를 위한 규칙을 만들어 그것을 활용하기로 한 상호 간 사 회적 약속

1) 물류 표준화의 정의

- 운송, 하역, 보관 등 화물 유통 각 단계에서 기계화, 자동화를 촉진하고, 일관수송이 가 능하도록 팔레트, 적재함 등 장비와 외부 포장의 규격, 구조를 통일하고 단순화 하는 것

2) 물류 표준화의 필요성

- 물동량 증대로 인해 물류의 일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3) 물류 표준화의 전략

- 소프트웨어 부문: 포장단위 표준화, 팔레트/ 컨테이너 규격화 전과정을 유닛로드시스 템으로 구축

- 하드웨어 부문: 수송장비, 보관시설, 하역기계 규격화 물류의 일관된 시스템 구축

(1) 소프트웨어 부문의 표준화

① 물류 용어 통일

② 거래 단위 표준화

③ 전표 표준화

④ 표준 코드 활용

⑤ 포장 치수 표준화

(2) 하드웨어 부문의 표준화

① 팔레트 표준화

② 내수용 컨테이너 보급

③ 지게차 표준화

④ 트럭 적재함 표준화

⑤ 보관시설 표준화

⑥ 기타 물류기기 표준화

4) 물류표준화의 푸진 방안

(1) 유닛로드 시스템의 구축

(2) 물류모듈 시스템의 구축

- 물류모듈: 하역, 운반기기, 트럭, 철도 등 수송을 위한 장비, 보관용기기 등의 치수, 사양에 관한 기준척도/ 대칭계열

포장치수, Unit Load 치수, 컨테이너, 적재함 규격, 하역기기, 시설 등의 표준화 필요

(3) 물류 거점의 표준화

① 물류 거점의 유닛로드화

- 물류 시스템 물류 경로(Link)와 물류거점(Node)가 연계되어 성립

② 물류거점 시설의 표준화

(4) 물류 시설과 장비의 정합성

- 1100mm 1100mm를 팔레트의 기본 치수로 설정, 이의 배수와 분할 치수의 조합 인 물류모듈 치수들이 활용되도록 물류시설, 장비 규격에 적용 정합화

2. 물류 공동화

1) 물류 공동화의 개념

- 동일지역, 업종 중심, 비용절감을 위해 2인 이상 공동수행하는 물류

2) 물류 공동화의 목적

- 대량 보관, 수송, 처리 단위당 물류 코스트 대폭 절감

∴ 물류 공동화 대량화에 가장 적합

3) 물류 공동화의 장점

① 물류비 절감

② 안정 공급

③ 서비스 수준(품질)의 유지, 향상

4) 물류 공동화의 조건

- 자사-사외 물류시스템의 접점을 찾아야 함

- 자사 시스템을 외부에 어느 정도 개방하느냐에 따라 추진 찬스의 다소 결정

5) 물류 시스템의 개방

6) 물류 공동화의 성공 조건

- 욕구, 합의, 시기, 환경조건, 행정지원

7) 물류 공동화의 형태

(1) 주체자 별 형태

- 하주 주체와 물류 전업자 주체

(2) 공동화 대상의 기능적 형태

① 수배송의 공동화

② 보관 공동화- 보관만

③ 유통 가공의 공동화

④ 정보처리의 공동화

- VAN회사, 차량화불의 알선정보 시스템 회사

(3) 발하주, 착하주 특성에 따른 공동화 형태

① 업종 별 특성에 따른 분류

② 화물 특성에 따른 분류

③ 지역 특성에 따른 분류

8) 물류 공동화 추진 상의 문제점

(1) 당사자 간 이해 불일치

(2) 기밀유지 문제

(3) 운임요금 문제

(4) 리더, 조정자 확보의 문제

(5) 물류업자 문제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밝은바탕입니다!

최근에 대량의 IT장비들을 매각하기 위해 시장조사를 좀 진행했었는데요.

예전에 소규모로 진행할 때에는 그냥 네이버에서 검색한 자산 매각 업체들을 검색해서

일일이 전화한 다음에 스펙 사항을 전달하고 견적을 요청해서 하드 디스크 폐기 금액과 장비 매각 금액을 상계시켜서 견적 금액을 받았답니다.

그런데 매번 할 때마다 금액이 천차만별이더라구요 ㅠ

어떤 곳은 폐기 금액이랑 매각 금액이 서로 상계되서 0원으로 처리해주겠다는 곳도 있고.
(폐기와 매각을 무상으로 해드립니다~^ㅡ^* 이딴소릴..)

어떤 곳은 막 50만원에서 200만원까지 부르는 곳도 있더라구요.

그야말로 시장의 정보 자체가 비대칭이다보니까..

물론 어떤 회사에서는 더 큰 가치로 보여질 수도 있고 (해당 사업에 비즈니스 영역에서)

어떤 회사에서는 그냥 골동품으로 밖에 보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그러던 중에 이러한 곳으로 비즈니스 사업 영역을 확장해나간 회사들이 있었으니!

일단 제가 찾은 곳은 이트너스와 SK네트웍스 서비스라는 두 업체를 찾았답니다.


이 두 회사 모두 아래와 같은 비즈니스 안을 가지고 있었어요.


1) 매각 의뢰

2) 컨설턴트 파견 (실사 및 스펙 확인)

3) 1차 폐기 및 매각가 제안

4) (제안 거부. 입찰 요청시) 각 회사들이 가지고 있는 회원사 Pool로 공개입찰 진행

5) 공개입찰 가격이 더 높으면 그 금액에 수임료 빼고 고객사에 제시 or 1차 제안가가 더 좋으면 이 제안가 대로 진행

6) 입찰 진행해준 회사와 대금거래



두 회사 모두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제 4차 산업혁명으로 IT장비나 자산은 기업의 필수적인 소모품이 되었는데요!

몇 년 주기로 감가 상각 이후에 인원 수 만큼이나 쏟아져나오는 장비들!

이러한 입찰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기업에 의뢰를 해보는건 어떨까요?

순수하게 시장조사하다가 공유해드립니당 ㅋㅋ

반응형
반응형

(2) 수송, 운반, 하역 Cost의 산출 및 경제성 계산

- 하역비: 물품을 동일시설 내에서 이동시키는데 쓰인 비용

- 하역비 회계처리법

→ 일괄계상법: 포장하역비수송하역비보관하역비를 일괄하여 포장비수송비보관비의 독립항목으로 계상

분산계상법: 포장하역비는 포장비에, 수송하역비는 수송비에 각각 분산계상하여 독립비용으로 처리

※ 일괄계상법이 합리적

 

<경제성 계산식>

Z= (S+T+U-E)X Y=I(a+b+c+1/h)

a+b+c+1/h V=(S+T+U-E)x-Y

Z=투자한도액, S=직접노무비 절약액, T=간접비 절약액, U=생산증가이익

E=설비가동비, x=설비의 연간 이용율, a=자본이자율, b=보험료, 세금의 비율

c=보전, 수선비의 비율, h=내용년수(1/h=감가상각비율)

Y=연간 설비 유지비, I=설비취급(투자)가액, V=연간 이익

→ 투자한도액(Z): 기계화에 의해 얻어진 여러 이익을 설비유지 비율로 나눈 것

Z=I 투자이익=0, I > Z 투자보류, I Z 투자

3. 오더피킹 시스템의 운영

1) 오더피킹 시스템

(1) Order Picking

- 고객의 주문품을 재고에서 선별해 출고, 수주활동의 일부

(2) Active Storage

- 유통창고의 기능: 입하-저장-Picking-검사-포장-출하

Active Storage

- 시간/ 인력이 많이 드는 Picking에 중점을 두고 자동화 성력화를 추구하는 Picking 창고

Inactive Storage(Reserve Storage)

- Active Storage에 제품 보급/ 예비저장 하는 창고

2) 오더 픽킹 시스템의 방법

(1) 사람이 물건을 취하는 방법

- Picking 시간: ① 물건 보관위치 찾는 시간 ② 물건 찾으러 오가는 시간 ③ 물건 꺼 내는 시간

(2) 물건을 사람있는 곳으로 갖고 오는 방법

- 사람의 걷는 시간 단축

- Picking 시간: ① 사람이 물건을 취하는 시간 ② 물건이 자동으로 사람 앞으로 오는 시간

→ 카루셀

(3) 11건의 방법

- Picker 1인이 하나의 주문전표로 요구되는 물건을 Picking

(4) 릴레이 방법(Zone Picking)

- 여러 명이 자신의 품목 선반 범위를 정해 각자에게 할당된 품목만 Picking

(5) Single Order Picking

- 1건의 주문전표마다 Picking

(6) Batch Order Picking

- 여러 전표를 모아 한번에 Picking

(7) Sorting 방법

- Batch Picking 한 물건을 콘베어를 이용해 고객별로 분류

3) Order Picking SystemPattern

(1) 출고 Pattern

- 저장: Pallet(P) 단위, Case(C) 단위, Picking-Pallet 단위 또는 Case를 열러 속의 단 품(B,C) 단위나 이들의 조합 357p

 

(2) IQ(출고종류 수와 출고수량 비)

- 이 비를 Ⅰ,,,Ⅳ의 4개 그룹으로 패턴화

→ 다품종 소량 출고냐 소품종 대량 출고냐의 패턴 결정

(3) 출고 패턴과 IQ

- 7종류 출고패턴(357p)IQ비를 덧붙여 Picking Pattern 내용을 확실히 결정

4) 자동 픽킹 시스템

- 팔레트 단위의 자동피킹 시스템

- 비 경제적 고투자 설비 때문에 다품종 소량의 자동피킹이 문제

∴ 완전 자동보다 유연한 인간과 기계의 조화에 의한 자동화가 바람직

- 자동픽킹 계획 시 고려사항

① 취급 수량 다()

② 품종 수 다

③ 각 품종의 재고량 다

④ 주문 건수 다

반응형
반응형

2) 포장비의 구성비용

(1) 물류비 빙산설의 의미

- 손익계산서 상 독립항목으로 계산된 물류비는 빙산의 일각

→ 압도적으로 많은 부분은 지불 운임이나 지불 보관료 이외의 과목에 혼입됨

→ 포장재료비 이외의 포장노무비부문비사무비 등이 타과목에 혼입됨

∴ 물류 원가절감을 위해서 과목별 포장비, 물류비를 노출관리하는 것이 선결과제

(2) 포장비 과목

- 337p

3) 포장비 곡선과 적정포장

(1) 과잉포장비 > 적정범위 포장 > 과소포장비

- 포장비 절감의 목표: 적정 포장비 정점을 얻는 것

→ 정확한 정점을 구해 관리하기는 어려우므로 정점에서 최근 점을 얻음으로써 만족

→ 과잉도, 과소도 아닌 점을 구하는 것

※ 정점을 구하는(적정포장비의 도출) 비교요소: 포장비와 손실비, 포장비와 판매이익

- 포장비와 판매이익과의 관계: 포장비가 정점이하로 감소하면 판매이익 감소폭이 크 고, 정점 이상으로 증가하면 판매이익 증가폭이 완만

- 포장비와 손실비와의 관계: 포장비를 정점 이하로 감소시키면 손실비 증가폭이 크고,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손실비 증가폭이 완만

※ 공업포장비는 저렴할 수록 좋으며, 제품 안전이 보장되는 한 최소포장비가 적정포 장비이다

4) 포장비 절감기법

(1) 가치분석에 의한 포장비 절감

① 포장 재료비의 가치분석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포장재료의 가치와 가격을 분석하여 성능 변화 없이 원가절 감을 기하는 전략의 개발이 중요

② 총 포장비 분석과 재료비 절감

- 총 포장비의 구성요소를 분석

- 포장비 구성 중 재료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72%)을 알고, 그 분야 원가절감 에 중점

③ 포장 재료비 개선 분석

- 가치분석에 있어 동일한 기능을 하는 재료, 용기를 열거, 싼 용기로 대체할 것을 검토

→ 포장비의 개선 분석

(2) 기계화에 의한 포장비 절감

① 고임금 대응책과 포장작업 자동화

- 포장비 구성 중 노무비가 재료비 다음으로 높은 비중 성력화, 자동화 추진

→ 공업포장기계(수송포장용 기계)의 기계/ 자동화 Close up 추세

② 기계화에 의한 포장비 절감의 예 342p

(3) 규격화에 의한 포장비 절감

① 전제조건인 포장 규격화

- 각 기업의 포장규격 통일 산업계 전체 포장 규격화(산업간의 포장 규격화)

- 포장 Module 치수의 활용을 적극화 포장비 절감의 관건

② 철도/ 자동차 운송업계의 표준하조 포장화물제도의 실시

- 안전운송, 파손 클레임 분쟁 예방, 증적에 의한 체화 감소, 신속화, 합리화

(4) 예산 통제에 의한 포장비의 절감

① 필요성

- 설정한 개선계획을 실시하는 것이 곧 예산통제

→ 먼저 포장비 예산을 편성하고, 예산과 실적의 차이 분석

② 포장비 예산의 편성 방법

) 직접포장 재료비의 예산 편성

) 직접 노무비의 예산 편성

) 간접 포장비의 예산 편성

-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외의 모든 포장비가 간접 포장비

③ 포장비의 예산과 실적의 차이 분석

) 직접포장 재료비의 차이분석: ) 가격차이=실제수량(표준가격-실제가격)

) 수량차이=표준가격(표준수량-실제수량)

) 직접포장노무비 차이분석: ) 임률차이=실제시간(표준임률-실제시간)
) 능률차이=표준임률
(표준시간-실제시간)

4. 수송, 운반, 하영 시스템의 혁신

1. 수송, 운반, 하역기계의 종류와 선택

1) 운반, 하역기계의 종류

① 콘베어류 ② 크레인/ 호이스트류 ③ 트럭/ 지게차류 ④ 보조장비류

2) 운반 하역기계의 선택 기준

- 화물과 그 흐름에 대한 제반조건의 분석 필요

(1) 취급의 형태를 결정하는 6조건(348p)

(2) 운반, 하역 조건에 의한 선택 기준(349p)

2. 수송, 운반, 하역비 절감 기법

1) 수송, 운반, 하역의 성력화 방안

- 운반 하역 유통의 전 부문에 산재, 유통속도, 화물의 파손/ 열화의 원인인 경우가 많음

(1) 운반, 하역의 합리화를 위한 6원칙

① 운반 활성의 원칙

- 항상 운반하기 쉽고 움직이기 쉬운 상태로 배치

② 중력의 이용

- 화물의 중량은 이동의 방해요인

→ 이동거리 최소화, 취급횟수 감소화, 중력 저항의 최소화, 중력의 이용

③ 하역기계의 활용

- 합리화의 목표 작업의 신속함, 정확성, 용이성 이를 위해 기계를 이용

④ 흐름의 검토

- 화물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도록 한다

- , 속도의 변화가 없도록 평준화

⑤ 운반의 효율화

- 불필요한 것 운반X

- 과대포장 방지

- 간단한 포장으로 컨테이너에 수용

- 유니트로드화 시켜 일괄취급

⑥ 유니트로드화

- 유닛로드시스템: 화물을 Pallet에 싫어 컨테이너에 수용, 포크리프터 등 하역기계로 서 취급하여 보관, 운반 인력을 절감시켜 합리화 추구, 물류 합 리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

반응형
반응형

3. 포장 시스템의 혁신

1. 포장의 개념

1) 포장의 정의

- 내용물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수송, 하역, 보관, 사용 상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물 품 외부에 적합한 재료/ 용기 등으로 포장하는 방법 또는 포장한 상태의 총칭

- 한국 공업규격 KS A 1001- 위의 정의와 비슷

(1) 단위포장(낱포장)

- 개장, 상품과 단위의 물품 개개의 포장, 상품가치 향상, 보호를 위함. 소비단가 상업포장

(2) 내부포장(속포장)

- 내장, 포장화물 내부 포장, 수분, 습기, 광열, 충격 등 고려

(3) 외부포장(겉포장)

- 외포, 포장화물 외부포장, 화물표시를 하는 포장, 수송단위 포장인 공업포장

2) 포장의 상징적 표현들

- 330p

3) 포장의 기능

(1) 시대에 따라 변하는 포장의 기능

- 포장의 본질적 기능과 파생적 기능

① 보호성

② 수송, 보관, 하역 편의성

③ 판매 촉진성

(2) 포장 기능 분석

① 보호기능

- 상품의 보호성: 상품 본래 품질 보존과 외력으로부터의 품질 보호 두가지 의미

② 수송, 보관, 하역, 편의 기능

- 중량이 무거운 목상자, 목통 근대포장으로 부적당

- 소송, 보관, 하역의 편의 기능상 강조점- 경중량, 소체적, 소개수

③ 판매 촉진 기능

- 제품계획과 판매촉진 두 문제가 포장과 직접 관계

- 마케팅에 있어 포장 디자인은 유표상품을 만들어 내며, 포장은 상품의 일부를 구성 하며 진열에서 소비자와 직접 접하므로 잘 설계된 포장은 그 자체가 광고, PR이며 유효수요 증대를 가져 옴

4) 포장의 분류

(1) 포장의 기능별 분류

① 제1분류: 외부포장(겉포장) 주로 공업포장

내부포장(속포장) 주로 상업포장

단위포장(낱포장)

② 제2분류: 소비단가 포장(상업포장)

수송단가 포장(공업포장)

(2) 적정포장

① 적정포장 ② 과소포장 ③ 과잉포장

(3) 포장 재료별 분류

① 지류포장: 골판지 상자, 합판지 상자, 판지 상자, 크라프트 지대, 합판지 드럼, 판관

② 금속류포장: 금속 드럼판, 금속 튜브, 드럼판

③ 플라스틱 상자: 비니루대

④ 섬유류 포장: 마대, 면대

⑤ 목재포장: 목상자, , 대바구니

⑥ 유리제 포장: 유리병

⑦ 완충재

(4) 포장의 형태별 분류

① 상자 ② 통 ③ 대(자루) ④ 병 ⑤ 튜브 ⑥ 혼합

(5) 유통작업 공정별 분류

① 제1차 포장, 개장

② 제2차 포장, 중간포장

③ 제3차 포장, 외장(수송포장)

④ 제4차 포장, 화물수송 자체

(6) 포장 재료의 성질별 분류

① 강성포장 ② 유연포장

(7) 거래선별 분류

① 관수포장 ② 인수포장 ③ 군수포장 ④ 특수포장

(8) 포장 방법별 분류

① 방수, 방습포장 ② 완충포장 ③ 방청포장 ④ 통풍포장 ⑤ 밀봉포장 ⑥ 진공포장 ⑦ 저압포장

2. 포장비 절감 기법

1) 포장비의 개념

(1) 포장비 절감의 중요성

- Edward W. Smeykey의 물류비에 관한 보고서

최저 소비자 가격 중 점하는 원가구성비율- 생산비:비생산비=41:59’

생산비:물류이외의 마케팅비:물류비 절감의 보고이며, 매상고의 증대, 생산원가 의 절감에 이어 물류비가 3의 이윤원이라고 간파

- 적정포장: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 포장효과를 가져오는 최적량의 포장

- 포장 시 유의점

① 효과가 동일할 때 최저가 재료 선택

② 설계 시 포장비 외 운송비, 관리비가 적게 드는 방법 고려

VE, IE, 표준원가관리 등을 적용해 최소원가관리를 하는 포장활동이 중요

- 포장비 용어 정리

→ 포장비 개장비 재료비, 노무비 제조원가

상업포장비

내장비 공업포장비 물류비

외장비 수송, 보관비

① 포장비(Packing Cost): 수송, 보관에서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 용기 비용 ② 하조비(Packing Cost): 포장비와 동의어이나 외장비에 중점

③ 베일비(Bale Cost): 하조비와 동의어

④ 베일 포장비(Bale Packing Cost): Bale법에 의한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

⑤ 외장비(Out Side Packing Cost): 내장화물의 외부 포장비

⑥ 내장비(Inside Packing Cost): 내장화물의 내부포장비

⑦ 개장비(Each Parcel Cost): 물품 개개 포장비

⑧ 개장비(Repacking): 포장재 변경에 소요된 비용

반응형
반응형

2. 물류의 현황과 정책

1. 물류 환경의 주요 변화

1) 물류 기반시설 부족

2) 소비 형태의 다양화

- 수요패턴이 다품종 소량화 소량 배송의 신속화, 재고 보관량 증대, 폐기물 증대 물 류비 과다지출

3) 정보기술의 발달

- 인터넷을 이용한 e-Logistics화 추구 물류작업 고속화, 공동이용, 적정재고관리, 통관 절차 간소화 가능

2.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1) 경제 규모 확대에 대한 대응

- 물류 기초 시설인 사회 간접자본 확충과 공동종합운송/ 협동 일관운송 등 3자물류 (TPL)를 통한 물류 공동화의 추진 필요

2) 소비행태의 다양화에 대한 대응

- 수요정보의 신속, 정확성, 정확한 수발주시스템 확립, 배송단위 소량화, 서비스 질 향상 , 재고 보관량 증대, 폐기물 증대에 따른 물류비 상승에 대한 대응

3) 산업의 집중화에 대한 대응

- 교통의 정체 물류거점 공동이용, 협업화에 의한 공동화, 산업 클러스터 전략

4)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대한 대응

- 물류 네트워크 형성과 거점의 합리적 배치

5) 국제화에 대한 대응

- 국제 표준화에 대한 적응, 국가 간 규제에 대한 경쟁력 강화

3. 물류의 분류 체계

1) 영역에 따른 분류

- 로지스틱스가 물류보다 광의의 상위 개념

(1) 조달물류

- 물류의 시발점, 물자가 조달처로부터 운송되어 매입자 창고에 입고, 관리되어 생산공 정에 투입되기 직전까지의 물류활동

① 조달물류의 의의

- 각종 원자재가 도착하기까지 모든 과정 관리

- 협력업체 입장- 판매물류, 구입처입장- 조달물류

② 조달물류의 역할

- 생산부서에 맞추기 위해(대응) 협력회사 조건을 잘 검토하여 결품방지, 적기납품에 대응

③ 조달물류의 주요 업무

- 조달관련의 주요 업무

) 포장, 팔레트, 용기 등 표준화 규격화

) 임시 보관장소 폐지

) 협력업체와의 공동화

) 공차율 감소/ 차량회전률 증대

) 수송루트 적정화를 통한 JIT 납품

(2) 생산 물류와 사내물류

- 물자가 생산공정에 투입 될 때부터 완제품 창고에 이르기까지의 물류활동

① 생산 물류의 의의

- 고객에 대한 판매가 확정되기까지 조달된 원자재의 모든 과정관리

② 생산물류의 역할

- 원자재, 반제품, 재공품, 제품 등 다양한 형태를 관리

③ 생산물류의 주요 업무

- 물자는 정지된 순간부터 손실이 발생하므로 공정을 단축하고 재고를 삭감하도록 노력한다

※ 사내물류: 완제품 출하 시부터 판매 보관창고에 이르기까지의 물류활동

(3) 판매물류

- 완제품 판매로 출고되 고객에게 인도될 때 까지의 물류활동

① 판매물류의 의의

② 판매물류의 역할

- 제품창고에서 출고하는 과정, 배송센터 내에서 유통가공, 분류, 배송 등에서 발생 하는 물류활동 관리

(4) 반품물류

- 상품교환, 반품

① 반품물류의 의의

- 반품의 회수, 운반, 분류, 보관, 처리. 리콜제 확산과 함께 중요문제로 대두

② 반품의 발생원인

- 판매자 실수, 구매자 실수, 팔고 남은 물품의 반환

③ 반품 물류의 중요성

- 반품물류에 큰 비용이 들어감에도 싼 가격으로 반품물건이 판매되어 기업이익을 잠식하기 때문에 중요 땡물건 처리, 가격인하, 폐기 등

④ 반품의 대책 수립

- 제품설계부터 반품의 소지를 없애는 것

(5) 폐기 물류

① 폐기물류의 의의

- 제품 및 포장재, 수송용기류 등 물품에 의해 발생된 폐기물 관리

② 폐기물의 처리

- 일반 폐기물과 특정 폐기물로 구분

- 폐기물 처리 업자가 수집, 운반, 보관, 매립, 소각, 재활용 등 방법으로 처리

③ 폐기물류 대처 방안

- 친환경적 물품생산을 통해 폐기물류 감소 유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