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발주 전략 및 전술

1. 발주제약과 발주방법

1. 발주의 정의

- 발주대상품, 발주선, 발주방식, 발주시점, 발주량 결정 등 발주 전 준비단계 업무에서 주문서의 작성, 송달, 수주의지의 확인 까지를 포함한 일련의 업무

2. 자유선택과 제약선택

- 자유선택: 요구기능을 만족하고, 적정한 품질, 납기에 수량을 타당한 가격으로 구입하는 것을 전제로 자유롭게 구입선을 선정

- 제약선택: 구입품의 성격, 구입선의 제약, 발주 측 방침, 정책 등에서 제약되어 특정범위 내에서 선택 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특허) 등의 요인에 의한 제약적 선택

3. 발주제약

1) 발주측의 방침, 정책에 의한 제약

(1) 구입선의 제약

① 출자 자회사, 자본계열 그룹기업에 대한 우선 발주

② 자사 특허기술 등 기타에 누설되면 안되는 발주

③ 구입품의 품질, 코스트, 납기 등이 그 제품, 나아가 회사의 운명을 좌우하는 것

④ 발주금액이 큰 것

⑤ 공동개발품, 기술제휴품

(2) 발주 조건의 제약

① 구입품의 성격에 의한 제약

② 구입선의 상태, 성격에 따른 제약

a. 이용목적: 인력의존, 기술의존, 위험분산, 생산조정

b. 이용목적에 의한 정책적 제약

- 발주품목, 금액제한, 의존도 제한

c. 구입선의 상태, 성격의 내용

③ 발주측에서 본 구입품의 관리 비중면

a. 품질기준이 까다로운 경우

b. 납기/ 양적 공급능력이 특별한 경우

c. 대폭적인 코스트 절감을 꾀할 필요가 있는 경우

d. 설계변경이 예상되는 경우

2) 마켓 자체의 제약

(1) 상대의 노하우를 사는 것

- 독점품, 특허품, 실용신안품

(2) 제조능력 상의 제약

(3) 기술상의 제약

3) 3자 요구에 의한 제약

(1) 상위 발주자의 방침, 정책에 의한 구입선 지정

(2) KS 규격 등에 의한 구입선 제약

(3) 법률에 의한 제한

(4) 유통기구, 수비자 요구에 의한 구입선 지정/ 제한

4. 발주 방식과 그 특징(161p)

- 일사발주: 동일구매품은 한 회사에 한정해 발주

- 병행발주: 동일품을 여러회사로 나누어 발주

- 집중발주: 발주 측이 산하 공장을 포괄하고 정리해서 발주

- 분산발주: 각 사업소, 공장 등이 개별적으로 발주

- 일괄발주: 구입품 일련의 공정을 모아 발주, 전 공정을 한 기업에 발주

- 분할발주: 공정마다 분할해 전문기업에 발주

- 계획발주: 계획적으로 발주(정시발주)

- 임기응변식 발주: 필요 때마다 발주

- 장기발주: 발주량을 장기적으로 표시해 발주(분할 납입)

- 단발발주: 1회에 한해서 발주(두번 다시 발주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님)

5. 발주 제약과 대응책

- 163p

 

2. 발주 시 구입선의 선택

- 필요한 모든 기능과 조건을 갖춘 구입선 선택

- 최적 구입선: 납기, 품질, 가격 등에서 만족할 만한 구입선

- 현 시점에 있어 구입선 실태를 평가해 최적 구입선 선택(개척단계에서는 최적이었어도 실 태는 변하니까)

- 최적 구입선 선택 수순

① 발주측이 요구하는 기능, 조건의 변화 파악

② 구입선의 변화 파악

③ 현 시점에서 발주측 요구와 구입선 실태 비교

④ 부족기능 부가, 잉여기능 제거에 합의

⑤ 최적 구입선 결정

⑥ 표준자료 수정, 개폐

1. 발주측이 요구하는 기능, 조건 파악

- 발주측에 전 발주에서 금 발주 사이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파악

→ 종래 무엇이 어떻게 변하고, 그 크기가 어느 정도인가 정량적으로 파악

2. 거래선의 능력 파악

- 거래선의 실태가 어떻게 변했는가 파악

3. 발주측의 요구와 구입선의 실태 비교, 검토

- 발주측 요구변화 내용과 구입선의 현 실태를 비교해서 발주의 가부 검토

4. 차이에 대한 상호 협의

- 부족기능 부가, 잉여기능 제거에 대한 구입선과의 회합

5. 구입선의 결정

 

3. 효과적 발주 전략

- 상대의 요구에 응해 자사에게 유리하게 끌어가는 것이 포인트

 

1. 구입선의 실태 파악

- 구입선의 이면을 알아 그에 맞는 발주전략을 세우는 것

2. 등급제도에 의한 발주

- 등급기준을 설정하여 구입선을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

- 등급제도: 등급에 의해 지불조건, 기타에 차이를 두는 제도

→ 수개월 별로 등급의 변화를 알려 구입선의 자각 촉구

3. 발주 오류의 종류와 원인

- 종류: 발주 누락, 발주 지연, 발주선 선택 착오, 발주조건 설정 착오, 납입진도 착오

수입검수청구수리지불 착오, 수주내용 착오

- 원인: 168p

4. 발주 오류 방지기술★

- 169p

반응형
반응형

4. 제품의 식별 및 추적

- 제품식별: 한 제품이 다른 제품과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 제품추적: 제품단위의 제작이력의 증거를 제공하며 문제 발생 시 원인 분석을 용이하게 하여 과정에 대한 이해와 시정/ 개선이 쉽도록 하는 것

1. 개요

2. 식별

1) 식별 시스템

- 다른 제품과 구별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양서, 도면, 기술자료서 등에 식 별되어야 함

2) 식별방법

- 제품/ 제품포장에 Mark Tag을 하여 제품 식별

3. 추적

1) 추적시스템

- 배치단위(Batch)나 로트제품은 유일한 식별번호가 있어야 한다

- 원자재와 최종제품 및 최종제품과 원자재 사이에 추적이 가능하여야 함

2) 추적 방법

- 제품의 추적은 그 제품 이력의 추적 또는 품목의 위치를 기록함으로서 가능

4. 서비스 확인 및 추적

5. 적용

- ISO 90014,8, 90024,7, 90034,4항은 제품 식별만 (추적성 명시X)

 

5. 검사와 시험

- 규정된 요건과 시험/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요건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활동은 하청계 약자로부터의 제품 인수 시부터 최종제품의 인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실시

- 검사와 시험: 구매 제품의 인수검사, 제작과정의 중간검사, 최종제품의 검사는 물론 구매 자 제공제품에 대한 인수검사도 포함

1. 인수검사 및 시험

1) 인수검사 및 시험

- 인수검사: 공급자가 하도급자의 품질에 대한 계약의무 이행 및 품질요건을 만족시킴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 ISO 90019002 해당절의 의미: 만일 제품에 대한 확신을 다른 절차에 의해 얻을 수 있다면 인수품목 모두를 시험 및 검사할 필요는 없다

2) 인수제품의 사용 후 관리

3) 적용

- ISO 9001 4,10,1, 90024,9,1, 9003 X

 

6. 품질경영시스템 규격 ISO 9000:2000 모델

1. 새로 제정된 ISO 9000:2000 모델의 핵심 규격

1)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2) ISO 9004(품질경영시스템- 성과개선지침)

3) ISO 9000(기본사항 및 용어)

4) ISO 19001(품질 및 환경감사)

2. 규격의 구조

- ISO 90029003을 폐지해서 9001로 규격통일, 적용에 융통성을 부여해 보다 광범위 한 조직에서의 활용 도모, 90019004를 한쌍의 규격으로 하여 발전적 규격활용 촉진

- 주요 개정사항: PDCA사이클로 정합된 규격 구성의 변경

3. 규격의 내용

1) 최고경영자 역할의 중요성

2) 교육훈련의 유효성 평가 등 경영자원관리

3) 고객 만족도

4) 프로세스 어프로치

5) 지속적 개선

6) 지속적 개선에 필요한 부속서A(자기평가지침)과 부속서B(지속적 개선의 프로세스)의 제 안이 특징적 개정사항

4.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 품질경영시스템에서 강조되는 고객만족’, ‘고객관계’, ‘인적자원’, ‘개선등이 내용적으로 강화

- 프로세스어프로치와 프로세스모델 도입: 제반업무를 명확히 하고 관리하도록 업종, 규모 를 막론한 모든 조직에 적용이 가능한 일반화한 단위프로세스에 관한 요구사항이나 지침을 기술

 

7. 취급, 저장, 포장 및 인도

1. 일반사항

- 대상: 인수재료, 공정 중 재료 및 최종제품

2. 취급

3. 저장

4. 포장

5. 인도

6. 적용

- ISO 90014,15(취급방법과 수단), 90024,4 (취급방법)

 

8. 품질기록

- 품질기록: 품질 시스템과 관련해 수행된 활동 또는 달성된 결과의 객관적 증거를 제공하 는 서류

- 주요기능 두 가지

① 활동이 적절히 수행되고 제품이 적절하다는 증거로서의 기능

② 품질 문제 발생 시 과거기록을 토대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는 기능

※ 제품인도 후 발생하는 제품책임 등에 대비하는 가치가 있다

1. 품질기록

- 공급자의 품질기록은 ISO 9001~3 요건 내의 품질 시스템 요소를 이행하고, 결과는 만 족스럽다는 것을 입증하는 자료로서 제시

- 품질 기록의 예

①검사보고서 ②시험자료 ③인정기록서 ④검증/감사보고서 ⑤제품검토보고서 ⑥교정자료

※ 하청계약자의 품질기록도 공급자 품질기록의 한 요소로 관리

2. 기록관리 절차

3. 품질 기록의 보관

- 서류 또는 전자매개체 등으로 저장 가능하며 쉽게 접근 가능한 곳에 보관

- 사본은 원본의 모든 관련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4. 품질기록의 보관 및 검색

- ISO 9000에는 최소보유기간 명시X, 계약서에 따로 규정, 공급자는 최소보유기간을 서류 화 해야 한다

- 검색방법: 표준화된 문서번호 부여, 체계, 색인, 편철방법, 검색 전산프로그램에 의한 검 색방법 등

반응형
반응형

6. 국제품질보증시스템 인증제도(ISO 9000시리즈)

1. ISO 9000 시리즈의 개요

1. 개요

1) 개념

- 국제 표준화기구(ISO)87년에 제정한 품질경영 및 품질 보증에 관한 국제 규격에 의 해 제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품질 시스템을 평가하여 품질보증 능력과 신뢰성 을 인정해 주는 제도

- 한국 KS, Q 마크

2) 운영방법(영구의 경우와 동일)

- 국제 규격을 국가 규격으로 채택

- 국가 인정기관과 민간 인증기관을 설치

→ 인정기관이 인증기관을 승인, 관리 감독

→ 인증기관이 대 업계 인증업무 수행

- 교육훈련기관이 별도로 설치되어 인증 심사원 자격 관리

- ISO의 개요(130p)

- ISO 9000/ 9001의 범위

→ 문서화된 경영 시스템 판매 설계 구매 생산, 설치, 서비스 검사 시험 품질보증, 설비 검교정 교육훈련

2. ISO 9000의 심사범위(131p)

A. 시스템 경영 B. 시스템 기술 C. 시스템 유지

 

2. 구매업무의 품질관리

1. 일반사항

- 일반(General): 공급자는 구매품이 지정요구 사항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1) 개요

- 구매되는 하청제품/ 서비스가 규제요건 및 구매요건을 충족함을 보증하기 위해 공급자 는 적절한 관리 하에 구매를 계획/ 이행해야 함

→ 하청계약자 평가/ 선정, 구매사양서 작성, 확인, 검사 절차서

→ 하청계약자와의 업무협조관리 방법 수립

2) 구매품질 계획

(1) 사양서, 도면/ 주문서 관련 요건

(2) 자격 있는 공급자 선정

(3) 품질 보증에 대한 합의 사항

(4) 검증 방법에 대한 합의 사항

(5) 품질과 관련한 분쟁해결 규정

(6) 수입검사 계획

(7) 수입관리 방법

(8) 수입품, 품질 기록

2. 하청 계약자의 평가

- 공급자의 하도급자 선정 방법

① 유사제품 공급에 대한 과거이력 검토

ISO Body에 의한 하도급자 품질 시스템 표준에 대한 평가 결과

③ 적절한 표준을 이용한 공급자의 하청 계약자 평가

1) 평가방법

① 공급자의 능력과 품질시스템에 대한 현장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② 제품 샘플의 평가

③ 유사 공급품의 과거이력

④ 유사 공급품의 시험결과

⑤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경험

2) 적용

- ISO 90014,6,2, ISO 90024.5.2

- 9003은 명시X

3. 구매자료

1) 개요

- 구매자료에는 품질 보증을 위한 기술요건이 규정되어야 한다

2) 사양서, 도면 및 주문서에 대한 요건

- 성공적 구입은 요건의 명확한 정의에서 시작

- 요건은 공급자에 제공되는 계약 사양서, 도면 및 구매요구서에 포함

- 구매서류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

① 유형 및 등급에 대한 정확한 식별

② 검사 지침 및 적용가능한 사양서

③ 적용되는 품질 시스템 규격

3) 품질 보증에 대한 합의

4) 적용

- ISO 9001 4,6,3, 90024,5,3, 9003은 명시X

4. 구매품의 확인

1) 개요

- 공급자는 구매자에 공급하는 모든 제품의 품질에 대한 전적인 책임이 있다

2) 확인 방법에 대한 합의

- 품질개선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 시험자료의 교환을 포함

3) 품질문제 해결규정

- 문제 해결을 위한 시스템과 절차 수립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에 관해 구매자와 공급자 사이에 개선된 의사소통 경로 제공

4) 수입검사 계획과 관리

- 승인되지 않은 공급품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지역이나 다른 적절한 방법 포함

5) 수입품질 기록

- 품질기록서는 공급자의 수행 결과와 품질 경향을 평가하는 이력자료로서 유지

6) 적용

- ISO 90014,6,4, 90024,5,4, 9003은 명시X

 

3. 구매품에 대한 품질관리

- 구매자 공급품: 구매자가 공급하는 자재, 부품, 기기 등 Free Issue Material

1. 개요

- 제품 인수와 동시에 공급자는 구매자가 제공한 제품에 대한 책임이 있다

2. 구매자 공급품 관리계획

1) 구매자 공급품 관리계획

(1) 인수 시 수량/ 동일제품 여부 점검, 운송 시 결함 조사

(2) 저장기간 동안 주기적인 검사

(3) 재검사 관련 계약요건 준수

(4) 승인되지 않은 제품의 사용 및 부적절한 관리 방지를 위한 적절한 식별 및 보호

2) 부적합 품목의 처리

3. 서비스

4. 기록관리

5. 적용

- ISO 90014,7, 90024,6, 9003은 명시X

- 구매자 공급제품(141p)

반응형
반응형

5. 불량발생 처리와 대응책

1. 현상파악

- 불량대책을 진행하기 위해서- ‘전에 무엇이’, ‘어디서’, ‘언제’, ‘어느 정도의 순으로 확인

1. 사실을 확인한다

- FF시트에 의한 불량발생의 사실 확인(109p)

2. 무엇에 중점을 둘 것인가를 파악한다

- 불량을 없애는 것으로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를 파악

1) 불량이 전체에 점하는 비율을 안다

- 불량 파레토도(110p)

2) 어느 부문에 어느 정도 책임이 있는지 파악(111p)

 

2. 불량 참원인 분석 및 대책 실시

1. 목적

2. 공정 불량 분석

1) 자료 수집

(1) 작업일보가 있을 경우

- 작업일보를 근거로 과거 1~3개월 자료 수집

(2) 작업일보가 없거나 내용이 부실한 경우

- 현장 작업자에게 교육 후 작업일보를 작성시킨 다음 자료 수집

※ 작업일보 필수 기재 항목

- 생산수, 불량수, 불량률, 불량 내용, 작업시간, 정지시간

→ 제정 후 1시간 마다 현장 Patrol 실시, 정확도가 100% 될 때까지 중점지도

2) 자료 층별(중요문제 발견 방법)

(1) 불량을 결과별로 자료를 취한다

(2) 불량을 원인별로 자료를 취한다

3) 불량의 해석

(1) 층별한 불량 개수를 집계해 불량 해석도를 그려 한눈에 중요한 문제를 알 수 있게 한다

(2) Worst 항목/ 품목 설정, 등록하여 개선활동 실시

3. 불량 참원인 개선 전개 순서

- 115p

- ①대상품목 선정 ②검사실시 ③불량원인 분석 ④현장확인 ⑤참원인 도출 ⑥개선안/실시

4. 현상을 수치화 하는 방법

1) 품질 네크(neck)분석 방법

- 품질 네크도가 높은 라인 및 공정 파악

- 품질네크 라인 분석, 품질네크 공정분석, 품질네크 현상분석을 통해 테마를 얻어냄

- 불량률 만으로 네크평가를 하는 경우와 유저클레임이 중요 품질사고와 이어질 수 있는 품질불량에 대해 품질 특성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네크순위를 정하는 경우

2) 불량 현상의 명확화

- 불량 현상의 정의를 내린 후 불량내용의 그림을 그리고, 현물을 준비하여 불량 현상의 층별 판단을 쉽게 하는 것이 중요

 

3) 불량 현상의 정량화

- 정확한 자료를 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

5. 원인 분석 및 대책 착안

1) 불량 현상의 분석

(1) 불량현상 층별 후 정량화되면 파레토 분석 후 구체적 대책항목 선정(파레토 분석은 품질네크 현상분석과 동일)

(2) 2차분석: 불량이 작업준비 변경 직후에 발생하는가 연속운동 중에 발생하는가

3차분석: 매회 발생/ 때때로

4차분석: 작업자에 따라 발생빈도에 차이는 없는가

(3) 정보를 그림으로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

계획(품질계획)

분석(품질해석) 평가(품질평가-측정)

2) 원인분석과 대책 착안 Point

 

3. 대책의 실시

- 불량대책을 구하는 것- 원인을 근절시키는 것

- 대책: “원인 하나 하나에 대해 누가 언제까지 어떻게 재발방지 행동을 취할까를 구체적 으로, 받는 이가 쉽게 알 수 있게 기입

※ 대책기입의 나쁜 예

- ‘금후 충분히 주의하겠습니다와 같은 의미로 재발에 대해 안심할 수 없는 경우

→ 조치를 취한 후 조치사항을 기입해야 한다

 

4. 불량 대책의 유의점

1. 목표관리와 연결한다

2. 불량에 의한 손실금액을 명확히 한다

- 어필하기 쉽고, 중요도가 쉽게 구분

3. 협력 공장의 정기적 패트롤 실시

 

5. 품질이상 Feed Back 체계 확립

1. 업체 자체 불량발생 정보처리

- 관계 부서에 품질이상 통보서를 통보, 관계부서에서 품질이상 검토결과 통보서를 작 성, 주관부서에 통보. 신속히 처리 후 결과 보존

2. 업체 이상 발생정보의 F/B 처리

반응형
반응형

2. 무검사 체제 구축

1. 무검사 시스템의 개념

- 외주공장에서 검사한 것은 발주측에서 무검사로 납입

→ 조건: 외주공장의 품질 안정, 자주검사가 제도로서 정착

※ 감사 검사제도가 발전의 기초

2. 무검사 제도의 방법

- 감사 검사: 사양서에 정한 품질관리 요구사항의 실시 상황을 평가, 합격 시 영수, 불합 격 시 시정조치 3개요소: 제품확인/ 절차심사/ 특수공정 심사

1) 제품 확인

- 사양서에 요구된 제품검사의 수단을 실시하고 있는가 확인

2) 절차 심사

- 사양서에 요구된 품질관리 절차가 각 공장에 적합한 것인가 심사

3) 특수공정의 심사

- 특수공정: 공정 종료 후에 일반 검사로는 양, 불량 판정이 용이하지 않은 것

비파괴 시험이어서 설비의 능력, 정도, 작업자의 기량이 직접검사의 판정에 영향을 주는 것

→ 작업표준, 한도견본, 표준견본의 확인, 작업자의 기술검정을 행함

→ 무검사 제도로서 넓게 활용

3. 무검사 시스템의 단계별 도입

1) 무검사 이행 기본 조건

- “실적의 축적 실적으로서 수입검사 실적이 양호해야 함

2) 무검사로의 이행 순서★

- 전수검사-발췌검사-확인검사-감사검사-무검사 (101p)

4. 출하품질 보증 체제의 정비

- 발주사가 제시한 검사기준 이상의 자체 출하품질이 보증될 수 있는 수준에서 다음을 추진

1) 자료의 입수/ 검토

- 발주측의 품질보증 수준을 충분히 검토 후 자체 품질관리방안 강구

2) 출하검사 규격의 보완

5. 출하검사의 실시

1) 검사 조건의 구비

- 발주측이 제시한 요구수준에 준해 업체 자체의 출하검사 규격, 시험검사실, 설비, 인력 을 갖춘 상태에서 기준대로 실시

2) 검사 로트의 처리

- 합격 Lot은 검사성적서 첨부하여 납부, 불합격 Lot은 검사성적서와 함께 생산부서로 피드백

- 재생 가능한 것은 전수 재검사/ 재작업 실시 후 Lot을 재구성하여 QC부서의 재검사 후 합격 Lot납품, 재생 불가능한 것 폐기

반응형
반응형

4. 협력회사 공정품질 지도

1. 품질관리 진단 및 지도

1. 품질관리 진단

- 86p

2. 공정 중간검사 실시 강화

- 공정 간 검사: 앞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기에 앞서 실시

앞공정에서의 불량을 다음에 흐르지 않도록 하며, 공정의 이상을 가능한 한 빨리 발견 후 조치

1) 자주검사

- 작업자 스스로 행하는 검사, 공정지도표에 의거

2) 공정검사

- 검사원이 고정배치되어 행함, 중간검사 Check Sheet를 작성, 결재 후 보관

3) 순회검사

- 검사부문의 검사원이 순회하며 검사, Patrol Check Sheet 작성, 결재 후 보관

3. 작업 표준서에 의한 품질개선 활동

1) 목적

- 작업자가 표준대로 작업하여 품질산포를 줄이고 작업 불량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근절, 100% 양품을 확보하기 위함

2) 작업 표준의 개념

(1) 양품의 100% 확보

- 작업표준: 지킬 수 있고 지켜지는 표준을 만들기 위해 현장탐험 실시 후 그 내용을 표준화 한 것

(2) 작업표준의 요점

① 조건의 확인(원인계)

② 결과의 확인(결과계)

3) 추진요령

① 작업표준 게시 대상공정 선정 후 제조공정도 품질관리공정도를 기준으로 작성

② 현장탐험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 실제 시행 가능 여부를 작업자와 함께 확인

※ 현장탐험 - 94p

4. 검사의 JIG, FOOL PROOF, 자동화 추진

1) 검사의 JIG화 추진

- 전수검사가 불가피하고, 검사 Load의 가중이 협력업체의 인건비 상승, 경쟁력 저하의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협력업체 검사공수를 줄이고, 품질확보를 위해 검사 JIG호 추진

2) FOOL PROOF 추진

(1) FOOL PROOF의 개념

- 전공정 제품의 확인이 자연히 되도록 하고, 불량재발 방지 장치를 공정 내에 투입하 여 즉시 불량을 발견토록 하는 방법

(2) 착안점

- 착오가 있으면 물건이 JIT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 결함이 있으면 기계가 가동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 전공정 결함을 후공정에서 찾아내 불량을 막는 장치

- 작업을 잊었을 때 다음 공정이 시작되지 않는 장치

- 착오가 있으면 기계가 가공 시작을 안하는 장치

(3) 방식

① 표시방식: Lamp 색으로 구별

JIG 방식: 틀린 물건 부착X, 부착 착오시 가동X

③ 자동화 방식: 가공도중 결함 있으면 기계 Stop

3) 자동화 추진

(1) 추진 시 착안점

- “어떤 이상이 생기면 기계 스스로 판단해 정지하고 사람에 알린다

→ 구입기계 그대로 쓰지 않고 작업 특성에 맞게 개조

(2) 자동화의 기능

① 기능1: 사람 분리- 사람과 기계의 일 분리

→ 구입기계 그대로 쓰지 않고 작업 특성에 맞게 개조

② 기능2: 불량이 나오지 않는 체제

→ 작업자의 한시작업 없애고, 사람이 없어도 불량이 나오지 않는 일하는 기계

③ 기능3: 또 하나의 자동화

→ 이상 발생과 동시에 가공이 정지되고 그 자리에서 개선되는 정지되는 라인

반응형
반응형

2. 거래선의 품질 선행관리

1. 양산품 초물관리

1) 초물의 개념

① 신규 수주 시,

② 설계 변경 시,

③ 공정 변경 시(공장, 설비, 치형구, 수순, 가공법 등),

④ 과거 6개월 이상 제작실적 없을 시,

⑤ 특수공정의 작업자 변경 시,

2Vender, 부품 구입선 변경 시에 제작하는 물건

2) 기술협의

- 보안 부품, 중요기능 부품, 발주측/협력회사가 필요로 하는 물건에 대해 초물협의 실시

(1) 협력회사의 사전 검토

① 설계변경의 필요가 없는가?

② 제조 상 문제가 없는가?

③ 검사방법, 설비에 문제가 없는가?

(2) 협의 내용

- 75p

3) 공정 변경 시의 사전 신청

- 초물의 정의에 있는 공정변경을 실시할 경우: 사전에 신청서에 신청 후 발주회사 승인 받아 실시

4) 공정 보증항목 일람표(QC공정표)

(1) 목적

- 부품 원재료 입고에서 출하까지의 공정에서 제조/품질보증 부문이 실시하는 보증방 법을 순서대로 기재, 각 제조공정의 품질보증 내용과 책임을 명확히 함

(2) 사전 승인

- 초물 제조착수 전에 발주회사 검사부문의 승인 받아야 함(내용 변경도 동일)

(3) 기재요령(77p)

2. 시험, 검사설비 관리

1) 시험 검사설비 확보

- 설비 보유 현황과 미보유 설비에 대한 보완 계획서 작성

(1) 추진요령

(2) 시험검사 설비 보유현황 및 보완 계획서 작성

2) 시험, 검사설비 관리

- 주기적으로 설비의 노후 정도 파악, 유지 관리(설비관리 대장 활용)

(1) 일상점검

- 작업자의 오감에 의하거나 간단한 측정기구를 이용해 점검가능한 항목 설정,

일상점검표를 만들어 활용

(2) 정기점검

- 관리, 감독자/ 설비관리 담당자가 점검

- 고장 예상부위를 발췌해 점검항목으로 선정, 정기점검표 말들어 활용

(3) 정기 검교정의 실시

- 검교정 대상 설비는 계량계측기기 교정검사 주기표에 의거 정기적으로 외부 검교정 을 필해야 함

3. 시험, 검사 인력의 확보

4. 2차 공급자 관리

1) 2차 공급자 품질관리와 납기관리의 조화

<외주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납기관리 상 요인과 그 영향>

① 다품종 생산의 이행 작업준비 번잡, 초기생산의 불량과 작업 오류

② 단납기 주문의 증가 특급작업발생, 작업준비 번잡, 특채와 작업오류 증가

③ 수주 변동의 격화 단납기 주문과 특급작업 증가, 소로트 생산으로 돌아가려는 경향

④ 재고감소의 추진 소로트 생산화, 수주생산화, 엄밀한 납기설정 요구

⑤ 공정 변경의 다발 작업오류, 거래처와의 트러블

⑥ 새로운 생산방식 도입 불량/ 동기생산화 납기 중시

2) 협력업체의 품질관리 실천요령

3) 2차 공급자의 품질관리 실천요령

- 2차 공급자에게 요구되는 것: 협력업체가 요구하는 품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 추고, 자주적으로 품질개선과 관리를 도모하려는 굳은 의지

① 리더쉽 발휘

② 원만한 인간관계

③ 외주품질 대책의 기본은 정리, 정돈

④ 고차원적 기법보다 중소기업에 적합한 기법을 익혀서 일상관리에 활용

반응형
반응형

3. 품질 문제의 사전 방지기술

1. 발주 측의 자체관리 강화

1. 품질문제의 징조 파악(58p)

- 품질문제의 징조파악을 위한 체계적인 정보관리를 위해 품질 Parameter의 정보관리와 사전 대책양식 활용

2. 품질보증 협정의 체결

1) 품질 보증의 필요성

2) 품질 보증의 사고방식

- 제품 기획, 설계, 구매, 제조 등 각 단계에서 만들어야 하는 품질은 전원협력으로 추진 하는 짜임새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

3) 품질보증 방법

- 품질보증의 책임: 제조 기획부문, 설계부문, 생산부문

→ 검사부문, 품질보증부문에는 원칙적으로 품질보증의 책임X

(1) 신제품 기획

- 제품기획서를 확실히 정해서 그 내용 명시

(2) 품질설계

- 품질 해석을 행하고, 설계품질 결정

(3) 설계 심사

(4) 공정관리

(5) 검사

(6) 서비스

4) 품질 변동 요소

- 고객 언어로 표현된 요구품질을 품질 특성으로 전개하는 것에 의해 구체적으로 제품화

- 품질특성: 품질 평가의 대상이 되는 성질성능의 것, 고객의 요구에 대한 대용특성(계 측 가능한 것의 추출이 어렵다)

- 품질요소: 품질을 평가하는 척도, 측정가능하게 되면 품질특성이 된다

(1) 품질요소의 사고방법

- 시장요구를 추상적으로 표현 품질요소

- 가능한 한 품질특성의 추출이 바람직하나 품질요소의 추출도 필요

- 디자인/ 형상 등은 표현이 어렵기 때문에 품질요소로서의 표현으로 추출

- 설계품질은 그 품질요소를 어떻게 계측하는가를 생각(품질특성)

<품질요소의 추출 포인트>

① 시장요구를 기술의 세계로 변환

② 측정 가능성에 구애되지 않고 품질요소로서 추출

③ 가능한 한 측정 가능한 품질특성을 추출

④ 품질요소 중 계측 가능하게 되었을 때 품질특성으로 부름

⑤ 품질요소는 명사+동사의 표현으로

(2) 품질요소

① 물성적 요소

② 기계적 요소

③ 인간적 요소

④ 시간적 요소

⑤ 경제적 요소

⑥ 생산적 요소

⑦ 시장적 요소

3. 수입검사 실시 강화

- 수입검사: 회사내에 입고되는 시점에서 검사하는 것

수량, 겉모양, 치수, 성능 등이 사양대로 되어있으며, 그대로 받아들여도 좋은 가 판정

※ 외부 구입물품은 수입검사만으로 품질보증이 어렵다 쌍방의사소통 중요

1) 검사절차

① 외주처에서 납품서와 함께 출하검사 성적서를 첨부하여 납품

포장은 로트단위로, 겉포장에 로트번호, 수량, 도면, 제조일자 등을 로트 구별하여 기재

③ 속포장은 납품처 편의대로 포장

④ 장기보관, 품질변화를 고려해 적정한 방법으로 포장

2) 검사방법

① 검사 절차사항 점검

② 부품검사 기준서에 의한 검사 실시 준비

③ 자체검사 성적서의 합당여부 판단

④ 로트 구별

⑤ 계수 조정 형 샘플링 검사방식(KS A 3109)에 준하여, 시료 샘플링

⑥ 검사 수준에 의해 로트 전체의 합부 판정]

⑦ 특수 정밀검사에 해당하는 품목 로트 당 1개씩 샘플링해 QC에서 시험 후 자체검사 성적서와 비교

QC검사, 당사시험이 안되는 경우 외부시험기관에 검사 의뢰

3) 수입검사 시 주의사항

4) 데이터의 처리

① 품질 동향을 정기적으로 납품처에 통보

② 공정능력지수(Cp)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무검사로 완화

반응형
반응형

2. 발주 시 품질 보증활동

1. 발주단계에서의 구매품질관리

1. 검사 성적서 첨부

- 사후 문제 발생 방지, 기준 내에서의 경향 파악을 우해 납품 시 검사 성적서의 첨부를 의무화 시킬 필요가 있음

2. 도면 사양의 검토

- 발주 전에 실시

3. 사전 품질회의

4. 검사 사양서의 작성

- 도면에 요구할 모든 품질기준을 망아할 수 없을 경우, 검사사양기술사양서 등에 검사방 법, 요령 등을 명시

5. 한도견본의 설정

- 외관, , 긁힘 등 정량화 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우 현물을 가지고 판단기준을 제시

→ 한도견본

- 발주 측, 구입선 쌍방이 보관하는 것으로 상황판단 기준을 통일

- 주의사항

① 시간 경과에 따른 한도견본 현물의 변화

② 한도견본 기준의 변화

③ 한도견본 교환시기, 보관방법

④ 한도견본 기준변경의 처치에 대해 사전에 규정

6. 계측기 관리

- 계측기의 점검방법, 취급방법, 보관방법을 규정

7. 시작견본의 확인

- 신규품 양산에 들어가기 전, 설계사양 대로 되는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몇 대의 시작 품을 갖고 성능이 테스트되어 제품기능, 제도, 작업, 검사방법, 품질기준의 검토, 확인이 행하여짐

 

2. 도면보는 법

1. 제도의 필요성

- 제도: , 문자, 기호 등으로 도면을 구성한 것. 물체의 모양, 다듬질 정도, 구조를 간단 명료하게 나타낸 것. 생산용 도면으로 가장 적합

2. 도면의 종류

1) 도면의 성질에 따른 분류

(1) 원도: 켄트지에 연필로 그린 최초의 도면. 트레이싱의 기본 도면

(2) 트레이스도: 원도를 복사한 것, 연필로 그린 원도 위에 트레이싱 페이퍼를 놓고 연필 또는 먹물로 그리는 것(사도)

(3) 청사진: 트레이스도를 원도로 하여 감광지에 구운 것, 공장관계자에게 배포.

, 문자를 흰색, 바탕은 청색

2) 용도, 내용에 따른 분류☆

- 44p

 

3. 문자의 해독

- 문자: 고딕체, 수직 또는 75도 경사가 생기게 쓴다

- 한글의 크기: 높이-10, 8, 6.3, 4, 3.2, 2.57

- 로마자와 아라비아 숫자의 크기: 높이- 10, 8, 6.3, 5, 4, 3.2, 2.5, 28

1) 문자 쓰는 법

- 간결하게, 가로쓰기

- 같은 도면에서는 높이가 같게, 나비는 적절히 가감

① 높이 안내선 위아래를 긋는다(나비, 간격, 경사 안내선은 필요에 따라)

② 먹물로 쓸 때는 높이의 1/10 굵기가 표준, 연필은 HB/ H- 원뿔로 갈라 조금 굵게

③ 문자 간, 어구 간 적강간격

④ 표에 문자 기입 시 아래위 선에 닿지 않게

⑤ 동형의 크기와 조화되고, 균형 있는 배열로

<문자의 크기와 사용법>

① 좁은 곳, 한계 치수 문자- 2~2.5mm

② 일반치수문자, 주석, 명세란- 3.2~5

③ 부품번호문자- 5~8

④ 도면번호문자- 8~14

⑤ 도면명칭문자- 10~20

2) 한글 쓰는 법

① 고딕체

② 가로-수평, 세로-수직

③ 선 이음매 붙임

④ 나비는 높이의 100~80%

3) 아라비아 숫자 쓰는 법

5mm 이상 숫자는 높이를 2:3 비율로 나누어 상중하 3개의 안내선 그음

→ 중간 안내선은 문자 모양이 변하는 위치

4mm 이하는 상하 2줄 안내선

② 나비는 높이의 1/2

75도로 경사진 안내선

④ 칸에 꽉 채워 가볍게 쓴 다음 굵게 써서 완성

⑤ 분수는 가로선을 수평으로, 분모 분자의 높이는 정수 높이의 2/3

4. 선의 해독

- 실선, 파선, 일점쇄선, 이점쇄선

- 선의 굵기는 도면의 크기, 복잡성에 따라 결정, 한 도면에 같은 용도의 선 굵기는 같아야 함

※ 선의 종류와 용도 및 굵기47p

5. 투상법

1) 투상도

- 물품제작에 사용되는 도면: 물품 각 부분의 모양, 가로 세로 높이 3방향 치수 명시

- 공업용 투상도: 회화적 투상도, 정투상도

(1) 회화적 투상도

- 하나의 도면으로 물품의 모양, 크기를 나타냄

→ 투시도, 등각투상도, 부동각투상도, 사투상도

※ 투시도: 시점과 물체의 각 점을 있는 투상선에 따라 그림

시점에서 가까울수록 크게, 실제 크기와 치수가 기입X

복잡한 기계제도에 사용X, 토목, 건축제도에 사용

※ 정투상도: 평화면, 입화면, 측화면에 물체를 놓고 평행광선을 투사해 나온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를 전개한 것

물체이 가장 간단, 정확. 도면에 치수기입 완전 공업제도

2) 투상도의 명칭

- 투상면에 물체를 놓는 방법에 따라 : 1각법, 3각법

- 물체를 보는 방향에 따라: 6- 정면도(앞쪽), 우측면도(오른쪽), 배면도(뒤쪽),

좌측면도(왼쪽), 평면도(위쪽), 저면도(아래쪽)

3) 3각법과 제1각법

- 투상각: 입화면과 평화면을 연장하여 공간을 4개의 직각으로 구분한 것(1,2,3,4)

(1) 3각법

- 물체를 제3각 안에 놓고 투상, 투상면 뒤쪽에 놓는다, 투상면은 유리와 같은 투명체 라 간주

- 배열: 정면도를 중심으로 위쪽에 평면도, 오른쪽에 우측면도

(2) 1각법

- 1각에 놓고 투상, 투상면 앞쪽에 놓는다

- 배열: 정면도를 중심으로 아래에 평면도, 왼쪽에 우측면도

6. 제작도

1) 도면의 크기

(1) 도면의 치수

- 제도용지: 폭과 길이의 비가 1:2. A~A5 사용

→ 긴 물체의 경우 용지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사용

- 길이방향을 좌우로 놓는 것이 원칙(A4 이하는 상관없다)

<제도용지 크기와 테두리 치수> 51p

(2) 도면 접는 법

- 접은 크기가 A4와 같게, 표제란이 겉으로 드러나게

2) 척도

(1) 실척: 실물과 같은 크기

(2) 축척: 실물보다 축소

(3) 배척: 실물 확대

3) 치수

(1) 치수의 단위

① 길이: mm단위, 기호는 생략(다른 단위 쓸 경우 명시)

mm이하의 경우 소수점은 오른쪽 아래, 3자리 끊는 점은 사용X

② 각도: (Degree), 분 및 초 병용

→ 숫자 오른쪽에 , ‘, “

(2) 치수 기입의 요소

- 치수선: 외형선에 평행하게 그은 선

- 치수 보조선: 치수선을 긋기 위해 외형선에서 연장해 치수선에 수직하게 그은 선

① 치수선: 0.2mm 이하의 가는 실선, 양 끝에 화살표

외형선에서 10~15mm 떨어져 그음, 많은 치수선을 그을 때 같은 간격으로

② 치수보조선: 가는 실선(0.2이하), 치수선을 약간 넘게(2~3) 연장

경우에 따라 적당한 각도(60)

③ 지시선: 구멍치수, 가공법, 부품번호 기입 시, 수평선에 대해 60

지시되는 쪽에 화살표 달고, 끝을 수평으로 꺾어 그 위에 지시사항/치수 기입

원의 경우 중심을 향하여 60선 긋고 화살은 원 둘레에....

→ 원으로 도시되지 않는 경우 중심에 화살

(3) 치수 표시에 쓰이는 기호

① 지름기호 , 정사각형 기호

- 치수 숫자 앞, 도형에서 뚜렷이 나타날 경우 생략 가능

② 반지름 R

- 반지름 치수선이 원호 중심까지 그려져 있을 경우 생략 가능

③ 구면기호 구면

- ‘구면’+ 또는 R+ 치수숫자(ex) 구면450)

- 구면이 명백할 경우 생략 가능(모두)

④ 리셋의 피치 기호 P

⑤ 모따기 기호 C

- 물체 모서리를 비스듬히 잘라내는 것

- 모따기의 깊이와 각도 기입, 45일 경우 기호(C)와 치수 숫자만 기입

⑥ 판의 두께 기호 t

- 판의 두께를 도시하지 않고 나타내려면, 판의 면 또는 부근에 쓴다(ex) t5)

반응형
반응형

3. 검사관리

1. 구매요구 및 계약 통보 절차

2. 검사 관리 개요

1) 검사의 의의

- 품질보증을 설정하고, 그 표준과 물품 측정 결과를 비교해 개개의 양불량/ 로트의 합 격불합격 판정을 내리고 판정된 제품을 처리하며 품질정보를 제공하는 것

2) 검사의 목적과 중요성

- 목적: 부적합 물품 유통을 방지하고 품질을 보증하고, 품질 정보를 제공하며 공급자의 품질향상에 대한 의용 자극 물품거래-구입검사, 제조공정-중간검사 및 출하검사

- 중요성: 공급자의 입장에서 자기 제품의 신용을 보증하는 수단

소비자의 입장에서 지불대가를 보상받기 위한 보증행위

3) 검사의 종류

(1) 공정에 의한 분류

- 수입(구입)검사, 공정(중간)검사, 제품(최종)검사

(2) 장소에 의한 분류

- 정위치순회출장 검사

(3) 성질에 의한 분류

- 파괴비파괴관능 검사

(4) 검사 대상에 의한 분류

- 전수, 샘플링 검사

(5) 검사 항목에 의한 분류

- 수량, 외관, 치수, 중량, 성능 검사

4) 검사 방법의 결정

(1) 전수검사가 필요할 때

- 불량품의 혼입이 허용 안될 경우

- 로트 크기가 작을 경우

- 쉽게 검사할 수 있는 경우

- 고가품인 경우

(2) 샘플링 검사가 필요할 때

- 파괴검사의 경우, 항목이 많을 때

- 연속체나 대량물 검사

- 다수, 다량의 것으로 어느 정도 불량품의 혼입이 허용될 때

- 생산자에게 품질향상의 자극을 주고 싶을 때

5) 계수조정 Sampling 검사 방법

- Lot가 연속하여 제출되는 구입검사에 적용, 시료의 불량개수 또는 100단위 당 Lot의 합불합격을 판정

(1) Sampling 검사의 요건과 준비

- 요건: 물품이 Lot로 처리가능

합격 Lot 중 불량 혼입이 허용

품질기준 명확

시료의 SamplingRandom하게 이루어 질 것

Lot의 구성조건을 충족

- 준비: Lot의 크기가 미치는 영향 고려, 검사 단위의 배치

(2) Sampling 검사실시 순서

- 품질기준 설정: 불량품 계급별 구분, AQL의 설정

- 검사 수준의 지정

- Sampling형식의 선택

- 검사 엄격도의 지정

- Lot의 구성

- Sampling 방법의 설정: 검사수준, 엄격도, Lot의 크기, AQL, 시료수의 결정

- 시료의 채취

- 시료의 시험

- Lot의 판정

- Lot의 처리

(3) 검사의 엄격도 조정

① 보통검사 엄격한 검사

- 불합격 Lot을 포함하는 연속 5Lot의 불량개수의 한계

② 엄격한 검사 보통검사

- 연속 5Lot 합격

③ 보통검사 수월한 검사

- 연속 10Lot 합격하고 수월한 검사 한계 수 이하

④ 수월한 검사 보통검사

- 1Lot이라도 불합격, 1Lot이라도 조건부 합격

⑤ 재 제출된 Lot의 까다로운 검사

6) Random Sampling 방법

- 뽑혀짐이 쉽고, 어렵고의 치우침이 없는 시료채취 방법(확률 유출법)

(1) Random Sampling의 수단

- 골패칩, 주사위, Roulette, 난수표(Horton Smith)

(2) 난수표의 사용방법

- 33p

(3) Sampling의 적용

- 단순 Sampling

Lot 크기에 번호부여, Random 수열 만들고, Random 수 번호의 해당물품 뽑기

- 2단계 Sampling

1차 포장 단위의 단순 Sampling, 2차 낱개의 단순/ 계통 Sampling

- 다단계 Sampling

3단계 이상의 Sampling

- 층별 Sampling

- 계층 Sampling

N/n= 간격 수

3. 검수관리 실무

1) 검수 담당 부서

(1) 외관 및 수량 검사

- 자재부서 담당이 원칙, 시험검사를 상대 공장에서 할 경우 시험검사 담당부서에서 일 괄 처리

(2) 시험검사

- 시험검사 담당 부서

2) 검수의 방법

(1) 외관-수량-시험 검사를 거쳐 종합 판정

(2) 시험검사는 외관, 수량검사에 합격된 물자에 한함

3) 검수 장소

- 계약서에 명시된 납품장소

※ 검수장소 변경이 가능한 경우

- 검수장소 협소, 공장도 물자의 경우, 설비미비, 운반검수가 용이하지 않을 때

4) 검수 요청 및 소요일수

(1) 납품 물건을 지정된 장소에 운반, 정리 후 납품서를 검수담당 부서에 제출하고 검수 요청 검수요청일

(2) 외관 및 수량검사- 2, 시험검사- 6

(3) 합격물자의 납품에 따른 수송기간은 검수 완료 후 3일 이내

5) 발췌 방법 및 담당부서

① 피시험품 발췌방법: KSA-3115(랜덤 샘플링방법)

② 발췌담당부서: 시험검사 의뢰 부서, 전량검사 시 시험검사 담당부서

6) 검사절차

7) 검사 결과의 판정

- 검사 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나, 수요가 긴급하고 대체 구입이 곤란하거나, 사용 상 지장 이 없다고 판단될 때 - 준합격 계약금액 감액 조치

- 양호, 시험 준합격, 무판정 시: 물자 사용부서의 의견을 들어 합격, 불합격, 준합격 판 정을 하고 수령여부 결정

- 일부 시험내용이 미비 되었거나 시험 설비 미비로 일부 항목을 실시 못하였을 경우, 시 험 가능 항목에 대한 결과에 따라 판정

- 무판정: 시험실시를 못한 부분이 중요 항목이라 판단될 경우

8) 지체상금 적용 기준일: 계약서 상의 검수 요청일

(1) 계약서 상 검수 요청일 이전에 검수 요청 시

- 납기 내 납품 완료 시: 수송기간이 경과 되었어도 납품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부과X

- 납기 후 납품 시: 납기지연에 따른 지체상금만 부과

(2) 계약서 상 검수요청일 후에 검수 요청

- 납기 내 납품 완료 시: 검수요청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만 부과

- 남기 후 납품 시: 검수요청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및 납품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부과

9) 지체상금 계산

- 계약금지체일수지체상금률

- 계약금액: 공급가액+VA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