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구매품질관리 체제의 구축

1. 품질관리의 의의

1. 품질관리의 개념

1) 품질관리의 의미

- 종래의 검사: 완성된 제품의 선별에 의한 품질보증

- 품질관리: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중점을 둔 품질보증

∴ 품질관리: 생산 기본요소인 재료, 설비, 사람, 방법을 잘 관리해서 불량을 체계적으로 예방 및 조기 발견 하며,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불량이 재발하지 않도록 행 동을 취하는 것

2) 품질관리의 정의

- 사는 사람의 요구에 맞는 품질의 물품/서비스를 경제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수단의 체계 통계적 수단을 채용하고 있어서 통계적 품질관리라고 함

3) 품질관리의 효과

① 불량률의 저감과 품질의 향상

② 제조원가의 저감

③ 납기확보와 생산량의 증대

④ 안전성의 확보

4) 품질의 3대 분류

① 사용품질: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

② 설계품질: 사용품질을 목표로 제조 가능한 구체적 목표품질

③ 제조품질: 설계품질을 목표로 만들어낸 제품의 품질, 모양새의 품질

2. 품질보증의 효과

1) 생산성의 향상

- 불량의 재손질, 선별공수가 발생X

2) 제조원가의 절감

- 부재의 폐각이 줄어 시장에서 클레임이 줄기 때문에 직간접 경비 절감

3) 신재품 개발 기간의 단축

4) 손해배상 위험의 감소

5) 작업자, 직장의 사기 향상

3. 품질과 원가의 관계

- Lo, 가치곡선과 제조원가 곡선의 차, 즉 이익이 최대가 되는 Lo치가 기준으로 해야할 품질(15,16p)

4. 품질은 출발에서 정해진다

- 구매자는 수주측 기술, 상황을 잘 파악해 적정한 설계품질의 설정을 촉진하며, 최초 시 점에서 요구되는 설계품질에 호응되는 발주선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

 

2. 구매품질관리 체제의 구축

1. 구매품질관리의 목적

- 발주제조업체가 요구하는 품질의 제품, 부품을 경제적, 효과적으로 만들어내는 것

- 정해진 수량의 제품, 부품을 납기에 맞추어, 요구된 가격 내에서 제조하는 것

- 광의의 구매품질관리: 품질, 가격, 납기를 만족시키는 것

2. 구매품질관리의 중요성

- 부품의 품질이 제품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1) 구매품질관리

(1) 외주품과 시장 구매품

- 시장구매품: 물품 생산자 스스로 설계, 제조하므로 공급자 물품이라고 함

- 외주품: 발주기업이 제시한 사양을 토대로 외주업체나 하정업체에서 제조/가공된 것 하청품목

(2) 외주품질관리의 정의

- 발주기업이 요구하는 품질의 급부를 생산하기 위해 발주기업과 외주공장이 협력해서 실행하는 품질관리 활동

(3) 외주 품질관리의 기능

- 발주기업 측에서 행하는 품질관리 활동

- 발주기업 측의 요구품질 달성 여부에 대한 수입검사활동

- 외주업체 측 품질관리 활동

- 외주업체 측에서 품질 보증을 위해 행하는 제품검사 활동

3. 구매 품질관리의 기본 방향

- 기획, 설계(양산준비) 단계에서 협력회사를 포함하여 제조(양산)에 이르는 일관된 품질보 증으로 원류에서 품질, 원가를 포함시킨다

4. 구매품의 품질보증 추진 체제

5. 구매 품질관리의 성공요인

1) 기업 풍토에 맞는 관리체제

- 외주공장 실태에 맞는 관리체제 만들 필요

2) 협력회사의 경영수준에 맞는 관리체제

3) 납기, 가격, 품질의 상반관리 체제

- ‘좋은 제품을 만들고, 납기에 맞춰 원가를 지키고, 불량품을 납입시키지 않는다라는 상 반, 모순된 과제를 자신감을 갖고 지시하는 것이 중요

4) 자료로 입증한다

5) 과학적 관리의 원칙에 따른다

6) 외주공장의 특질을 활용한다

- 중소기업: 빨리 대처 가능, 사장이 모든 걸 파악하고 있어 정보전달이 빠르고, 기동성 이 있는 등의 특성 활용

6. 구매품질관리의 추진 기법

1) 방침의 명시

2) 협력회사의 선정

- 요구품질을 만족할 만큼의 기술력, 관리력, 공정능력을 갖고 있는가를 검토

3) 역할 분담의 명확화

- 협력회사의 창구를 하나로 한다

4) 요구품질의 명확화

- 요구품질을 도면, 사양서와 품질 규격 등에 구체적으로 명시

5) 불량의 대책 조치

(1) 대책 조치의 요구

(2) 불량 연락회의의 실시

(3) 만성 불량의 지도

6) 품질의식의 동기부여

7) 외주공장의 육성지도

8) 협력회사의 평가

- 앞으로 수입검사는 무검사로 납입하는 방향으로 진행

→ 협력회사에 품질보증을 행하게 하기위해, 품질관리 체제를 평가하거나 검사체제의 평 가를 행하는 것에 의해 수입검사를 생략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

7. 수입검사의 진행방법

1) 수입검사의 목적

(1) 받아들이는 외주품의 품질을 후 공정에 보증

(2) 납입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는 수속

(3) 납입자에게 좋은 제품을 납입하려는 의욕을 고취

(4) 검사자료 제공, 외주공장의 선정, 육성, 지도에 이용

2) 수입검사의 종류와 방법

(1) 반입검사

- 발주 시 가져와서 수입검사 실시

(2) 출장검사

- 발주처의 검사원이 출장

(3) 발취검사

- 샘플을 발췌하고 그 결과에서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결정

(4) 전수검사

- 검사로트의 전수에 대해서

(5) Check검사

- 로트에 첨부된 검사 성적서를 확인하고 로트의 합격여부 판정

(6) 무검사

- 외주공장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품질관리 실시사항을 감사하고 그 결과가 좋으면 무 검사로 받아들이는 방법

3) 수입검사의 요점

(1) 수입검사원의 교육

(2) 검사 정도의 조정

- 과거 수입검사 성적이 양호한 외주공장에 대해서 검사를 유연하게 하고, 나쁜 공장에 엄격하게 함

(3) 재발 불량 방지대책의 촉진

(4) 수입검사의 효율화

- 28p

반응형
반응형

4. 코스트 테이블 작성과 활용

1. 코스트 테이블의 개요

- 목적: 합리적 원가 분석을 통한 자재비 절감과 최적 구매단가 결정 방법을 신속히 제공함 으로서 구배담당자에게는 원가절감의 목표가 되고, 협력회사는 현 상태를 향상시킬 척도로 활용하게 하는 것

- 유의사항: 1. 적용에 앞서 원가구매요소에 대해 분석하여 무조건적 적용 삼가

2. 모든 특수상황을 총 망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가 변화요일을 항상 검토 하는 선행관리 필요

※ 코스트 테이블은 부문 간의 공통언어이다

 

2. 코스트테이블 작성의 진행 방법

1. 원가 변동 요인의 발견

1) 제품분석과 원가 구성요소에서의 발견

2) 원가 변동요인을 체계화(변동요인 체계표)

- Cost Table의 체계

: 부품가격 제조원가 재료단가표

공법별 가공비 Table

공법별 금형비 Table

이익, 일반관리비 Table

부품별 Cost Table(Price Table)

2. 변동요인의 개별분석

1) 요인별로 요소치, 내용을 정량화(변동요인별 요소구성표)

- Cost고유기술관리기술의 결과이다!

2) 변동요인별로 원가와의 상관성 분석

3) 변동요인 간 상관성 및 변동요인과 원가와의 상관성 해석

4) 코스트 테이블 작성

(1) 원가 변동요인의 보완 수정(매년)

(2) 코스트 테이블의 작성

- 작성팀 구성

- 기초조사

- 표준작성

- 사내 표준 득결

※ 코스트 테이블의 모사의 기준(최소 원가 지향) 업체와 공유할 필요X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작성 업체의 개선유도, 기준에 맞는 업체선정을 위해

모사의 코스트 테이블 보다 업체의 것이 유리하다면 모사의 것은 보완되어야 함

이는 모사의 체질 강화에도 효과가 있음

업체와 협의 하에 코스트 테이블을 작성한다면 최소원가 지향이 어려울 것

여러 업체 조사 후 각 업체에서 가장 유리한 부분들만 추려 구축

(3) 코스트 테이블의 작성 프로세스

㉠ 계획의 입안

- Process별 업무내용을 명확히 하여 작성계획 입안

㉡ 기초지식의 습득

- 공법의 종류, 원리, 제조 공정을 명확히 함

㉢ 정보의 수집과 정리

- 조사항목표에 의거 정보를 수집/정리

㉣ 기술과 원가의 기준화

- 수집한 정보에 의한 기술과 원가의 관계 명확히 하여 기준화

㉤ 기준서의 정리와 PC

- 기준화한 내용 정리, 사용 용이를 위해 PC

5) 코스트 테이블 작성 절차

- p. 379

 

3. 코스트 테이블의 활용

-부품 원가 견적에 있어 누가해도 합리적일 수 있는 전사적인 기준

1. Press 부품

- 표준구매원가=재료비+가공비+표면처리비+일반관리비+허용이익+금형상각비+(포장비)

2. 사출성형부품

1) 원재료 포함 발주 시 원가계산

- 표준구매원가= 재료비+가공비+일반관리비+허용이익+(포장비)

2) 원재료 사급발주 시 원가계산

- 납품업체에서 착색 및 구입품을 사용할 경우

→ 재료비=착색비+구입부품비

∴ 표준구매원가=(재료비)+가공비+일반관리비+허용이익+포장비-(회수재료비)

3. 포장물(공판지 상자 및 내상 Box)

- 표준구매원가=표준단가(/)소요면적()

4. Ass'y

- 표준구매원가=기준부품단가+매입부품비(1+일반관리비율+허용이익)+(S/T임률)+포장비

1) 기준부품단가

- 당사거래가격, 1차 공급자로부터 구입하는 부품비

2) 매입부품비

- 1차 공급자가 2차로부터 구입하는 부품비

3) 일반관리비 및 허용이익

- 일반관리율: 10%, 허용이익: 5%

4) 표준작업시간

- Ass'y 조립작업 시 소요되는 표준작업시간

5) 임률

- 40/

반응형
반응형

(1) 감가상각비

① 감가상각비의 의의

- 대상물의 사용가능 기간동안 상각, 제품원가에 가산

- 고정자산의 내용년수 경과시의 처분가액을 취득가액에서 뺀 후 상각

- 법인세법에 규정된 잔존가액: 정율법에서만 취득가액의 5%또는 10%를 인정

② 감가상각 방법

) 정액법

- 감가상각 기간 중 상각액이 균일하게 되도록 상각

- 감가상각비()=취득가액/내용년수

) 정률법

- 상각률을 일정하게

- 상각률= 1-n√잔존가액/취득가액 , n=내용년수

- 사용 초기의 상각액이 제일 크고 점점 체감해 나가는 형식

- 감가상각액()=년초상각잔액상각률1/12

= 4100만원0.2541/12=867,833

) 생산량 비례법

- 광업에서 주로 사용, 고정자산 감가상각을 채굴예정량으로 나누어 생산단위당 상 가액 결정

- 금형, 지그와 같이 수명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생산단위당 할당

- 감가상각액=생산단위당 상가액실제생산량

=(구입가격-잔유가치)/채굴예정량해당사업년도 채굴량

예제] 500만원짜리 프레스금형, 수명 100만회

→ 제품 개당 금형비? 감가상각액=500만원/100만개= 5/

③ 감가상각법의 선택

- 대부분 정률법 선택: 이유- 초기에 상각액을 크게 잡아 투자회수율 높이고, 안전

빠른 기술혁신 속도에 대처용이

※ 원가계산에서는 정률법보다 정액법이 간편하고 합리적이다

(정률법은)변화가 없어도 원가가 절감

개선이 없어도 감소하는 상각액 만큼 원가가 감소하므로 비교분석을 위해서 재 계산/조정이 필요

→ 견적의 비교

구입년도에 따라 상각비, 견적가가 달라지면 혼란이 초래되므로 비교분석을 위 해서는 정액법이 편리

(2) 감가상각비의 계산방법

- 감가상각비의 내용: 기계, 설비/ 건물 및 부대설비/ 차량/ 비품

① 기계, 설비의 감가상각비

- 시간당 감가상각비 구한 후 작업시간에 곱하여 제품별로 배부

- 리스설비인 경우 월 리스료를 상각액으로 간주

- 감가상각비(시간)=년 감가상각비1/년 가동가능시간

=(취득가액-잔존가액)/내용년수1/년가동가능시간

가동시간과 비 가동시간으로 나누어 비 가동시간에 발생한 비용을 가동시간에 할증

∴ 감가상각비=작업시간시간당 감가상각액÷가동률

※설비별 감가상각비의 기준 설정: 미리 산출하여 테이블로 작성

② 건물의 상각비

- 각 공정 또는 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에 따라 배부

) 면적의 분류

- 작업면적=기계설비면적+공통할증면적

=기계설비면적÷(1-공통면적 비율)

) 면적 비율의 산출

- 각 기계설비별로 면적을 산출 후 전체 기계설비면적의 백분비로 환산

) 공통면적의 할증률(공통면적비율) 계산

- 공통면적비율=공통면적/(기계설비면적+공통면적)

) 기계설비별 건물 감가상각비의 계산

- ㎡당 건물감가상각비/시간=㎡당건축비/내용년수1/년가동시간

) 코스트 테이블의 작성 및 활용

) 사상공정의 건물 감가상각비 계산

- 기계설비별이 아닌 공수에 따른 기준 설정

) 기타 설비의 설비 감가상각비 계산

- 성격별로 비례시켜 할증(사무실일반관리, 식당복리후생비)

③ 차량감가상각비(정액법)

- 제품운반 차량 감가상각비: 운반비와 같은 성격으로 분류(수량비례비)

- 출퇴근 차량 감가상각비: 복리후생측면에서 계산(인원비례비)

④ 비품 및 기타 고정상각비

(3) 외주가공비의 계산

- 부품별, 공정별로 기록, 집계

(4) 인원비례비의 계산

① 연간 비용의 집계

② 직접인원에 배부

- 직접인원 60, 작업시간 11시간/, 총금액(연간) 44260

→ 시간당 비용= 44260/(60122011시간) = 279/시간

③ 제품별 비용계산

- 인원비례비=279/시간작업공수÷직접시간율

(5) 면적비례비의 계산(356p)

① 연간 비용의 집계

② 공정별 배분

③ 시간당 비용 환산

- 선반 4, 배부비용 1276

→ 시간당 비용=1276/(4122011시간)= 121/시간

④ 제품별 비용계산(선반공정에서 20공수 소요)

- 면적비례비=시간당비용작업공수÷직접시간율

=121/시간20÷직접시간율

(6) 매출액비례비

① 연간 비용의 집계

② 매출액 비례율 계산

- 년간 비용 총계 45750, 년 매출액 1250000

→ 매출액 비례율=년비용계/년매출액=45750/1250000= 0.0366

③ 제품별 비용 계산

- 매출액 비례비=제품가격매출액 비례율

=제품가격0.0366

(7) 수량비례비

① 연간비용의 집계(ex)27133)

- 수주건수에 따라 발생한다고 보는 비용

② 연간 수주건수의 집계

- 전년도 총 수주건수 집계(ex)200)

③ 제품별 비용계산

- 수량비례비=년간비용/년간수주건수=27133000/200=136000/

(8) 전력비

① 연간 전력비 집계(ex)800000)

② 공정별 전력 용량 계산

③ 설비별 시간당 전력비 환산(선반 2, 전력비율 0.276)

- 시간당 전력=(년간비용전력비율)/(설비대수년보유공수)

=(8000000.276)/(2122011시간)=42/시간

④ 제품별 비용계산(ex)25시간)

- 전력비=시간당전력비작업시간직접시간율

=4225직접시간율

(9) 설비가격비례비

① 연간비용집계(ex)2926)

② 공정별 설비 비율 산출

- 공정별 설비 가격이 전체 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율(밀링 5, 0.446)

③ 시간당 비용의 계산

- 공정별 비용(전체비용점유비율)을 보유공수로 나눔

- 시간당 비용=(년비용점유비율)/(설비대수보유공수)

=(29260.276)/(5122011시간)=61/MH

5) 일반관리비, 판매비이익률

(1) 일반관리: 판매비율의 대상범위

(2) 일반관리 비율과 제조원가와의 관계

① 종래의 방법

- 재료비+가공비 일반관리비, 판매비율

제조원가

② 구입원가기준 분석방법

- 재료비

가공비 일반관리비, 판매비율

※ 가공비라는 부가가치에 대해서만 인정

(3) 적정 일반관리 비율

- 종래와 달리 가공비에 대해서만 곱하는 것이므로 공지된 자료보다 높다

반응형
반응형

③ 일반 및 판매 관리직 인건비

- 재무회계에서는 판매 및 일반관리비로 분류

- 원가계산 시, 공통비로 하여 판매 및 일반관리비에 포함시키거나/ 별도의 항목으로 노무비계산 시 병행

) 매출액에 비례

- 비싼제품에 많이 할당

㉠ 관리직 인건비율 산출

- 관리직 인건비율=관리직인건비총액/매출액

㉡ 관리직 인건비 계산

- 관리직 인건비=관리직인건비율제품가격

㉢ 계약조건

- 수주단계에서 견적을 위한 계산 시, 즉 가격 확정이 안된 상태에서는 적용불가

) 간접 노무비에 비례

㉠ 관리직 인건비율 산출

- 관리직 인건비율=‘관리직인건비총액/간접노무비총액또는 관리비인건비총액/ 직접노무비총액

㉡ 관리직 인건비의 계산

- 관리직 인건비=직접노무비 또는 간접노무비 또는 직간접노무비관리직 인건비율

④ 활용 시 주의

- 작업공수에 비례시킬 수도 있지만 고정비의 성격을 띄고 있어 직접인원의 변동이 심할 때는 오차가 크다

3) 경비의 분류

(1) 경비의 범위

- 원가 구성 중 재료비와 노무비를 제외한 제반비용

- 감가상각비, 복리후생비, 전력비, 수도료 등 20~30항목

- 경비의 성격별로 각 제품에의 배부기준을 설정해 이에 의거 제품별 원가를 계산

※ 수선비: 정도가 현상유지에 그친 경우에 한함, 생산능력을 대폭 증가시키는 수선 및 새설비의 대체는 고정자산으로 처리

※ 소모품비: 보조재료로서 재료에 계산되는 것 제외

※ 외주가공비: 외주부품원가계산 시는 재료비로 계산하여 경비에서 제외

(2) 가공비의 분류방법(가공비=노무비+경비)

① 가공비의 분류(방법1)

- 가공비를 변동비와 고정비의 개념으로 분류, 다품종소량생산 기업에서 많이 채택

② 가공비의 분류(방법2)

- 경비의 분류, 금형같은 개별수주생산기업에서 이용(346p)

(3) 경비의 제품별 배부

① 외주가공비

② 인원비례비

- 인원이 증가하면 증가한다고 보는 비용

- 급여액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인원 증가율을 감안함

- 물가상승률을 감안, 법정복리비는 제외(퇴직금과 법정복리비는 노무비에 합산하였기 때문)

③ 면적비례비

- 면적이 증가하면 증가한다고 보는 비용, 공정별 면적에 따라 비용배부

) 건물의 구분

- 창고, 사무실, 부대시설 등은 작업장에 할증하여 계산

) 작업장 면적

- 본체면적: 기계설비 자체가 차지하는 면적

- 작업면적: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최소면적

- 공통할증면적: 작업장에서 확보되어야 하는 면적이지만 특정설비에 해당되지 않 는 면적, 기계설비 면적 비율에 따라 할증

④ 수량비례비

- 제품수량이 증가하면 증가한다고 보는 비용

- 10원인 제품이건 5원이건 균등하게 발생

⑤ 설비비례비

- 설비가격이 비싸면 증가한다고 보는 비용

⑥ 전력비

- 설비가동시간에 따라 발생, 설비에 따른 표시전력과 그것이 전체에 차지하는 점유 율로 계산

⑦ 매출액비례비

- 매출액이 증가하면 증가한다고 보는 비용, 비싼곳에 많이 배부

(4) 제품별 원가계산 시의 기준

- 모든 원가계산은 작업공수를 기준으로 계산

- 작업공수의 기준을 사람 또는 기계에 두는 기준은 작업일보에 달렸다

(5) 원가계산 시 요소별 개념차이

- 349p

(6)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의 배부

- 금형만을 다루는 경우, 즉 다음단계의 생산이 없이 금형만을 다루는 경우에만 제조경 비와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합해서 취급

- 일반적인 경우 경비는 제품(제조)경비만을 말한다

4) 경비의 계산방법

반응형
반응형

2. 계산 방법

1) 노무비

(1) 노무비의 구분

① 직접노무비: 특정제품의 제조를 위해 소비된 노동력에 대가, 생산직 사원의 급여

② 간접노무비: 공장관리직 종사자의 급여

③ 일반관리직 인건비

- 영업, 경리, 총무 등 일반관리를 위해 소비되는 노동력의 대가

(2) 노무비의 성격

① 임금

- 기본금 및 제수당, 기준 내 임금과 기준 외 임금으로 구성

② 상여금

③ 퇴직급여충당금

④ 법정복리비

⑤ 잡금

(3) 직접노무비의 계산

- ) 직접노무비=작업시간임률÷직접시간율

→ 제품별 작업시간에 시간당 직접공 노무비를 곱

(4) 임률

① 임률의 의의

- 지급되는 임금 총액을 총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계산

→ 단위 시간 당 발생되는 임금 총액

② 임률의 범위

- 본서 직접노무비에 대한 협의의 임률

③ 임률계산 방법

㉠ 기본급

㉡ 상여금: 기본급지급비율/1200

㉢ 잔업수당: 기본급1.5

㉣ 주차수당: 기본급1/6

㉤ 월차수당: 기본급1/25

㉥ 년차수당: 기본급년차일수/300

㉦ 퇴직금적립금: (~㉥의 합)퇴직금 적립비율

㉧ 법정복리비: (~㉥의 합)법정복리비율

※ 법정복리비는 회사부담금과 종업원 부담금으로 구분

→ 법정복리비율=회사부담비율

) 임률=(기본급+상여금+잔업수당+주차수당+월차수당)(1+퇴직금적립비율+ 법정복리비율작업시간

(5) 임률의 구분

① 시간에 따른 구분

- 임률 실제임률(과거임률)

예정임률

② 산출대상에 따른 구분

- 임률 개인임률 공장 전체 평균임률

평균임률 공정별 평균임률

(6) 임률의 산정

① 임률계수의 활용

- 각 기업별로 상여금과 평균 잔업시간 설정 후 기본급에 대한 임률의 비율을 산출 하여 적용

- 임률계수(기본급에 대한 임률의 비율)= 단위시간당 임률/단위시간당 기본급

② 공정별 평균 임률의 산정

- 공정별로 작업자 별(개인별) 임률 대신 평균임률 사용

③ 예정임률의 사용

- 원가계산 시 통상적으로 예정임률 사용

(7) 작업시간

① 작업일보의 활용

- 작업일보: 제품별로 소비된 작업시간 기록 제품별, 공정별로 집계해 원가계산에 활용

② 작업시간의 구분(339p)

③ 간접시간의 배부

- 간접시간을 직접시간에 할증 간접시간이 할증된 시간을 실제 작업시간으로 간주

④ 직접시간율의 계산

- 일정기간 동안 작업일보를 집계하여 직접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한 후 적용

- ) 직접시간율= 직접시간/(직접시간+간접시간+로스시간)

- 직접시간율: 실제 제품에 투입된 공수가 전체 투입공수에서 얼마나 차지하는 가를 알아보는 계수. 간접시간, 로스시간을 각 제품의 투입공수에 할증하기 위해 산출, 공정별로 산출

2) 누무비의 계산

(1) 직접노무비의 계산

※ 예제] 개당 작업시간 15, 선반공의 시간당 임률 1760, 직접시간율 0.81

가공된 부품의 불량률 5%

직접노무비는? ) 작업시간임률÷직접시간률

(151/60)1760÷0.81÷(1-0.005)= 572

(2) 간접노무비의 계산

① 직접공수에 비례

㉠ 간접노무비의 임률 선정

- 간접노무비율(간접임률)=일정기간중 간접노무비의 총계/일정기간 중 총투입직접공수

㉡ 간접노무비의 계산

- 간접노무비=작업공수간접노무비율(임률직접시간률

㉢ 임률표와 활용

ex) 임률: 직접=1760, 간접=433, =2193

→ 직간접노무비=2시간2193÷0.81=5415

② 직접노무비의 비례

- 일정기간 발생된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를 비례시켜 구함

㉠ 간접노무비율의 설정

- 간접노무비율=간접노무비의 총액/직접노무비의 총액

㉡ 간접노무비의 계산

- 간접노무비=직접노무비간접노무비율

반응형
반응형

3. 가공비 산정기법

1. 가공비(시간비용)의 계산

1) PCS개념 및 사고구성

(1) PCS개념

- 구입원가를 평가하는 척도, 표준설비, 금형, 치공구, 표준작업조건, 표준작업방법을 기준으로 표준시간, 표준 경비에서 가공비를 조정해 모델공장에서 일반관리비, 판매 비, 재료관리비 등을 율로 산출하고 이를 표준으로 이상적 구입가격을 산정하는 것

(2) PCS의 제이론

① 재료비에는 이익을 생각하지 않는다

② 재료의 스크랩은 따로 환원하여 생각한다

Net량에 Net부가량, 여유율을 가미해 표준사용량 설정 Net량과 표준재료사용량 의 차가 스크랩

③ 가공비는 꼭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다

→ 부가가공비(시간과 관계없이 발생)는 생산량관계비용으로 취급

④ 가공비율은 일정하지 않고, 작업에 따라 다르다

⑤ 시간은 실적, 느낌, 경험이 아닌 소요시간을 정한다

⑥ 시간과 공수는 다르다

- 표준시간: 물건의 입장에서 필요한 제작시간

→ 설비공통비: 표준시간에 비례해 발생

표준공수: 사람의 입장에서 필요한 제작시간

→ 노무 공통비: 표준공수에 비례하여 발생

⑦ 가공품에도 재료비처럼 관리를 생각

- 일반관리비, 판매비를 가공비에 부가

⑧ 가공비에는 이익을 생각

 

(3) PCS설계상의 사고

- 표준의 사고: 현재 구입선의 실태에 상관없이 있는 그대로를 기본으로 하는 것

구입하는 입장에서의 원가가치를 평가하려는 것

이렇게 하면 이 가격으로 만들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의 뒷받침

- 제조기술면에서의 표준: 이상상태를 전제, 현재 기술수준, 동향을 고려해 기술혁신에 맞는 가장 경제적 제조방법을 기준

(4) 기존 원가계산과의 차이

- . 325p

2) 가공시간의 구성과 설정방법

- ) 가공비=가공시간가공비율(Charge) 󰀳 나누기(분수)

(1) 가공시간=작업시간할증계수+준비작업시간÷작업Lot / 노동효율

※ 표준시간 설정을 위해 갖추어야할 조건

① 표준의 방법과 설비로

② 표준적 관리상태 하에서

③ 생리적으로 유해한 영향 없이

④ 요구되는 숙련도와 적성을 갖춘 작업자가

⑤ 정상적이라 인정되는 작업속도로, 단위작업량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 표준시간

- 표준작업조건, 방법 하에 표준의 신속함으로 작업할 때, 제품 1개를 만드는데 요하는 시간

) 할증계수

- 정미작업시간과 일반여유율 외에 불가피한 시간을 부가하기 위한 보정률(여유), 작 업시간에 대한 비율로 표시

- Group Allowance: Group내 작업자가 일을 분담하는 경우, 작업자 간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지연을 보상하는 계수

- 기계간섭 Allowance: 1인 작업자가 동시에 2대 이상 기계를 담당하는 경우

- 수율 Allowance: 불량품 제작을 위해 손실하는 시간 보상

- Running Allowance: 기존 작업이 변할 때, 평상 base로 돌아올 때까지 기간의 생 산량에 대한 보상

- Lot Allowance: 최초의 1개로 여분의 시간이 걸린 것이 소 Lot의 경우 크게 영 향 이 지연을 보상

ILO여유율

- 인적 여유와 피로여유에 대한 제정 (328p)

) 노동효율

- 노동효율=작업능률유효실동률

제품생산량시간 실동시간 = 제품생산량시간

실동시간 총 취업시간 총 취업시간

※ 제품생산량시간=표준시간생산 수

(2) 표준가공시간의 설정방법

- 표준자료법: 시간합성에 의해 표준시간 설정

- 실적자료법: 과거 실적치

- 시간측정법: 스톱웟치법

- 워크샘플링: 순간관측법, 순간순간 관측을 무작위로 계속 실시, 작업비작업 구분

- 필름분석법: 필름으로 작업상태 촬영, 필름의 장면 수에 의해 시간 설정

- PTS: 기정시간 합성법, 동작요소마다 시간설정, 타임테이블로부터 시간을 찾아 합 계. 스톱워치를 사용안하고, 동작 표준시간을 설정한 WF/ MTM법에 의하는 것

3) 가공비율(charge)의 계산

- 331p

(1) 가공비율에 차지하는 각 요인의 영향

(2) 가공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사고방법

- 소요시간의 수준, 구입처를 지도, 관리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정도/범위를 결정

- 큰 비용에 중점

(3) Cost Center의 설정

- Cost Center: 가공비율을 설정하는 원가부문

- 명확히 다른 작업/수준에 포함된 경우 분리해서 Cost Center를 설정

반응형
반응형

3. 표준구매 원가의 산정과 체크포인트

1. 원가 기준의 설정

1. 원가기준의 설정

- 특수한 가겨변동 요인

① 발주측이 구입처를 컨트롤 할 수 없는 경우

② 특허, 실용신안의 경우

③ 제품이 판매측 주도인 경우

- (일반적) 가격변동요인

① 발주수량, 거래액

② 지불조건

1) 매매기준가격

- 실제 구입가격은 계약량, 발주량에 비례하지X, 매매기준가가 있어도 실제 구입가는 편 차가 큰 것이 현실

2) 시세

- 조건이 같아도 그 견적에 큰 차이가 있다

3) 경험

- 경험에 의한 견적 보다는 기능적 원가가치를 고려해서 가격을 결정해야 함

→ 원가기준: 기능적 원가가치에 따라 적정구입원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1) 구매가격과 구매부문의 역할

- 외주단가의 정확한 견적과, 그것이 어느정도의 내용으로 구성됐는가

(2) 종래 원가 견적 상 문제점과 그 바른 자세

- 바른 원가의식의 필요성

- 부가가치보다 기능의 구입 필요

① 발생한 원가는 필요한 원가는 아니다

② 실제의 공정은 반드시 필요한 공정은 아니다

③ 설계규정은 꼭 필요한 기능은 아니다

- 종래 원가견적, 평가의 문제점

① 가공비는 반드시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다

② 가공비율은 반드시 일정하지 않다

③ 실적은 다음의 목표에는 사용할 수 없다

④ 과거 가격으로 현재는 살 수 없다

⑤ 간접부문의 서비스는 일률적이지 않다

 

2. 재료비의 구분과 산정기법

1. 재료비 분석

1) 재료비의 의의

- 재료비=순수재료비+재료관리비+재료관리에 대한 적정이윤

2) 재료비 산정의 필요성(308p)

3) 재료비의 구분

(1) 기능별 구분

① 원재료비

② 구입부품비

③ 부재료비- 간접/보조적으로 사용되나, 최종제품의 구성부품이 되지 않음

④ 소모공구비

(2) 제품과의 관련에 의한 구분

① 직접재료비: 제품 생산에 직접 사용. 원재료, 구입부품비(직접 또는 간접 재료비)

② 간접재료비: 다수제품에 공통 사용되어 특정제품에 대해 그 사용액을 직접 계산 할 수 없는 것. 부재료비, 소모공구비, 구입부품비의 일부

※ 재료가 소비되면 재료비

※ 원가계산 시 직접비와 간접비의 구분이 중요

4) 재료비의 구성

5) 재료비 산정 방법

(1) 재료비를 결정하는 요인

- 설계사양, 구입수량, 재료 취득방법, 포장상태, 운반법, 거리, 지불조건, 구입조건, 검 사방법, 향 후 발주 예정량

(2) 재료비 산정 절차

- ) 재료비=표준재료사용량재료단가(1+재료관리비율)-(Scrap매각단가회수율 회수중량)+폐기처리 비용

<재료비 산정의 절차>

) 재료단가를 구한다

- 취득단가: 과거의 구매원가, 미리사둔 재료 또는 가격이 안정된 경우(종전단가)

- 시가: 가격변동이 쉬운 재료의 경우

- 예정단가: 장래 변동을 예견한 일정기간의 기준가격

※ 시간, 예정단가 견적 시 물가자료를 참고 또는 2~3개사의 견적을 비교해 구함

※ 구입행위 전(견적, 설계 시) 원가계산: 시가법, 예정가격을 이용

수급현황, 가격변동 고려

) 표준재료 사용량

- ) 표준재료사용량=정미재료사용량(1+재료여유율)

- 정매재료사용량: 부품가공을 위해 필요한 자재의 양을 부품단위당으로 표시한 것

기회손실을 줄이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

- 표준재료사용량: 정미재료사용량에 로스를 가산한 양, 실제 소비되는 양

- 재료비에 포함되는 로스

① 구입가격로스: 자재 결품으로 인한 긴급구매, 재료가격인상 등으로 인해 표준 단가보다 비싸게 구입해 발생되는 손실비용

② 재료수율로스: 자재 결품으로 인해 유사자재 사용 시 표준소비량보다 추가로 발생되는 손실비용

③ 불량로스: 수정하여 타 제품 전환 시 일부만 손실비용으로 계산

- 자재손실의 발생

① 불량발생: 불량품 폐기 시 추가자재 투입

② 적합자재 결품: 유사자재 구입 후 가공 소요량 기준보다 많은 자재 투입

) 중량 계산

- ) 중량=체적밀도÷1,000,000

) 재료관리비 비율

- ) 재료관리비율=(연 재료관리비 총액÷연 재료구입비 총액)100

- 재료 구입에서 사용까지의 관리비, 유지비, 금리 등

- 따로 구분해서 계산하지 않고, 가공비 계산 시 관련비용을 합산하여 계산

) 재료관리비에 대한 이익금

) 스크랩 매각비

- ) 회수중량(표준재료사용량-제품중량)Scrap회수율Scrap단가

) 재료비를 계산하여 구한다

- 자재산출 시 실제 필요량만이 아니라 로스, 불량발생률 감안

- 순수재료비에 이익 계산 안함, 재료관리비에만 이익을 계산

→ 재료자체에서가 아니라 이를 관리가공해서 부가가치가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

6) 재료비 결정 주요 요인 및 체크포인트

- 317p

7) 재료비 분석 사례연구 ★

- 318~320p

 

반응형
반응형

3. 견적가격의 산정

1. 견적가격의 산정방법

- 단독사용보다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

1) 실적법(전례비교법)

(1) 정의

- 과거 구입가의 실적치를 기준으로 동일품의 단가 산출

2) 타켓트법

(1) 정의

- 제품구성단위별로 구성비율을 기준으로 구입예정가격 산정

→ 최종제품의 판매가에서 역산하여 해당된 가격으로 산출

(2) 장점

- 부문단위의 가격산출 간단

- 예산가격을 달성하려는 도전자세 고취

(3) 단점

- 판매/ 수주가격에 의해 예산가격 변동, 구입선의 불신을 살 가능성 존재

- 구성비율적정화가 어렵고, 공정화 기대할 수 없음

- 예산 내에서 산다면 좋다는 안이한 생각

- 시장 조사비와 시간

3) 횡적 비교법

(1) 정의

- 대상 구입품의 공통품, 유사품을 과거 실적 중 선출 후 그 가격을 횡적비교해가며 예 정가격 산출

(2) 장점

- 유사품, 공통품에 관해 신속히 가격산출

- 구입가격의 산포 안정

- 유사/ 공통품 실적이 풍부한 경우 좋다

(3) 단점

- 원가의 진가를 모르는 추정치

- 원가의 변동요인 찾기 곤란

- 유사품이 아니면 산정 곤란

4) 경험에 의한 법

(1) 정의

- 경험 풍부한 자의 경험 근거

(2) 장점

- 단시간, 신속/ 절차 간단

(3) 단점

- 올바른 이론상 원가 파악법X

- 주먹구구식 계산

- 신뢰성 결여

- 기술혁신시대 즉시 대응X

(4) 적용 시 주의점

- 가격 웨이트가 큰 것 피한다

5) 견적 합산법

(1) 정의

- 2개 이상 회사에서 견적서 받아 유리한 조건 쪽 가격을 기준으로 구입가격 산출

(2) 장점

- 불황 시 싼가격

- 견적 명세 중 싼것을 조합해 가장 경제적 견적가 산출

- 자사 기준치보다 절감 추구하는 경우 편리

- 수속 간단

(3) 단점

- 담합

- 견적에 많은 시간이 들고, 구매관리비가 많이 든다

- 호황 시 비쌀 위험

- 구입 예정선을 잘못 고르면, 비싼 것들 중에 선정

- 원가 구성내용 파악 어려움

6) 시장 가격법

(1) 정의

- 시장가격을 베이스로 산출

(2) 장점

- 가격표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3) 단점

- 실구입가격은 시간적 가격차가 상당히 있다

7) 제조업체 가격법

(1) 정의

- ‘제조업체 규격품의 가격을 제조업체 독자적으로 설정, 제시

(2) 장점

- 산출이 간단

(3) 단점

- 제조업체에 따라 차이

- 적극적 가격협상 소홀

- 업체별 가격 폭이 크다

- 제조업체 가격표에 좌우됨

8) 원가가치법

(1) 정의

- 가격은 나중에 정하고, 작업완료 후 실적치를 갖고 구입가 결정

(2) 장점

- 쌍방의 위험 최소

- 단납기품에 유리

(3) 단점

- 상대의 부가가치 기준으로 산정 가격 올라감

- 가격산정의 우위에 서기 어려움

(4) 적용범위

- 단납기, 특수한 시작품, 공동개발품, 신기술에 도전

 

9) PCS(구입원가 기준)

(1) 정의

- Purchasing Cost Standard. 사는 입장에서 이론적, 과학적으로 표준적인 수준에 근 거해 산정

(2) 장점

- 가장 이상적인 가격을 사전에 산출

- 적정원가 산출

- 표준척도를 주어 가격산정오차 없앰

- 원가 구성이 이론, 과학적이어서 신뢰성, 설득력

- 구입선의 견적 오차와 개선해야 할 요소, 표준 저적 가능

(3) 단점

- 많은 시간, 비용

- 시간 테이블 필요

- 가공비는 매년 메인터넌스가 필요

- 호황 시 구입선에 선택권이 있을 경우 비싸질 위험

(4) 적용범위

- 자사 도면, 사양에 의한 부품, 제품

(5) 적용 시 주의점

- PCS 이론 도입의 전문교육 필요

2. 가격결정기준표(Price Table)

1) 원가 변동영역의 요인과 내용

(1) 설계면

- 기능의 수, 방식의 종류, 조건의 종류, 사양

(2) 구매면

- 발주납기누적Lot, 지불조건, 발주방식, 포장조건, 구입선, 구입루트, 운송조건

(3) 제조면

- 공법, 공정도, 생산방식, 수율, 불량률

2) 시장가격 변동 영역의 요인과 내용

(1) 단가결정, 계약 시의 일자, 담당, 직위

(2) 경기동향면

(3) 시장동향면

3) 가격결정방법

- 300p

4)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술수준, 납입조건, 거래조건, 시장동향, 조업도, 기타

반응형
반응형

2. 구매가격의 결정

1. 가격산정과 가격에 관한 기초지식

1. 가격산정의 중요성과 문제점

1) 고객지향적 자재활동의 필요성

- ‘만들면 팔린다 어떻게 파는가 제조업체가 시장을 창출한다의 시대로 변화

제조업체가 재료구입에 대한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이익을 창출해가는 방향으로의 가격결정 필요

2) 자동화에 따라 높아지는 재료비 비중

- 제조 공정의 합리화는 제조원가에서 절감의 여지가 적어진다는 것 의미

→ 이는 원가 결정에 있어서 재료비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 의미

2. 가격에 관한 기초적 지식

1) 가격 산정의 문제점

(1) 객관적 기준 존재X

(2) 구매자/수주자 측의 의견일치가 안된 상태에서 복잡한 요인들이 합쳐져 결정됨

(3) 구체적 숫자로 평가가 어려운 것들의 영향이 크다

(4) 사는측/파는측의 이해관계 일치가 어렵다

※ 구매자 입장에서의 Cost 기준 작성 필요

2) 가격 결정시 검토사항

(1) 기본사항

- 수량, 사양, 납기, 대금지불 방법, 품질, 재료가격, 시장가격 동향 등을 고려해 제조 원가에 일반관리비, 이윤 등이 포함된 가격으로 협의 하에 결정

(2) 구매가격 변동요인

- 구매 대상 품목: 원재료, 제조업체 전문품, 규격품, 사양품

※ 사양품은 도면이 구매자측으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쉽게 원가결정, 관리 가능

- (시장)가격 영역에 의한 가격결정: 원재료, 제조업체 전문품

- 원가영역에 의한 가격결정: 규격품, 사양품

※ 시장가격영역: 기술수준, 경기동향, 정치상황, 수요공급

※ 원가영역: 설계, 구매, 제조 측면에 의해 결정

(3) 구매가격의 구성요소

- 구매가격: 구매 원가에서 구매비용을 뺀 직접비, 개별적직접적으로 계산, 원가의 구 성요소

① 재료비

- 제품의 제조/판매의 목적으로 외부로부터 구매한 물품 또는 서비스

- 자공정 내에서 제조한 물품을 소비함에 따라 발생하는 원가요소

→ 소비: 물품을 한 용도에 사용해서 재차 타용도에 사용이 불가능해진 상태

- 재료비의 분류

) 제품과의 관련에 따른 분류

- 직접/ 간접 재료비

) 기능별 분류

- 주요재료, 구매부품, 보조재료, 소모공구/기구비품

② 노무비

- 재료비: 물적원가, 노무비: 인적원가

- 직접 노무비 임금/ 부대인건비(상여, 복리비, 퇴직수당 등)

③ 경비 또는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 경비: 원가요소 중 재료비, 노무비를 뺀 나머지

→ 특징: 기간에 비례하는 것이 많고, 대부분이 간접비

- 형태별 분류: 급료, 전력료, 통신비, 보험료, 감가상각비 등

- 기능별 분류: 광고선전, 운송, 판매조사, 접대교제비 등

- 고정비/ 변동비

- 통제가능/ 불가능비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의 계산: 비목별 계산 부문별 계산 제품별 계산

 

2. 가격결정 절차와 가격검토 방법

1. 가격 결정절차: 283p

2. 가격결정 단계별 중요 포인트

1) 발주 예상업체 선정

- T.Q.R.D.C사상에 입각, 구매예상업체 선정

Technology, Quality, Response, Delivery, Cost

2) 경적의뢰

- 견적의뢰 시 거래조건 등으로 인한 트러블 방지를 위해 사전에 기본사항 제시

3. 가격검토

- 자사 Cost Table을 참조하여 표준구매원가 검토(사양부품류)

4. 가격절충 및 결정

- 품질/ 납기의 사항은 확실히 확인가능, 가격은 불가능

→ 사는 입장에서의 가격기준을 작성하여 유지 필요

5. 견적의뢰 방법과 정비조건

- 구입/외주해야 할 물품 확인 발주선(거래선) 후보군 선정 발주선 선정을 위해 견적 의뢰/ 견적서 제출

6. 구입가격의 구성(회계 상의 원가계산)

1) 제조원가의 내용(285p)

2) 판매가격의 구성

- 판매가격=총원가+이익

- 총원가=제조원가+판매비+일반관리비

- 제조원가=직접원가+제조간접비

- 직접원가=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직접경비

3) 구매가격의 구성

(1) 구매가격의 구성(288p)

(2) 표준구매가격의 구성과 계산방법

- 표준구매가격=재료비+가공비+운임

반응형
반응형

3. 원가의 이해

1. 업종별 경영활동과 원가

1) 유통업

- 외부 구입 상품에 이익을 가산해 판매

- 경영활동: 구매활동, 판매활동

(1) 매입원가

- 제조업의 제조원가에 해당, 원가의 대부분 차지

- 부가가치를 붙일 기회가 없어서 매입원가에 의해 이윤의 폭 결정

(2) 판매비

- 판매활동에 따르는 모든 비용, 관리비를 합쳐 판매비와 관리비

2) 서비스업

- 인건비가 주요원가

3) 제조업

- 원가계산을 위해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를 특정제품과 관련시키는 배부 과정필요

- 재공품계정이 가장 중요한 계정

2. 제조업의 경영활동과 원가

1) 구매과정

2) 제조과정

3) 판매과정

3. 원가의 흐름에 따른 원가의 구성

1) 직접제조원가(주원가 또는 기초원가)

-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직접경비의 합

2) 제조원가(제품원가 또는 제품제조원가)

- 제품제조를 위해 소비된 모든 원가요소를 포함

- 제조원가= 직접제조원가+제조간접비

3) 총원가

- 제품이 제조되어 판매 가능상태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원가요소

- 총원가= 제조원가+판매비와 일반관리비

4) 판매가격

-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

- 판매가격=총원가+판매이익

 

4. 원가계산의 일반

1. 원가계산의 의의

1) 의의

- 대차대조표 상 재고자산 가액 결정, 손익계산서 상 매출원가 결정에 필요한 자료 제공, 관리직 의사결정(예산설정/통제, 가격결정 등)에 필요한 원가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회 계분야

2) 원가계산의 목적

(1) 재무제표 작성의 목적

- 대차대조표: 재고자산 원가계산에 의해 구해짐

- 손익계산서: 처음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서 매출 총이익을 나타냄

→ 매출원가의 항목인 제품제조원가는 제품제조원가 명세서의 원가계산에 의함

(2) 가격 결정 목적

(3) 원가관리 목적

- 원가관리: 원가의 표준/견적 설정 실제원가 기록 표준과 비교 차이의 원인분석

자료를 각 관리자에게 보고 원가의 능률을 높이기 위한 조치

※ 표준원가 달성 뿐 아니라 표준 자체를 끌어내리는 원가절감 필요

(4) 예산관리 목적

(5) 경영의 기본계획 수립목적

- 통상적 원가 대신, 특수원가분석을 위하여 원가자료 활용

3. 원가 계산의 원칙

1) 진실성의 원칙

2) 객관성의 원칙

3) 일관성의 원칙

- 비교가능한 방법

4) 직접부과의 원칙

- 계산 대상에 직접 부과

5) 관련성의 원칙

6) 중요성의 원칙

7) 예외 관리의 원칙

- 업적표준과 비교해 그 차이가 표시되도록 작성(원가계산서)

8) 원가 보고의 원칙

9) 원가 수익 대응의 원칙

- 생산품 1단위에 등 투자액을 그 수익에 대응

10) 간접비 배부기준의 선택에 관한 원칙

- 간접비 배부는 그 간접비를 발생시킨 활동과 관련성을 가지는 것이어야 함

4. 원가계산의 절차

1) 원가계산의 단계

① 어떤 원가가 얼마나 들었나? 요소별(비목) 계산

② 어떤 장소에서 얼마의 원가가 들었나? 부문별 계산

③ 어떤 제품에 얼마의 원가가 들었나? 제품별 계산

∴ 생산활동에 있어서 소비된 재화/용역을 제품단위로 집계하는 계산절차

감가상각비, 급여, 소모품비 등 간접비는 제품에 직접배부 불가능 적당한 방법에 의해 배부

(1) 요소(비목)별 원가계산

- 생산부문에서의 모든 원가를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간접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 직접재료비, 노무비, 경비는 제품에 직접배부, 간접재료노무경비는 일 정기준에 의해 배부

(2) 부문별 원가계산

- 생산 이외 부문(수선부, 전력부, 식당부 등)에서의 원가 제조간접비

- 총제조간접비= 생산부문 자체 발생+각 보조부문에서 생산부문으로 배부된 원가

(3) 제품별 원가계산

- 직접비 제품에 직접배부, 간접비는 기준에 의해 배부

2) 구체적 원가계산 절차

(1) 원가의 흐름과 원가계산

- 유통업계정 이외의 제조업계정: 원재료, 재공품, 제품계정

- 아직 제조과정에 있는 원가는 재공품계정에 기록

모든 제조원가는 재공품계정에 집계 당기에 완성된 제품의 원가는 제품계정으로 대체

 

(2) 구체적 원가계산 절차

① 당기총제조원가: 당기 제조과정에 투입된 모든 제조원가

) 당기총제조원가=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 직접재료비: 특정제품생산을 위해 당기제조과정에 투입된 재료비

) 직접재료비=기초원재료재고액+당기원재료매입액-기말원재료재고액

- 직접노무비: 생산직 근로자의 임금, 기말까지의 미지급임금 포함

② 당기제품제조원가: 당기에 완성한 제품의 제조원가

) 당기제품제조원가=기초재공품제고액+당기총제조원가-기말제공품재고액

③ 매출원가: 당기에 판매한 제품의 원가

) 매출원가=기초제품재고액+당기제품제조원가-기말제품재고액

3) 원가계산과 재무제표작성

① 수정 전 시산표 작성

② 기말 수정분개

③ 수정 후 시산표 작성

④ 이를 토대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작성

※ 유통업과의 차이점: 기말 수정분개에 원가계산 분개 추가, 제조원가 명세서 작성

(1) 손익계산서

- 영업년도의 영업활동 결과인 수익과 비용, 이익을 하나의 표에 정리한 것

- 비용

① 매출원가: 제조업-제조원가, 판매업-매입원가, 건설업-공사원가

② 판매비와 관리비

③ 영업외 비용: 이자, 외환차손 등 자금운용 시 발생비용

④ 특별손실: 도난, 화재 등 일시적 불규칙적 손실, 손실을 메꾸기 위한 여분의 자금

(2) 대차대조표

- 대차대조표의 원가가 복잡한 이유

① 비용보다 자산 항목에 더 큰 비중

② 제조업과 판매업의 다른 원가계산 구조

- 어음 할인 시의 수수료, 지급이자, 감가상각비 등 원가로 처리

- ‘받을어음’: 원가 자체는 아니지만 원가의 의미를 지님

- 반제품재공품 생산완료 전 결산 시 그 비용에 대한 내용: 제조원가명세서

- 제조원가명세서: 일 회계연도 중에 제조된 제품의 원가를 나타내는 것(매출원가, 즉 제조원가의 내역) 제조원가명세서의 당기제품제조원가’= 손익계 산서의 매출원가

※ 매출 총이익= 매출액-매출원가

※ 영업이익= 매출 총이익-판매비와 일반관리비

5. 구매부문에 있어서의 원가계산의 목적

1) 구입가격 경정 시 근거자료

2) 원가계산에 의한 표준 cost를 산출하여 현행가격과 비교해 거래선의 개선점을 찾기 위해서

3) 싼 물품, 좋은 거래선을 찾기위한 자료

4) 수주활동에 도움이 되는 자료 제공

※ 합리적 원가절감 추구

→ 거래선의 원가를 감소시켜 이익을 유지하며 Cost-Down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