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6. 구매 자재관리기법

l 가치 분석(VA)의 내용

- 가치공학

- 가치분석

- 가치조사

- 가치관리

- 구매기술

 

l 가치 - 물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품질, 주어진 기능에 대하여 지금되는 대가 V = Q or F/P(c)

 

l 가치를 크게 나누어보면

- 사용가치

- 존중가치

- Cost 가치

- 교환가치

 

l 품질은 다음 3가지를 고려해 선택하여야 한다

- 입수가능성

- 적합성

- COST

 

l VA에의 과학적 접근

물품의 선택-> 기능의 연구 -> Cost 조사 -> 대체품의 연구 -> Cost의 비교

 

l MRP System의 구성기능

- 우선순위 계획

- 생산능력 계획

- 생산능력 조정

- 우선순위 조정

 

l MRP의 구성요소

- MPS

- Item Code No.

- B/M

- 재고 File

- 인식 가능한 재고

- 사용 가능한 재고

- Lead Time

- 불출과 사용의 자유

- 품목의 독립적 취급

 

l MRP ll

사업계획 -> 판매계획 -> 경영계획 -> 자원 OK -> 주생산계획(MPS) -> 자재소요계획(MRP) -> 능력 계획 -> 계획 OK -> 공정관리 -> 구매 -> 회계

 

l CIM의 도입배경

- 고객욕구의 다양화

- 제품 라이프 사이클의 단축

- 치열한 기업경쟁

- 종합적 의사결정에의 정보 필요

- 인건비 상승 및 노사분규

 

l CIM의 구상도

- GT

- CAD

- Robotics

- CAM 및 제반 CNC

- AMHS

- MPCS

 

l BRP의 도입 효과

- 비 부가가치적인 업무의 해서

- 고객 지향적 측면의 조직 변경

- 불필요한 정보의 제거

- 중복업무의 간편화 추진

- 책임소재의 명확화

- 관리비용의 적극적인 절감

l ERP의 주요기능 분석

(1) 기능적 특성

- 업무통합 관리

- 표준 프로세스 제공

- 그룹웨어 연동

- 오픈 시스템

- 글로벌 업무 대응

- 경영정보시스템

- EDI 연계

 

(2) 기술적 특성

- Client/Server 시스템

- 4세대 언어 선택 및 지원

- 관계형 데이트베이스

- Module화 관리

l ERP 도입 시 주요 고려사항

- 투자비용 부문

- 컨설팅 소요비용 부문

- BPR 시행 여부

- 조직원의 정보시스템 활용수준

- 우리의 상거래 관행 및 세무규정

- 투자대비 활용도

- 유관산업계의 정보인프라 환경과의 보조

- ERP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인력 확보

 

l ERP 도입이 잘 안되는 이유

- 도입목적과 구축수단의 혼동

- ERP에 대한 지나친 기대

- 최고경양자의 관여가 불충분

- 업무개혁의 공감대형성 실패

- ERP 추진방법의 일관석 미확보

- ERP에 대한 충분한 검증 미실시

- ERP업체, 컨설턴트의 능력 부족

반응형
반응형

1. IT 혁명과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의 변천

 

l 기업가치의 평가 - 종업원, 고객, 주식가치, 사회공헌

l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 다이렉트 마케팅, 고객만족, 네트워크 마케팅, 데이터베이스

 

l 기업이 처해있는 비즈니스 환경의 4가지 요인 - 요소조건, 수요조건, 기업전략/경합관계, 관련산업/ 지원산업

 

l Value Chain이란 비즈니스의 흐름을 구성하는 각 요소와 그 요소들의 상호연결상태를 말한다.

 

l 마케팅 전략매스 마케팅 전략으로부터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그리고 ERP 시스템의 활용으로 발전하고 있다.

l ERP 시스템이란 생산정보, 자재정보, 구매정보, 판매정보, 회계정보, 기술정보 등을 통합관리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2. 구매 자재 관리의 의의

 

l 자재의 개념

광의 - 토지, 건물, 기계, 설비, 기타(차량, 운반구, 공기구, 비품)

협의 - 원자재, 부분품(저장품), 재고품, 제품(상품)

 

l 구매-자재관리의 체계도

구매관리 - 구매관리(협의), 외주관리, 협력회사관리

자재관리 - 소요관리, 재고관리, 저장관리, 분배관리, 물류관리

 

l 구매자재관리의 목표 - 경영에 필요한 자재를 효율적으로 공급관리

 

l 효율적인 관리는 합리적인 면에서 계속성경제성 두 가지로 고려된다.

 

l 구매-자재관리 업무의 필요 불가결한 기본업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계획(요구)-조달(협의)-보관(저장)

 

l 구매-자재관리의 기능

기본 기능 - 구매관리, 재고관리

부수 기능 -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3. 자재의 분류

- 재질에 의한 분류(종류별 분류)

-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용도별 분류)

- 원가계산에 의한 분류(원가 요소별 분류) - 주요자재, 보조자재, 부분품, 소모공구/가구비품

- 관리로 본 분류(관리 목적별 분류) - 상비자재, 주문자재

- 가공정도별 분류 - 소재, 부품, 반제품

- 입수방법별 분류 - 구입품, 사급품, 외주품

 

4. 구매 자재관리의 조직

l 조직의 기본 형태

- 계획-외주 분산형

- 계획-창고 분산형

- 계획-구매-창고 종합형

 

l 조직의 합리화

- 계획-실시-통제의 분리

- 감사기능의 강화

- 내부견제 제도의 채용

- 책임의 명확성

 

l 인사배치의 적정화 - 업무내용의 명확화, 인재의 적재적소 배치, 교육훈련을 통한 지식, 기능을 고도화

            

5. 구매 자재관리의 새로운 발전과 기대

 

l 구매-자재관리의 중요성

- 원가절감의 가장 중요한 요소

- 영업행위

- 현장업무에 대한 보완적인 기능보유

- 최종제품의 품질, 원가, 납기에 직접적인 영향

 

l Vlaue Leveling(VL) 4가지 방법 - VL TAG에 의한 방법, OA, 퍼스콤에 의한 VL, 분료회 조직에                                                         따른 방법, 타사제품군별 COST 비교법

l 구매선과의 공동CD분석

- CLSAA 1의 변경 : 가공단가

- CLSAA 2의 변경 : 손과 몸의 동작

- CLSAA 3의 변경 : 작업장

- CLSAA 4의 변경 : 공정, 작업순서

- CLSAA 5의 변경 : 납품방법

- CLSAA 6의 변경 : 내외작업 혹은 작업장

- CLSAA 7의 변경 : 제품설계

- CLSAA 8의 변경 : 원재료

 

l 기술 구매의 APPROACH

1) Technology Transfer에 따른 개발

㉠ 기존기술을 조합시킨 복합 집합화

㉡ 기전-체화 -> Mechatronics

㉢ 타분야에의 기술이행

a. 저분야에의 이행

b. 타시장의 이행

2) 창조적 자주기술의 개발

㉠ 첨단기술의 개발

㉡ 기초재료연구와 개발

㉢ 고기능소재

 

l 연구개발과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이 대응하는 데 필요한 3가지 Approach

- 신제품이나 개발품으로부터의 Approach

- Needs로부터의 Approach

- 제조품생산화 프로세스로부터의 Approach

 

l 연구개발과 신제품 생산화에 구매부문 3가지 Aproach를 구체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

- 전문업무의 조직화

- 체계적인 구매조사기능의 확립

- 구매기술자의 양성, Level-Up

 

l 체계적인 구매조사의 범위

- 구매업무의 계획과 구매방식의 개발, 개선

- 기술연락

- 신제품 생산관리 혹은 관련업무

- 가치분석

- 구매시장조사

 

l 품질 Up. Cost Down 동시 실현책 - 작업공적, 작업방법의 개선, 제경비의 절약, NC공작기계

 

l 자재관리의 개념과 현대화

1) Profit Center

             - Cost Down

             - 구매력 증대

             - 재고관리 강화

             - 저장 유지비 감소

             - 각 기능간 업무 소통의 개선

2) 기업 이익의 원천

3) 현금 개념화

4) 기업경영 주기능의 하나

 

l 구매자재관리의 합리화

- 업무효율에 의한 관리

           ) 원재료 회전률 - 출고량 ÷ 평균재고량

             ) 원재료 재고기간

             ) 재고자산의 조성비율

             ) 재고자산의 재고비율

 

- 생산에 의한 관리

             ) 구매 부문

              - 1인당 발주건수

              - 1인당 발주금액

              - 건당 발주금액

              - 불량통계(총건수, 불량률, 내용별)

 

             ) 창고부문

              - 1인당 입고건수

              - 1인당 출고건수

              - 1인당 재고품목수

              - 재고감손률

- 원가에 의한 관리

           ) 구입비 - 자재의 조달에서 발생하는 비용

             ) 재고관리비

              - 창고관리비

              - 금리

             ) 원가절감비율

반응형
반응형

7. 손익분기점 분석

1) 손익분기점의 개념

- 감량경영: 소수정예화에 의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제고

- 손인분기점: 매출과 비용이 같아지는 점, 손익이 제로가 되는 점

광의-원가, 조업도, 이익간의 상호관계 분석

- B.E.P: R-C=0, R=C, Income=0에서 기업 존립요건 R>C, R-C>0, Income>0

∴ 손익분기점 분석의 의의 기업존립의 최저점 도출

2) 고정비와 변동비

(1) 고정비: 조업도 관련범위 내에서 일정한 비용. TFC: 일정, UFC: 조업도에 반비례

(2) 변동비: 조업도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에 비례하는 비용.

TVC: 조업도에 비례, UVC: 일정

4) 손익분기점의 산출 방법

(1) R=C, PQ=VQ+FC

(2) 손익분기점의 매출 수량

- Q(P-C)=FC, Q=FC/(P-V)

(3) 손익분기점 매출액

- PQ=VQ+FC 양변을 PQ로 나누면 1=(VQ+FC)/PQ, 1-V/P=FC/PQ

PQ=FC/(1-V/P)

- 예제 ★★ 465p

5) 공헌이익, 변동비율, 공헌이익률의 관계

(1) 공헌이익=매출액-변동비=고정비+이익

(2) 공헌이익, 고정비, 이익의 상호관계

- 공헌이익>고정비 흑자

- 공헌이익=고정비 손익분기점

- 공헌이익<고정비 적자

(3) 공헌이익률, 변동비율의 관계

- ‘매출액-변동비=공헌이익에서 양변을 매출액으로 나누면

1-변동비율=공헌이익율

6) 손익분기점의 감도분석

(1) 판매가격, 변동비율, 고정비가 일정한 경우

① 일정한 매출액에서 손익을 산출하는 공식

- 손익=매출액(1-변동비율)-고정비

② 일정한 이익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매출액을 산출하는 공식

- 필요매출액=(고정비+목표이익)/(1-변동비율)

③ 일정한 매출액에서 발생하는 적자보전에 필요한 고정비 절감액

- 고정비 절감액=고정비-매출액(1-변동비율)

(2) 판매가격, 변동비율, 고정비가 변동하는 경우

① 판매가격이 변동하는 경우 손익분기점 산출 공식

- 손익분기점=고정비/{1-변동비/매출액(1±변화율)}

② 고정비가 변동할 경우 손익분기점 산출공식

- 손익분기점=(고정비±증감고정비)/(1-변동비/매출액)

=(고정비±증감고정비)/공헌이익율

③ 여러 항목이 변동하는 경우 필요매출액 산출공식

- 필요매출액=(현재고정비±증감고정비+목표이익)/{1-변동비/매출액(1±변화율)}

7) 도표에 의한 손기점 산출

- 이익도표, 손익분기 도표

8) 손익분기점 비율과 안전 한계율

(1) 손익분기점비율=손익분기점 매출액/매출액100%

(2) 판단기준: 손기점 비율<75% 불황저항력 높음

손기점 비율>85% 불황저항력 낮음

75%손기점비율85% 보통

(3) 안전 한계율=1-손기점 비율

(4) 판단기준: 안전한계율>25% 불황저항력 높음

안전한계율<15% 불황저항력 낮음

15%~25% 불황저항력 보통

9) 손익분기점 비율의 개선책

(1) 원재료비 절감

(2) 공헌이익률이 높은 제품에 중점을 둔 제품 구성의 개선

(3) 공헌이익률이 높은 신제품 개발

(4) 판매가격 인상

(5) 고정비 억제/ 매출액 증대

10) 바람직한 기업체질

(1) 고정비형: 고정비 많다 위험도 대, 공헌이익률 높다 수익력 대

(2) 변동비형: 고정비 적다 위험도 소, 변동비율 높다 수익력 소

(3) 바람직한 체질: 공헌이익률 높다 수익력 대, 고정비 적다 위험도 소

 

3. 기업 부실 유형 및 예방 전략

1. 비 재무 부실화 징후

2. 부실기업의 재무제표 상 특성

3. 부실기업의 유형별 특성

1) 자본 부족형 부실기업

(1) 절대적 자기자본 부족과 만성적 지금난 상태

(2) 회사 설립 시부터 자기자본이 부족하여 과도하게 타인자본에 의존함으로서 사소한 경 영환경 변화에도 적응하지 못하고 부실화되는 유형

2) 확장 파멸형 부실기업

(1) 무리한 기업확장과 제품개발에 실패

(2) 무리한 시설투자와 인수, 합병을 통한 기업 확장으로 경영에 무리를 가져와 부실화

3) 방만경영형 부실기업

(1) 경기불황 및 경쟁여건 악화로 부실화

(2) 경영자의 무능/ 경험부족으로 인한 무사안일 경영으로 부실화

4) 연쇄도산형 부실기업

(1) 자기능력을 초과해 부실기업을 인수, 관련기업 도산에 따른 채무보증 이행 및 관련기 업 채권의 회수불능으로 인한 자금압박으로 도산

(2) 관련기업 도산으로 부실채권/ 채무가 발생해 부실화

→ 한국적인 재벌 및 계열기업이 많은 나라에서 빈발

반응형
반응형

3. 활동성 분석

1) 자본회전율의 의의

(1) 기업에 투자도니 자본이 1년 간 매출액에 의해 몇 번 회수되는가를 규명하는 것

(2) 자본회전율=매출액/자본(기초+기말)/2

2) 자본회전 기간

(1) 자본이 1회전하는데 요하는 기간

(2) 자본회전기간=자본(기초+기말)/2/매출액365=1/자본회전율365

3) 자본회전율의 종류

- 총자본회전율=매출액/총자본(기초+기말)/2 총자본의 이용정도 판단

- 매출채권회전율=매출액/매출채권(기초+기말)/2 매출채권의 회수정도 판단

- 재고자산회전율=매출액/재고자산(기초+기말)/2 재고자산의 효율적 관리정도 판단

- 유형자산회전율=매출액/유형자산(기초+기말)/2 유형자산의 이용정도 판단

- 매입채무회전율=매출액/매입채구(기초+기말)/2 매입채무의 결제 기간 판단

※ 매출채권=받을어음+외상매출금+부도어음

매입채무=지금어음+외상매출금

※ 재고자산 과다보유 시 문제점

- 보관비, 관리비, 기회비용의 증대, 불량품/ 사장품 발생 우려 증대

※ 재고자산 과소보유 시 문제점

- 상품/ 제품 매진에 의한 불매

- 원재료 부족에 의한 생산라인 중단

- 거래처에 대한 서비스 저하

4. 건전성 분석

1) 건전성 분석의 의의

- 건전성: 장단기 지급능력, 장기적 지급능력-안전성, 단기적 지급능력-유동성

- 건전성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수지타산은 맞는데 현금이 모자라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

2) 실수 분석★

- 459p

3) 비율분석

- 재무지렛대효과: 호황기에 법인세 절감 효과가 있는 타인자본에 의존함으로서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 하는 것

5. 성장성 분석

1) 기간 비교의 중요성

- 경영분석은 최소 3~5년의 추세를 분석해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

→ 성장성 분석은 추세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비율

2) 추세 분석 방법

(1) 고정기준법

- 기준연도를 정하고 기준년 대비 비교년의 비율을 분석

(비교년의 금액/기준년금액-1)100%

(2) 이동기준법

- 직전년도 비교법, 비교년도 대비 직전년도의 비율 분석

- 물가 상승에 의한 비율의 왜곡 완화

(비교년 금액/직전년금액-1)100%

3) 비율분석

4) 성장성 분석의 판단 포인트

(1) 매출액 증가율 총자산증가율

(2) 매출액 증가율 경상이익 증가율

(3) 유형자산 증가율의 증가가 없는 유형자산 회전율의 증가는 사양산업여부에 판단이 필요

6. 생산성 분석

1) 생산성과 생산성분석의 중요성

- 기업활동의 성과/ 효율을 측정하고 개별생산요소의 기여도 및 성과배분의 합리성 여부 를 구명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영합리화의 척도이며 성과에 대한 배부기준

- 생산성: 투입요소에 대한 산출물의 효율성판단지표로서 수익성 향상과 생산성과의 적정 분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 생산제요소(K.L.T)의 유효이용도로서 자본, 노동, 기술생산성으로 대별

2) 노동생산성

(1) 1인당 부가가치가 중심적 표준

(2)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부가가치/종업원수=매출액/종업원수부가가치/매출액

(3) 부가가치율=부가가치/매출액

※ 부가가치율 향상 대책

① 원재료비/ 상품매입비 절감

② 제품구성 개선

③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④ 판매가격 인상

- 종업원 1인당 매출액=매출액/종업원수

3) 자본 생산성

(1) 투하자본 1원에 대한 부가가치가 중심적 표준

(2) 총자본투자효율=부가가치/총자본

= 부가가치/매출액매출액/총자본

= 부가가치율총자본 회전율

4) 부가가치의 개념

- 기업이 생산/ 판매를 통해 새롭게 창출한 가치

- 매출액=부가가치+외부구입가치

5) 부가가치의 계산방법

(1) 공제법

- 부가가치=매출액-외부구입가치

(2) 가산법

- 부가가치=경상이익+인건비+순금융비용+임차료+세금과 공과+감가상각비

반응형
반응형

5. 협력사 기업경영 분석 실무

1. 경영 분석의 개요

1. 경영 분석의 의의

- 경영분석: 기업활동 결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와 입수 가능한 비 회계적 정보에 의해 기 업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발견하며, 미래의 효율적 적응을 위한 대책을 수 립하는 일련의 활동

2. 경영 분석의 주체

1) 내부분석

- 경영자에 의한 경영관리 목적의 분석

2) 외부분석

- 주주에 의한 투자분석

- 채권자에 의한 신용분석

- 정부에 의한 세무분석

- 노조에 의한 임금협상을 위한 생산성 분석

- 공인회계사에 의한 회계감사를 위한 재무제표 분석

3) 내부분석과 외부분석의 차이

- 내부분석: 적시성, 무제한적 정보, 수시입수

- 외부분석: 정확성, 제한적 정보, 정기적 입수

3. 경영 분석의 대상(분석 객체)

- 경제성, 건전성, 성장성, 생산성, 손익분기점

4. 경영분석 자료

1) 내부분석 자료

- 결산서, 영업보고서, 세무조정계산서, 내부통계자료/ 관리자료

2) 외부분석 자료

- 감사보고서, 신문에 공고되는 대차대조표, 금융감독원/ 증권거래소에 제출된 유가증권 신고서

3) 외부기관의 통계자료

-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 한국산업은행: 재무분석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상장회사총람

5. 분석방법

1) 실수분석

- 재무재표 상 실제 수치 분석

2) 비율 분석

(1) 구성비율 분석: 백분비 대차대조표, 백분비 손익계산서, 백분비 제조원가명세서

(2) 관계비율 분석: 대차대조표의 한 항목과 다른 항목의 비율, 손익계산서의 한 항목과 다른 항목의 비율, 대차대조표의 한 항목과 손익계산서의 한 항목의 비율

3) 비교분석

(1) 상호비교(경쟁사와의 비교)

(2) 표준비교(동업계 평균치와의 비교)

(3) 목표비교(목표, 예산수치와의 비교)

4) 추세분석

- 자사 과거 3~5년의 비율 추이 분석

6. 표준비율(비교분석 지표)

1) 동업타사의 수치, 동업계 평균 수치

2) 분석기업의 과거수치

3) 목표수치 또는 계산수치

7. 경영분석의 한계

1) 경영자 능력, 업력, 신용도, 기술력 등 비 계수적 요인도 중요

2) 판단지표 불명확

3) 회계수치는 기업의 개괄적 활동의 결과

※ 재무비율지표의 한계

- 과거자료 중심

- 일정 시점, 기간 중심

- 비율 상호 간 연결X, 종합적 결론 도출 곤란

- 기업회계기준 적용의 일관성 결여에 따른 기업 내 기간 별 비교 가능성 곤란, 동업계 타사와의 비교 곤란

 

2. 경영 분석의 지표

1. 경제성 분석

1) 경제성 분석의 의의

- 묵표달성도 ,즉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 총자본경상이익률이 대표적 비율

- 듀퐁사의 ROI 비율 분석 경제성 분석의 전형

2) 경제성 분석 비율의 구성

- 경제성=수익성활동성

- 총자본경상이익률=경상이익/총자본(기초+기말)/2

=경상이익/매출액매출액/총자본(기초+기말)/2

3) 경제성 비율 향상 방안

(1) 경상이익의 극대화

(2) 자산의 최소화

① 최저 필수현금과 예금의 보유

② 매출채권관리의 강화

③ 재고자산의 최소화

④ 무수익 투자자산 배제

⑤ 유형자산 투자의 효율화

Option 부 예금의 최소화

※ 감량 경영: 자산 축소 부채축소 이자감소 경상이익 증가

4) 경제성 비율의 종류

- 총자본경상이익률=경상이익/총자본(기초+기말)/2 기업전체 효과성 판단

- 경영자본영업이익률=영업이익/경영자본(기초+기말)/2 기업의 순수한 영업활동성과 판단

- 자기자본순이익률=당기순이익/자기자본(기초+기말)/2 투자자의 수익성 판단

- 납입자본 이익률= 당기순이익/자본금(기초+기말)/2 기업의 배당능력 판단

※ 경영자본=자산총계-투자자산-건설중인 자산

2. 수익성 분석

1) 수익성 분석의 의의

- 기업경영성과에 대한 분석, 재무제표 중 손익계산서의 분석이 중심

2) 실수 분석

- 손익계산서 상 실제 수치 분석, 개략적 문제점 파악에 활용

3) 비율분석

- 순금융비용=이자비용-이자수익

4) 비교분석

- 당기-전기 손익계산서를 비교 분석해 이익증감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

반응형
반응형

(1) 생산성의 저해요인

- 제품 설계에 의한 Loss: 제품설계의 미숙

- 제조방식에 의한 Loss: 방법 설계의 미숙

- 관리 Loss: 작업계획, 통제 불비에 의한 지연, 대기의 발생

- 제조 수행에 의한 Loss(퍼포먼스로스): 작업능력/ 노력 부족으로 인한 실수, 페이스 다운. 미묘한 Idle 발생

(2) 생산성 관리와 표준시간

- 생산성의 측정과 관리: ‘총합노동 효율이라는 지표 이용

(3) 생산성의 측정과 표준시간

① 가동률의 측정

- 가동률=실동공수/취업공수=(취업공수-가동Loss)/취업공수

② 작업능률의 측정

- 작업능률=표준생산량공수/실동공수=(표준시가-양품수)/(취업공수-가동Loss)

- 퍼포먼스 로스: 실적시간과 표준시간과의 비교에 의해서만 측정 가능

(4) 문제의 창출과 문제 해결의 수준

① 문제의 3가지 영역

- 일상의 문제(복원적인 문제): 표준유지를 우해 배제해야 할 요인

- 창출할 문제(혁신적인 문제): 표준수준 향상을 우해 배제해야 할 요인

→ 기회를 개발할 때 창출하는 문제

- 찾는 문제: 문제의 본질을 확실히 하고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

② 문제 해결의 수순(432p)

) 협력회사 생산성 향상 지도

- 문제해결 Flow에 의거 협력회사 실태 분석 후 Loss를 찾아 이를 없애기 위한 개 선활동 진행

) 가동 Loss 분석기법

- 워크 샘플링 작업일지

→ 가동분석 자료분석 설비가동일지

관측분석 연속가동분석

워크샘플링

4. 지도요원의 역할 및 육성

1) 지도요원의 역할 및 육성

(1) 지도요원의 역할

- 지도 협력회사: 체질 강화의 직접적 효과

모기업: 안정된 물품 공급받을 수 있는 기반 구축- 간접적 효과

∴ 지도= 협력회사-모기업 간 공존공영 실천

(2) 지도요원의 자세

(3) 지도요원 육성방향

) 지도요원 육성의 목적

- 협력회사를 체질 강한 회사로 육성하여 안정된 부품을 공급받도록 기반 마련하는 것

) 지도요원 육성 절차

① 지도요원의 선정 고려사항

- 전문지식, 연령 등 고려

② 지도요원의 육성

- 1단계: 지도요원의 기본자세 교육훈련

→ 경력 3년 이상 사원 선정

- 2단계: 협력회사 진단 및 제1단계 지도방법 훈련

협력회사 진단을 위한 IE의 분석 방법, 개선안을 작성, 적용시키기 위한 사항 훈련

5S 추진 방법, 작업분석, Lay-Out 분석 등 현장중심의 개선활동에 필요한 절 차, 기법 훈련

- 3단계: 전문분야별 전문지식 훈련

→ 고유기술, 관리기술 별 전문화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장기적 으로 지도요원 육성

(4) 지도요원의 평가 및 자격제도

) 지도요원의 평가

- 초기단계 양적인 평가, 전문분야별지도 질적인 평가

) 지도요원의 동기부여

) 지도요원의 자격제도

2) 향후 추진 방향

(1) 협력회사 관리방향

- 외주와 구매를 분리하여 생각

- 외주: 초기 환경조성지도에서부터 전반적 관리, 기술, 품질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지도 업무 수행

- 구매: 필요한 전문분야에 대해 지도, 경쟁에 의한 우수회사 부품 구입

(2) 협력회사의 구조 개선

- 현재 평행선 관리를 피라미드 식 또는 별도의 구조로 관리

(3) 협력사 평가 결과의 철저한 적용

- 평가는 적용의 여부가 평가 자체보다 중요

(4) 지도전개 방향

) 지도 대상별 전개 방법 명확화

- 육성방침에 따른 지도대상 설정

- 외주형태는 지도요원이 직접 현장에 투입

) 지도전개방향

- 지도효과의 배가를 위해 전문분야별 기술지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개선 연구회의 운영

) 업종 별 우수 협력회사 선정, 관리

) 협력회사 자주 품질보증체제 구축

반응형
반응형

(1) 5S의 개념

) 5S의 의미

- 정리: 필요한 것과 필요 없는 것 명확히 구분, 필요 없는 것 버림

- 정돈: 필요한 것을 쓰기 좋게 정돈, 누구든 알 수 있게 명시

- 청소

- 청결: 정리, 정돈, 청소의 3S 유지

- 습관화: 4개를 습관화

) 5S의 기본사고

- 생산활동의 기초

- Loss와 불량 사전 방지

- 전원참가, 실천 필수

- 넓은 활동공간 창출

- 품질 향상, 불량제로 달성

- 원가절감, 납기준수 가능

- 안전사고 방지, 고장 감소

- 인간관계 원만, 근무의욕 향상

- ‘작은 개선N = 큰 개선 성과

① 협력회사 NEEDS 조사: 협력사에서 요구하는 분야에 대해 우선 지도

② 현황조사: 수준을 냉철히 파악해 지도업무 기본자료로 활용

③ 개선팀 구성: 협력사 자체 개선팀 구성, 지도요원과 함께 개선 추진

100명 이내 업체에서는 사장을 팀장으로 추진

④ 개선활동 분위기 조성

(2) 5S의 기본목표

) 생산 Loss5S

- 생산 Loss: 사람의 Loss, 설비의 Loss, 자재의 Loss

) Loss의 방치와 5S

- 5S: 건물, 설비, 자재, 제품, 운반구, 사람, 작업 방법 등에 걸쳐 방치되고 있는 낭비를 제거하는 것

) 5S의 기본 목표

- 목표1] 효율높은 직장 만들기

① 단순한 깨끗이 아니라 낭비를 없애 효율을 높이는 것

② 현장 전체의 표시: 장소, 물건, 수량

③ 작업 표시

④ 사람이 일하는 방법

⑤ 설비의 표시

⑥ 현장 전체 분위기

- 목표2] 잠재하고 있는 Loss를 눈에 보이도록 한다

(3) 5S활동 항목별 개념

- 정리

- 정돈: 물품의 수량, 장소 정해놓고 표시

- 청결: 문제점을 한눈에 발견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

- 습관화: 회사규율, 규칙, 작업방법을 정해진 대로 준수하는 게 몸에 익어 무의식적으 로 지키는 것. 정리, 정돈, 청소, 청결의 습관화

(4) 5S의 전개방법

) 단계별 추진 내용

- 1단계: 준비단계

- 2단계: 정리단계

- 3단계: 정돈단계

- 4단계: 청소, 청결의 유지

- 5단계: 습관화

) 5S 추진 상 주요 포인트

① 단계별 추진 요령- 4.5 단계 병행하여 추진

② 단계별 추진상태의 진단 실시- 중점실시사항 구체적으로 정해 전개

③ 전원참가

④ 중점지도의 실시- 진행 늦은 그룹 중점적으로 추진팀에서 지도

⑤ 모델그룹 지정, 추진- 추진 시범 모델그룹 만들어 중점지도

⑥ 표창, 제안제도 등 실시

(5) 습관화의 방법

(6) 5S 관련 교육과 훈련의 실시

- 교육 의식의 전환 습관화

- 훈련 행동의 변화 습관화

) 불량 부문의 사진촬영 및 게시 방법

- 정점 촬영법: 개선 대상 부문을 동일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촬영, 개선 진척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제시, 관리

(7) 5S 단계별 체크 포인트

5) 생산성 향상의 추진방법

- 생산성: 산출량에 대한 투입량의 비

- 생산량을 자본으로 나누면 자본 생산성, 설비로 나누면 설비생산성, 노동으로 나누면 노동생산성

- 생산성=생산량/생산요소의투입량 노동생산성=생산량/노동량(시간)

- 부가가치 생산성: 생산량 보다는 창출한 가치가 어떤 것인가에 주목 손익활동에 직접 연결되어 판단에 편리

부가가치 생산성=부가가치액/노동량(시간)

반응형
반응형

2, 협력회사 지도, 육성

1. 협력회사 지도 조직

1) 협력회사 형태 별 분류 및 관리 조직

(1) 협력회사 형태 별 분류

) Ass'y생산업체(임가공업체)

- 성숙기 또는 쇠퇴기의 제품에 대한 완제품(OEM)/ 반제품 외주화

) 부품생산업체

(2) 외주관리의 조직 형태

- 외주관리조직, 외주지도조직

2) 협력회사 지도부문의 내부조직

(1) 협력회사의 지역별 구분

- 장점: 고정된 지도요원 배치, 외주업체 순회 용이

- 단점: 협력업체 업종 무시, 담당자의 폭넓은 지식 필요, 1차지도(일반적 환경지도) 단 계에서는 좋으나 전문분야별 지도 시 부족

(2) 협력회사의 업종별 구분

- 해당 업종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지도요원으로 구성

- 장점: 지도성과 큼, 지도요원 자질향상 측면에서 효과적

- 단점: 지역이 고려되지 않아 지도요원 출퇴근 문제 대두

(3) 지도요원의 전문기술 형태별 구분

- 협력회사 지도요원의 구성 형태가 가장 중요

- 상주지도 보다 순회지도가 유효

2. 협력회사의 생산형태별 분류 및 지도육성 방향

1) 협력회사의 생산형태별 분류 및 육성방향

(1) 생산 형태별 분류

- 완성품 전문업체: 모기업 설계사양에 근거, 완성된 제품 생산

- 부품가공업체(사양/ 준사양품): 조립, A/S품을 가공 조립하여 공급. 모기업 설계사양 에 바탕

- 전기부품업체(비사양품): 자공장 설계/ 사양에 의해 부품, 가공조립품을 공급

- 특수기술 전문업체

- 범용품 생산업체: 일반용품, 시장상품 생산

(2) 협력회사의 육성방향(재편성과 집약화)

- 협력회사 군을 재검토해 제1단계, 2단계로 분류

- 1단계: 양산화와 관리수준 향상을 꾀하여 전문화, 자립화 시키는 노력

- 2단계: 집약을 꾀하여 기술특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편성

- ASS'Y화 추진: 모기업측면- 품질불량, Loss 발생요인 감소로 원가절감

협력회사- 자립화의 기틀 마련

2) 관리방법 상의 분류 및 지도육성

(1) 관리방법 상의 분류

) 중점지도 대상업체

- 모기업 수준으로 레벨 업 시킬 업체

) 일반관리대상업체

- 일반적 관리기법을 통한 지도

→ 사양품/ 준사양품 생산업체 중 중점지도 대상에서 제외된 업체

) 기타 관리 대상 업체

- 순수 자체 능력으로 개선 추진이 가능한 대기업/ 원자재 업체, 특수전문업체 대상

- 인센티브, 페널티제를 강력 적용해 자체 개선을 추진토록 유도

(2) 지도육성 방향

) 기본 방향

- 중점지도 대상업체: 현장 중심의 집중지도 육성

- 일반관리 대상업체: 순회/ 간접 지도

- 기타관리 대상업체: 페널티제 적용

3) 협력회사 세부 지도 육성 방법

(1) Worst업체 관리방법

- 중점관리

(2) Worst 업체의 선정

- 공정품질/ 수입검사 품질불량업체 각 10개사 선정 전사측면에서 취합해 각 5개업 체 선정

(3) Worst업체 관리

- 개선대책 작성, 제출 지시, 대표자가 방문해 재발방지대책 설명토록 지시, 대책에 따 라 개선되었는지 실사를 통해 확인, 지도

(4) QI 목표관리

- QI(Quality Index): 협력회사 납입 부품의 품질 평가치

- QI실적= 납입업체 품질 실적/모기업 제시요구목표

- 추진방법

QI목표 설정: 모기업 연간 품질목표 설정 협력사별 QI목표설정 협력사 동의 얻어 확정

QI목표관리: QI 대비 실적을 월단위로 관리해 협력사에 실적 통보, 미달업체 중점지도

(5) 협력회사 출하검사 성적서 관리

- Lot에 출하검사 성적서 첨부해 출하품질 관리, 협력사 자체 품질보증 체제 구축 유도를 위해 실시

) 성적서 제출 및 관리

- 발주 시 성적서 첨부의무화 시킴(구매부서)

- 성적서 첨부해 검사 의뢰(자재관리부서)

(6) 현지검사제 및 인정검사제

- 현지검사제: 모기업 검사원이 협력사에 상주하며 검사 실시 후 모기업생산라인에 직 접 투입

- 인정검사제: 현지검사제 실시 후 자주 품질보증체제가 구축되면 현지검사원 역할을 협력사 인정검사원이 수행

- 추진 방향: 수입검사 중심 현장검사 중심 인정검사원에 의한 자체 검사

3. 협력회사 지도 방법

1) 협력회사 지도 개요

(1) 협력회사 지도 목적

- 협력사를 업종별 경쟁력 Top-Level 기업으로 육성, 확보

-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 향상

- 체질 강화에 의한 계속적 최적 Cost, 품질, 납기 확보를 유도

(2) 기본전략

- 동기생산체제의 기반 구축

- 생산라인을 동기화시켜 JIT 납입체제를 확립하고 자재 리드타임 최소화

- 1단계: 동기생산체제 기반 구축

2단계: 생산기술능력 고도화

3단계: 동기생산체제 확립

2) 협력회사 지도계획 수립

(1) 장 단기 협력사 지도방침 설정

(2) 연간 협력사 지도계획 수립

- 단기 방침에 의거, 당해년에 중점지도 할 대상업체 선정하여 기간 별 지도계획 수립

(3) 업체별 지도방향 설정

- 협력사를 방문해 개략적 현황 파악 후 현 수준을 측정하여 업체별 지도방향 결정

(4) 협력사 지원계획 수립

- 협력사 지도육성 방법

① 지도요원이 협력사에 직접 투입되어 지도

② 일반적 지도육성

3) 협력사 지도 절차

4) 5S활동 추진 방법 및 사례

반응형
반응형

4. 협력업체 관리 실무

1. 협력업체 관리 일반

1. 협력업체의 개념

- 협력회사: 생산활동에 있어 소요되는 자재, 용역, 설비 등을 제공하는 기업 총칭

→ 하청업체라는 종래 개념을 떠나서 상호협력단계의 유지를 바라는 현실적 필요에서 협력회사’, ‘협력업체

→ 모기업 생산공정의 일부로서 협력회사의 효율적 관리/ 활용이 모기업 경영의 필수불 가결한 요소

2. 협력회사의 정의 및 관리

1) 협력회사의 정의

(1) 광의의 정의

- 기업에 소요되는 물적자원 및 용역,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업

(2) 협의의 정의

- 부품공급기업

2) 협력회사 관리

(1) 협력회사 관리의 의미

- 경쟁 우위의 물적자원 확보를 위해 협력회사의 경쟁력 향상과 신규 거래선을 확보하 는 활동

(2) 협력회사 관리의 목적

- 상호 합리적 분업체제를 확립해 공동의 안정적 이윤 확보

(3) 협력회사의 중요성

- 부품의 경쟁력이 제품 경쟁력 결정의 근원이다

- 원가측면: 제품 구성의 60~70% 점유

- 품질측면: 제품 품질은 부품품질이 좌우

- 납기측면: 제품 개발 및 생산 L/T결정

- 기술측면: 핵심 부품의 제품 경쟁력 결정

3. 협력회사 선정 및 등록

- 협력회사 관리의 최초단계

1) 우량 협력회사의 조건

(1) 기업체질이 강할 것

(2) 품질향상/ 원가절감 의욕을 갖고 있을 것

(3) 경영자에게 기업집단의 일원이라는 의식 있을 것

2) 협력회사의 선정

(1) 기본 방향

- 신규 선정의 경우

① 모기업 원가절감에 기여 가능한 업체 발굴

② 기존 업체 중 능력/ 경쟁력이 미약한 업체와 교체 유도

③ 품질/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업체와 거래 유도

(2) 선정기준

3) 협력회사의 등록

(1) 등록 구분

① 정규등록: 영구거래 목적, 등록 취소사유 발생 시 취소

② 일시등록: 긴급한 필요에 따라 일시적 거래

③ 특정등록: 구입부품 특수성에 의거 대외 공인기관의 품질 승인을 근거로 제한적 제 품, 구입부품에 한하여 거래

(2) 등록절차

- 신규업체 검토 등록의뢰서 작성 접수/검토 업체 실사 실시 종합심사

등록확정(업체코드부여) 업체코드 통보

<사례연구> 376~390p

4. 협력회사 평가 및 결과의 내용

1) 평가 목적

① 협력회사 적부 판단

② 협력회사 지도육성을 위한 포인트 파악

③ 협력회사를 자극해 개선의욕 고취

④ 더욱 우수한 협력회사 발견

⑤ 선별해서 계열화에 편입

2) 평가내용

- 기본 평가항목: 품질, 가격, 납기/ 안정거래를 위해 경영현황 추가

→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 부여, 평가를 위한 세부항목 설정

→ 항목이 너무 세분화되고 복잡하면 형식에 그칠 우려

(1) 품질평가

(2) 가격평가

(3) 납기평가

(4) 경영현황 평가

- 협력도, 경영자의 자세

(5) 기타 평가항목

① 제조공정능력

② 설비/ 계측기 보유현황

③ 개선의지

④ 기술개발 능력

3) 평가방법

4) 결과의 활용

5. 협력회사 협의회 제도

1) 협력회사 협의회 제도의 개요

(1) 협의회 제도의 정의

- / 수급기업이 계열화 단계를 유지하며, 효과 극대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의 하나로 서의 모기업체 단위별 수급기업체 협의회

(2) 계열화의 정의

- 수주기업 확보를 위해 자금, 설비, 인적연결, 기술, 자재의 특별한 원조를 제공하며, 이를 자사 경영계획 속에 편입하여 수주를 전속화 하는 것

→ 계열화 된 중소기업은 수주 안정성은 확보하나 종속성이 강해짐

(3) 계열화의 필요성

) 모기업 측면

- 수급기업의 전문 기술, 특수설비 이용

- 대부분의 소요량이 적은 부품은 자체조달 보다 외주가 품질, 경제적 측면에서 합리적

- 경기 위축 시 생산설비투자 분산으로 위험부담 경감

- 수급기업체를 전문적 기술집약 업체로 육성

) 수급기업 측면

- 판매관련 업무량 감소 전문적 기술분야에 더욱 매진

- 판매관련 간접경비 절감 원가절감

- 상호보완단계 확립 사업영역 확대, 보호

- 판매수주를 위한 부품기업 간 경쟁 방지

- 수급기업 전문화 안정가동 기술개발 촉진 품질 향상

2) 협의회 제도 운영현황

(1) 운영형태

- 일본: 계열조직 중심

- 구미: 공개시장

- 미국: 외관적으로 공개시장, 일본-구미 식 중간 형태

- 한국: 외관적으로 수직계열화, 내용적으로 공개시장 형태

(2) 운영내용

- 원자재 공동구입, 협업단지 설치 등 공동사업 추진, 교육 연수/현장지도, 기술정보 등을 제공하는 사업 등으로 구성

- 상호 신뢰, 협조 분위기 조성, 체계적 지도, 지원에 따른 협력회사의 수준 향상 원가절감

6. 협력회사 제안제도

1) 제안제도의 개요

(1) 협력회사 제안제도의 시행목적

- 공존공영의 기틀 조성

(2) 제안활동의 범위

- 설계/소재변경

- 공정개선, 품질향상

- 부품 국산화

- 업무/ 제도 개선

- 기타 원가절감에 관한 사항

(3) 제안 업무 Flow(398p)

(4) 활성화 방안(제안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방법)

) 효과금액 배분 및 지급 방법

- 모기업 협력회사 간 40:60으로 배분

- 6개월 단위로 자재대금에 포함시켜 일괄지급

※ 외주관리- 자사 설계사양에 의한 부품제작, 가공 등을 협력사에 위탁해 가격, 납 기 등을 맞추기 위한 모든 수단의 체계

→ 구매: 물품의 조달, 외주: 용역, 즉 능력의 조달

→ 외주란: 자사 작업의 일부가 외부에 나가 있는 것

구매, 공정관리 두 가지 측면 내제

반응형
반응형

5. 물류 합리화 및 전략

1. 물류 표준화

- 표준화: 합리적 단순화, 통일화를 위한 규칙을 만들어 그것을 활용하기로 한 상호 간 사 회적 약속

1) 물류 표준화의 정의

- 운송, 하역, 보관 등 화물 유통 각 단계에서 기계화, 자동화를 촉진하고, 일관수송이 가 능하도록 팔레트, 적재함 등 장비와 외부 포장의 규격, 구조를 통일하고 단순화 하는 것

2) 물류 표준화의 필요성

- 물동량 증대로 인해 물류의 일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3) 물류 표준화의 전략

- 소프트웨어 부문: 포장단위 표준화, 팔레트/ 컨테이너 규격화 전과정을 유닛로드시스 템으로 구축

- 하드웨어 부문: 수송장비, 보관시설, 하역기계 규격화 물류의 일관된 시스템 구축

(1) 소프트웨어 부문의 표준화

① 물류 용어 통일

② 거래 단위 표준화

③ 전표 표준화

④ 표준 코드 활용

⑤ 포장 치수 표준화

(2) 하드웨어 부문의 표준화

① 팔레트 표준화

② 내수용 컨테이너 보급

③ 지게차 표준화

④ 트럭 적재함 표준화

⑤ 보관시설 표준화

⑥ 기타 물류기기 표준화

4) 물류표준화의 푸진 방안

(1) 유닛로드 시스템의 구축

(2) 물류모듈 시스템의 구축

- 물류모듈: 하역, 운반기기, 트럭, 철도 등 수송을 위한 장비, 보관용기기 등의 치수, 사양에 관한 기준척도/ 대칭계열

포장치수, Unit Load 치수, 컨테이너, 적재함 규격, 하역기기, 시설 등의 표준화 필요

(3) 물류 거점의 표준화

① 물류 거점의 유닛로드화

- 물류 시스템 물류 경로(Link)와 물류거점(Node)가 연계되어 성립

② 물류거점 시설의 표준화

(4) 물류 시설과 장비의 정합성

- 1100mm 1100mm를 팔레트의 기본 치수로 설정, 이의 배수와 분할 치수의 조합 인 물류모듈 치수들이 활용되도록 물류시설, 장비 규격에 적용 정합화

2. 물류 공동화

1) 물류 공동화의 개념

- 동일지역, 업종 중심, 비용절감을 위해 2인 이상 공동수행하는 물류

2) 물류 공동화의 목적

- 대량 보관, 수송, 처리 단위당 물류 코스트 대폭 절감

∴ 물류 공동화 대량화에 가장 적합

3) 물류 공동화의 장점

① 물류비 절감

② 안정 공급

③ 서비스 수준(품질)의 유지, 향상

4) 물류 공동화의 조건

- 자사-사외 물류시스템의 접점을 찾아야 함

- 자사 시스템을 외부에 어느 정도 개방하느냐에 따라 추진 찬스의 다소 결정

5) 물류 시스템의 개방

6) 물류 공동화의 성공 조건

- 욕구, 합의, 시기, 환경조건, 행정지원

7) 물류 공동화의 형태

(1) 주체자 별 형태

- 하주 주체와 물류 전업자 주체

(2) 공동화 대상의 기능적 형태

① 수배송의 공동화

② 보관 공동화- 보관만

③ 유통 가공의 공동화

④ 정보처리의 공동화

- VAN회사, 차량화불의 알선정보 시스템 회사

(3) 발하주, 착하주 특성에 따른 공동화 형태

① 업종 별 특성에 따른 분류

② 화물 특성에 따른 분류

③ 지역 특성에 따른 분류

8) 물류 공동화 추진 상의 문제점

(1) 당사자 간 이해 불일치

(2) 기밀유지 문제

(3) 운임요금 문제

(4) 리더, 조정자 확보의 문제

(5) 물류업자 문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