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절. 구매 자재관리기법
l 가치 분석(VA)의 내용
- 가치공학
- 가치분석
- 가치조사
- 가치관리
- 구매기술
l 가치 - 물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품질, 주어진 기능에 대하여 지금되는 대가 V = Q or F/P(c)
l 가치를 크게 나누어보면
- 사용가치
- 존중가치
- Cost 가치
- 교환가치
l 품질은 다음 3가지를 고려해 선택하여야 한다
- 입수가능성
- 적합성
- COST
l VA에의 과학적 접근
물품의 선택-> 기능의 연구 -> Cost 조사 -> 대체품의 연구 -> Cost의 비교
l MRP System의 구성기능
- 우선순위 계획
- 생산능력 계획
- 생산능력 조정
- 우선순위 조정
l MRP의 구성요소
- MPS
- Item Code No.
- B/M
- 재고 File
- 인식 가능한 재고
- 사용 가능한 재고
- Lead Time
- 불출과 사용의 자유
- 품목의 독립적 취급
l MRP ll
사업계획 -> 판매계획 -> 경영계획 -> 자원 OK -> 주생산계획(MPS) -> 자재소요계획(MRP) -> 능력 계획 -> 계획 OK -> 공정관리 -> 구매 -> 회계
l CIM의 도입배경
- 고객욕구의 다양화
- 제품 라이프 사이클의 단축
- 치열한 기업경쟁
- 종합적 의사결정에의 정보 필요
- 인건비 상승 및 노사분규
l CIM의 구상도
- GT
- CAD
- Robotics
- CAM 및 제반 CNC
- AMHS
- MPCS
l BRP의 도입 효과
- 비 부가가치적인 업무의 해서
- 고객 지향적 측면의 조직 변경
- 불필요한 정보의 제거
- 중복업무의 간편화 추진
- 책임소재의 명확화
- 관리비용의 적극적인 절감
l ERP의 주요기능 분석
(1) 기능적 특성
- 업무통합 관리
- 표준 프로세스 제공
- 그룹웨어 연동
- 오픈 시스템
- 글로벌 업무 대응
- 경영정보시스템
- EDI 연계
(2) 기술적 특성
- Client/Server 시스템
- 4세대 언어 선택 및 지원
- 관계형 데이트베이스
- Module화 관리
l ERP 도입 시 주요 고려사항
- 투자비용 부문
- 컨설팅 소요비용 부문
- BPR 시행 여부
- 조직원의 정보시스템 활용수준
- 우리의 상거래 관행 및 세무규정
- 투자대비 활용도
- 유관산업계의 정보인프라 환경과의 보조
- ERP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인력 확보
l ERP 도입이 잘 안되는 이유
- 도입목적과 구축수단의 혼동
- ERP에 대한 지나친 기대
- 최고경양자의 관여가 불충분
- 업무개혁의 공감대형성 실패
- ERP 추진방법의 일관석 미확보
- ERP에 대한 충분한 검증 미실시
- ERP업체, 컨설턴트의 능력 부족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2장 재고관리 (2) (0) | 2021.05.04 |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2장 재고관리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총론] 제 1장 구매 자재 관리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8)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7)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