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불량발생 처리와 대응책
제1절. 현상파악
- 불량대책을 진행하기 위해서- ‘왜’전에 ‘무엇이’, ‘어디서’, ‘언제’, ‘어느 정도’의 순으로 확인
1. 사실을 확인한다
- FF시트에 의한 불량발생의 사실 확인(책 109p)
2. 무엇에 중점을 둘 것인가를 파악한다
- 불량을 없애는 것으로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를 파악
1) 불량이 전체에 점하는 비율을 안다
- 불량 파레토도(110p)
2) 어느 부문에 어느 정도 책임이 있는지 파악(111p)
제2절. 불량 참원인 분석 및 대책 실시
1. 목적
2. 공정 불량 분석
1) 자료 수집
(1) 작업일보가 있을 경우
- 작업일보를 근거로 과거 1~3개월 자료 수집
(2) 작업일보가 없거나 내용이 부실한 경우
- 현장 작업자에게 교육 후 작업일보를 작성시킨 다음 자료 수집
※ 작업일보 필수 기재 항목
- 생산수, 불량수, 불량률, 불량 내용, 작업시간, 정지시간
→ 제정 후 1시간 마다 현장 Patrol 실시, 정확도가 100% 될 때까지 중점지도
2) 자료 층별(중요문제 발견 방법)
(1) 불량을 결과별로 자료를 취한다
(2) 불량을 원인별로 자료를 취한다
3) 불량의 해석
(1) 층별한 불량 개수를 집계해 불량 해석도를 그려 한눈에 중요한 문제를 알 수 있게 한다
(2) Worst 항목/ 품목 설정, 등록하여 개선활동 실시
3. 불량 참원인 개선 전개 순서
- 책 115p
- ①대상품목 선정 ②검사실시 ③불량원인 분석 ④현장확인 ⑤참원인 도출 ⑥개선안/실시
4. 현상을 수치화 하는 방법
1) 품질 네크(neck)분석 방법
- 품질 네크도가 높은 라인 및 공정 파악
- 품질네크 라인 분석, 품질네크 공정분석, 품질네크 현상분석을 통해 테마를 얻어냄
- 불량률 만으로 네크평가를 하는 경우와 유저클레임이 중요 품질사고와 이어질 수 있는 품질불량에 대해 품질 특성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네크순위를 정하는 경우
2) 불량 현상의 명확화
- 불량 현상의 정의를 내린 후 불량내용의 그림을 그리고, 현물을 준비하여 불량 현상의 층별 판단을 쉽게 하는 것이 중요
3) 불량 현상의 정량화
- 정확한 자료를 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
5. 원인 분석 및 대책 착안
1) 불량 현상의 분석
(1) 불량현상 층별 후 정량화되면 파레토 분석 후 구체적 대책항목 선정(파레토 분석은 품질네크 현상분석과 동일)
(2) 2차분석: 불량이 작업준비 변경 직후에 발생하는가 연속운동 중에 발생하는가
3차분석: 매회 발생/ 때때로
4차분석: 작업자에 따라 발생빈도에 차이는 없는가
(3) 정보를 그림으로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
계획(품질계획)
분석(품질해석) 평가(품질평가-측정)
2) 원인분석과 대책 착안 Point
제3절. 대책의 실시
- 불량대책을 구하는 것- 원인을 근절시키는 것
- 대책: “원인 하나 하나에 대해 누가 언제까지 어떻게 재발방지 행동을 취할까”를 구체적 으로, 받는 이가 쉽게 알 수 있게 기입
※ 대책기입의 나쁜 예
- ‘금후 충분히 주의하겠습니다’와 같은 의미로 재발에 대해 안심할 수 없는 경우
→ 조치를 취한 후 조치사항을 기입해야 한다
제4절. 불량 대책의 유의점
1. 목표관리와 연결한다
2. 불량에 의한 손실금액을 명확히 한다
- 어필하기 쉽고, 중요도가 쉽게 구분
3. 협력 공장의 정기적 패트롤 실시
제5절. 품질이상 Feed Back 체계 확립
1. 업체 자체 불량발생 정보처리
- 관계 부서에 ‘품질이상 통보서’를 통보, 관계부서에서 ‘품질이상 검토결과 통보서’를 작 성, 주관부서에 통보. 신속히 처리 후 결과 보존
2. 업체 이상 발생정보의 F/B 처리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10) (0) | 2021.05.03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9)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7)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6)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4단원. 구매품질관리 (5)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