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절. 물류 합리화 및 전략
1. 물류 표준화
- 표준화: 합리적 단순화, 통일화를 위한 규칙을 만들어 그것을 활용하기로 한 상호 간 사 회적 약속
1) 물류 표준화의 정의
- 운송, 하역, 보관 등 화물 유통 각 단계에서 기계화, 자동화를 촉진하고, 일관수송이 가 능하도록 팔레트, 적재함 등 장비와 외부 포장의 규격, 구조를 통일하고 단순화 하는 것
2) 물류 표준화의 필요성
- 물동량 증대로 인해 물류의 일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3) 물류 표준화의 전략
- 소프트웨어 부문: 포장단위 표준화, 팔레트/ 컨테이너 규격화⇨ 전과정을 유닛로드시스 템으로 구축
- 하드웨어 부문: 수송장비, 보관시설, 하역기계 규격화⇨ 물류의 일관된 시스템 구축
(1) 소프트웨어 부문의 표준화
① 물류 용어 통일
② 거래 단위 표준화
③ 전표 표준화
④ 표준 코드 활용
⑤ 포장 치수 표준화
(2) 하드웨어 부문의 표준화
① 팔레트 표준화
② 내수용 컨테이너 보급
③ 지게차 표준화
④ 트럭 적재함 표준화
⑤ 보관시설 표준화
⑥ 기타 물류기기 표준화
4) 물류표준화의 푸진 방안
(1) 유닛로드 시스템의 구축
(2) 물류모듈 시스템의 구축
- 물류모듈: 하역, 운반기기, 트럭, 철도 등 수송을 위한 장비, 보관용기기 등의 치수, 사양에 관한 기준척도/ 대칭계열
→ 포장치수, Unit Load 치수, 컨테이너, 적재함 규격, 하역기기, 시설 등의 표준화 필요
(3) 물류 거점의 표준화
① 물류 거점의 유닛로드화
- 물류 시스템⇨ 물류 경로(Link)와 물류거점(Node)가 연계되어 성립
② 물류거점 시설의 표준화
(4) 물류 시설과 장비의 정합성
- 1100mm ⨯ 1100mm를 팔레트의 기본 치수로 설정, 이의 배수와 분할 치수의 조합 인 물류모듈 치수들이 활용되도록 물류시설, 장비 규격에 적용⇨ 정합화
2. 물류 공동화
1) 물류 공동화의 개념
- 동일지역, 업종 중심, 비용절감을 위해 2인 이상 공동수행하는 물류
2) 물류 공동화의 목적
- 대량 보관, 수송, 처리⇨ 단위당 물류 코스트 대폭 절감
∴ 물류 공동화⇨ 대량화에 가장 적합
3) 물류 공동화의 장점
① 물류비 절감
② 안정 공급
③ 서비스 수준(품질)의 유지, 향상
4) 물류 공동화의 조건
- 자사-사외 물류시스템의 접점을 찾아야 함
- 자사 시스템을 외부에 어느 정도 개방하느냐에 따라 추진 찬스의 다소 결정
5) 물류 시스템의 개방
6) 물류 공동화의 성공 조건
- 욕구, 합의, 시기, 환경조건, 행정지원
7) 물류 공동화의 형태
(1) 주체자 별 형태
- 하주 주체와 물류 전업자 주체
(2) 공동화 대상의 기능적 형태
① 수배송의 공동화
② 보관 공동화- 보관만
③ 유통 가공의 공동화
④ 정보처리의 공동화
- VAN회사, 차량화불의 알선정보 시스템 회사
(3) 발하주, 착하주 특성에 따른 공동화 형태
① 업종 별 특성에 따른 분류
② 화물 특성에 따른 분류
③ 지역 특성에 따른 분류
8) 물류 공동화 추진 상의 문제점
(1) 당사자 간 이해 불일치
(2) 기밀유지 문제
(3) 운임요금 문제
(4) 리더, 조정자 확보의 문제
(5) 물류업자 문제
'이론 이야기 > 구매자재관리사 (K.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3) (0) | 2021.05.04 |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2) (0) | 2021.05.04 |
[시장조사] 자산 매각 / 기업 자산 처분 솔루션 / 매각 입찰 (0) | 2021.05.04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10) (0) | 2021.05.03 |
[구매자재관리사] [구매관리 부문] 제6단원. 종합 원가 절감의 추진 (9) (0) | 2021.05.03 |